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커피전문점 소비자 만족도,
`매장 접근성' 높고, `가격 및 부가혜택' 낮아


커피의 소비 증가와 함께 커피전문점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나,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소비자에게 선택비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매출액 상위 6개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이용경험자 1,031명의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실태를 조사했다.

소비자 만족도는 커피전문점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상품 특성**, 호감도***의 3개 부문으로 나누어서 평가했다.

* 커피전문점 시설, 소비자 요구에 대한 대응성 등 서비스 전달과정에 대한 만족도

** 제품, 매장 접근성, 가격 및 부가혜택 등 서비스 핵심 요소에 대한 만족도

*** 소비자가 서비스를 체험하면서 느낀 주관적 감정에 대한 평가로 긍정·부정감정의 정도


【 조사개요 】

o 조사대상 : 커피전문점 서비스(6개 사업자*) 이용경험자 1,031명**

* 스타벅스, 엔제리너스, 이디야커피, 커피빈, 투썸플레이스, 할리스커피(가나다순)

** 매출액 및 시장점유율을 고려하여 표본 수 할당

o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19.9.4.∼9.16.)

o 분석개요 : 만족도는 부문별 가중 평균 적용(5점 리커트 척도),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30%p

‘매장 접근성’ 만족도는 높고, ‘가격 및 부가혜택’ 만족도는 낮아

종합만족도는 소비자 만족도의 3개 부문인 서비스 품질 만족도, 상품 특성 만족도, 호감도의 중요도(가중치)를 반영한 평균값으로, 조사대상 6개 커피전문점 서비스의 종합만족도는 평균 3.88점이었다. 사업자별로는 할리스커피 3.95점, 스타벅스 3.93점, 엔제리너스 3.86점 등의 순이었다.

2017년도와 비교하면 할리스커피(+0.23점), 엔제리너스(+0.13점), 커피빈(+0.13점), 투썸플레이스(+0.12점), 스타벅스(+0.10점), 이디야커피(+0.10점) 등 6개 사업자 모두 종합만족도 점수가 상승함.

서비스 품질 만족도는 6개 커피전문점 전체 평균이 3.97점이었고, 사업자별로는 스타벅스 4.12점, 할리스커피 3.99점, 투썸플레이스 3.93점 순으로 나타났다.

상품 특성 만족도는 제품, 매장 접근성, 매장이용 편의성, 가격 및 부가혜택 등 4개 요인으로 평가했는데, 매장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4.05점으로 가장 높은 반면 가격 및 부가혜택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37점으로 가장 낮았다.

호감도는 평균 3.78점이었으며, 사업자별로는 할리스커피 3.85점, 엔제리너스 3.83점, 커피빈 3.80점 순이었다.


구분

종합만족도*

 

서비스 품질

상품 특성

호감도

제품

매장
접근성

매장이용 편의성

가격 및 부가혜택

할리스커피

3.95

3.99

3.88

4.09

3.99

3.46

3.85

스타벅스

3.93

4.12

3.94

4.23

3.65

3.23

3.78

엔제리너스

3.86

3.86

3.72

3.90

3.75

3.49

3.83

투썸플레이스

3.85

3.93

3.92

4.09

3.84

3.32

3.73

커피빈

3.84

3.91

3.74

3.78

3.74

3.22

3.80

이디야커피

3.80

3.83

3.57

3.96

3.72

3.62

3.75

평균

3.88

3.97

3.82

4.05

3.76

3.37

3.78

◎ 주로 가는 커피전문점의 이용 이유는 ‘지리적 접근성’이 가장 많아

주로 가는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 이유는 `지리적 접근성'이 49.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제품의 맛'이 24.7%, `분위기'가 8.2% 등이었다.

한편 커피전문점 1회 방문 시 평균 이용 금액은 `5천원'이 23.2%로 가장 많았고, `6천원' 20.7%, `1만원 초과' 16.3% 순이었다.


◎ 소비자가 생각하는 아메리카노의 적정가격은 3,055원

소비자가 생각하는 커피(아메리카노) 1잔의 적정가격을 조사한 결과 3,055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7년도의 2,886원과 비교해 169원 상승한 것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사업자와 공유하여 서비스 개선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 및 서비스 분야의 품질 향상을 위해 서비스 비교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11-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56 손상 정보를 한 자리에, 국가손상정보포털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9 24
8055 손보사의 운전자보험 교통상해입원비 가입한도 관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7 856
8054 손목치기 등 고의 신체접촉 사고로 보험소비자에게 피해를 입힌 사기혐의자 73명 적발 (512건, 보험금 4.4억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0 51
8053 손끼임, 자동문 갇힘사고 없도록 건축안전 기준을 개선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3 47
8052 손가락 끼일 위험 있는 실버크로스 유모차 판매중지 및 환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161
8051 손·팔 이식도 국가가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4 37
8050 속칭 ‘대포차’ 내달 10일부터 한 달간 집중단속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5 35
8049 속눈썹펌제 관리방안 마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8 28
8048 속눈썹 접착제, 다수 제품 기준 부적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0 59
8047 속 불편한 한국인…5명 중 1명, 1000만명이 소화계통 질환 경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1 127
8046 소형화물차(총중량 3.5톤 이하) 충돌사고 안전성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1 31
8045 소형 카트리지형 아산화질소는 구입할 수 없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4 27
8044 소형 카트리지형 아산화질소 제조금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36
8043 소형 전기밥솥, 보온 후 밥맛·취반시간 등 성능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0 20
8042 소형 의류건조기, 건조도·소음 등 주요 성능 차이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1 13
Board Pagination Prev 1 ...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