•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겨울철 증가하는 고령소비자 낙상사고에 주의하세요!

- 실내에서 많이 발생해 일상생활에서의 예방이 중요 -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고령자의 안전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최근 3년 9개월간(’16년~’19년 9월)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수집된 65세 이상 고령자의 안전사고는 총 22,677건**으로 전체 안전사고의 8.4%로 나타났다.

* 한국소비자원이「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16년) 5,795건, (’17년) 5,653건, (’18년) 6,340건, (’19년 9월) 4,889건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치료기간이 1개월 이상 소요되는 안전사고의 비율(13.3%)이 65세 미만 연령대(0.6%)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고 예방에 더욱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고령자 안전사고의 절반 이상이 낙상사고

고령자 안전사고의 위해원인은 미끄러짐·넘어짐, 추락 등 ‘낙상 사고’가 56.4%(12,802건), 손상증상은 ‘골절’이 26.8%(6,067건)로 가장 많았고, 주로 다치는 부위는 ‘머리 및 얼굴’ 27.2%(6,158건), ‘둔부, 다리 및 발’ 24.8%(5,635건) 등이었다.

* 고령자 낙상사고 : (’16년) 2,746건, (’17년) 3,453건, (’18년) 3,829건, (’19년 9월) 2,774건

발생장소는 ‘주택’이 63.4%(14,378건)로 절반 이상이었고, ‘숙박 및 음식점’이 5.7%(1,299건), ‘도로 및 인도’가 3.8%(868건)로 뒤를 이었다. 세부적으로는 주택 내 ‘침실·방’(18.5%/4,191건), ‘화장실·욕실’(12.2%2,770건)에서 발생한 사고가 많았다.

사고 유발품목은 ‘바닥재’ 26.8%(6,079건), ‘침실가구’ 7.6%(1,717건), ‘계단 및 층계’ 5.7%(1,282건) 등이었다.

◎ 고령자 낙상사고, 겨울철에 많고 골절이 다수

고령자 낙상사고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내부 활동이 많은 ‘겨울(27.2%/2,728건)’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증상으로는 ‘골절’이 44.5%(5,701건)로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골절사고는 치료기간이 ‘2주 ~ 4주(1개월)’ 이상 소요되는 경우가 94.4%로 대부분이었으며, 사망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있어 낙상사고로 골절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 경운기 사고 줄고 의료용 침대 사고 늘어

최근 3년 9개월간(’16년~’19년 9월) 의료용 침대 등 고령자의 사고 비율이 높은 상위 5개 제품*의 사고사례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낙상사고’(63.1%/564건)가 가장 많았다.

* 동력경운기, 동력탈곡기, 보행차 및 보행보조차, 의료용 침대, 휠체어

품목별로는 ‘동력경운기*’로 인한 사고가 2016~2017년에 가장 많았으나, 2018년 이후에는 ‘의료용 침대**’로 인한 사고가 다발하고 있어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들의 사고예방을 위해 보호자들의 세심한 관심이 요구된다.

* 65세 이상 동력경운기 안전사고 : (’16년) 206건, (’17년) 129건, (’18년) 62건, (’19년 9월) 42건

** 65세 이상 의료용 침대 안전사고 : (’16년) 47건, (’17년) 67건, (’18년) 87건, (’19년 9월) 65건

고령자는 사고발생 시 중상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고, 회복기간도 길어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고령자 안전사고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고령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안전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며 안전정보를 제공해 고령자 안전사고 예방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사전 예방 방안에 대해서는 ‘[붙임2] 고령자 낙상사고 예방 수칙’ 확인



[ 한국소비자원 2019-11-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91 감전 위험이 있는 Vevor 드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9.18
3790 부품하자로 익사 우려 있는Oceanic(오셔닉) 부력조절기 무상수리 실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18
3789 “추석 명절 항공권, 택배, 상품권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9.18
3788 2023-2024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09.15
3787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목이버섯'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3.09.14
3786 집에서 직접 치아교정? 거짓.과대 광고 제품입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9.12
3785 감전 위험 있는 One step 에어브러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3.09.08
3784 방향 제어 기능 상실할 수 있는 Raymarine 오토파일럿 시스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9.08
3783 처방약 성분 함유한 Taisho 패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09.08
3782 화재 우려 있는 Vevor 페인트 분사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3.09.08
3781 가스 누설 위험 있는 Russell Hobbs 가스레인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9.08
3780 감전 위험 있는 Fluke 전압테스트리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9.08
3779 낙상 우려 있는 Woom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09.08
3778 유해 성분 함유된 Flytrap 해충퇴치제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9.08
3777 납 성분 과다 함유된 접이식 미니 선풍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3.09.08
3776 카드뮴 과다 함유된 플라스틱 재질의 SHEN 물고기 샌들(슬리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08
3775 고령자, 의료용 침대 안전사고 3년 연속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3.09.08
3774 카드뭄 기준이 초과 검출된 수입 ‘냉동 가리비살’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08
3773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땅콩가루'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08
3772 GS SHOP 사칭 쇼핑몰 아르바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09.08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