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초겨울 신체가 추위에 덜 적응되어 약한 추위에도 한랭 질환 위험
 ◇ 한랭 질환자 10명 중 4명은 65세 이상 노년층, 실외 발생 77%
 ◇ 한파 시 고령자·어린이‧만성질환자 등 실외활동 자제, 건강수칙 준수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초겨울에는 신체가 추위에 덜 적응되어 약한 추위에도 한랭 질환 위험이 크므로 12월 첫 추위와 기습추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또한, 올해는 특히 ‘겨울철 평균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지만 변동성이 클 것’이라는 기상청 전망에 따라 갑작스런 추위에 따른 한랭 질환 발생에 철저히 대비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 한랭 질환은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질환으로 저체온증, 동상, 동창이 대표적으로 대처가 미흡하면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다.

□ 지난 18-19절기(’18.12.1~’19.2.28) 질병관리본부의 「한랭 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로 접수된 한랭 질환자 수는 404명(이 중 사망자는 10명)  으로 17-18절기(’17.12.1~’18.2.28)* 대비 36% 감소하였다.
   * 17-18절기 한랭 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한랭 질환자수 631명(이 중 사망자 11명)
   * 18-19절기 전국 평균기온은 1.3℃로 17-18절기 평균기온 –0.8℃보다 2.1℃ 높았음

 ○ 한랭 질환자는 65세 이상 노년층이 전체 환자 중 177명(44%)으로 가장  많았고, 고령일수록 저체온증과 같은 중증 한랭 질환자가 많았다.

 ○ 발생 장소는 길가나 집주변과 같은 실외가 312명(77%)으로 많았고, 발생 시간은 하루 중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으며 특히 추위에 장시간 노출되고 기온이 급감하는 새벽·아침(0시~9시)에도 163명(40%)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 한랭 질환자 중 138명(34%)은 음주상태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 질병관리본부는 올 겨울 한파로 인한 건강피해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12월 1일부터 내년 2월 29일까지 「한랭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다.

 ○ 「한랭 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는 한파에 따른 국민의 건강보호 활동을 안내하기 위해 한랭 질환 발생현황과 주요특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 전국 약 500개 협력 응급실을 통해 응급실을 방문하는 한랭 질환자 현황을 신고 받아 누리집(홈페이지)을 통해 국민과 유관기관에 정보를 제공한다.

□ 아울러 한랭 질환은 심각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지만, 건강수칙을 잘 지키는 것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다고 밝히며, 한파에 의한 한랭 질환 등 건강피해를 줄이기 위해 ‘한랭 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수칙 바로알기’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 이 자료에는 한파 시 일반 건강수칙은 물론 어르신, 어린이, 만성질환자 등 더욱 주의가 필요한 경우의 대처 요령과 이 밖에 심근경색, 뇌졸중, 낙상사고, 호흡기질환 등 겨울철에 특히 주의할 질환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담았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노숙인과 독거노인 등은 한파에 특히 취약하므로 지자체와 이웃, 가족의 각별한 관심을 당부 드리며, 취약계층 맞춤형 한파예방을 위해 지자체, 관계기관과 지속 협력해가겠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9-11-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79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확진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6.16
1878 염화칼슘 수용액이 누출될 가능성이 있는 습기제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7.28
1877 자석이 분리되어 삼킬 경우 질식 위험있는 Hysagtek 볼펜 회수 및 환불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2.02.09
1876 녹농균 오염 가능성 있는 Bio Life Pet 고양이용 유산균 액상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2.03.08
1875 감전 위험있는 Kaabo Mantis 10 전동킥보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2.03.08
1874 제조 불량으로 부품 손상 가능성 있는 ASUS 메인보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2.04.04
1873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2.06.08
1872 부력 조절 실패하여 부상 및 사망 위험 있는 Apeks 다이빙 부력자켓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1.17
1871 투어2000(㈜투어이천)의 일방적 계약해제로 인한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2.07
1870 새우 성분 등 표시 누락돼 알러지 위험 등으로 리콜된 Acecook 조미 소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2.10
1869 라벨에 미표기 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NISSIN 커리 누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3.10
1868 즐거운 캠핑, 화재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4.04.24
1867 UPPAbaby 유모차 시트(RumbleSeat), 시트 어댑터 분리 현상 발생하여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8.06.20
1866 Jakks Pacific 완구, 작은 조각 삼킴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01.31
1865 신학기 학교생활 시작, 인플루엔자·홍역·수두 등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02.27
1864 Little Tikes 스퀴시 완구, 작은 조각 삼킴 우려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03.12
1863 봄철 산행, 등산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03.15
1862 전자상거래로 구입한 가구, 소비자 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03.27
1861 모기 감시를 통해 뎅기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07.16
1860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11.15
Board Pagination Prev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