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앞으로 휠체어·유모차(영유아 대동) 등 교통약자의 도시철도 이용이모바일 앱을 통해 한결 편리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행정안전부(장관 진영)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이사장 김상균)은 11월 22일(금)부터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통해 도시철도 역사의 교통약자 이동 및 환승 경로 그리고 편의·안전시설 정보가 담긴 역사(驛舍)데이터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보공개는 ’18년 7월 종료된 「ICT기반 철도 이용객 정보 제공기술 개발 R&D(주관연구기관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성과를 바탕으로 추진되었다.

공개되는 역사정보는 전국 도시철도 1,010개 역사 중 981개 역사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철도역사의 기본적인 도면과 함께 편의시설 위치, 교통약자 이동편의 시설(엘리베이터·휠체어 리프트 등)을 활용한 이동경로 정보 등을 제공한다. 또한 발빠짐 사고예방 등을 위해승강장의 탑승위치 별 승강장-차량 간격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를 개방하는 방식은 민간이 앱·서비스 개발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Open API 방식으로 제공할 예정이며, 향후 철도시설공단의 철도산업정보센터(www.kric.go.kr)에서 정보관리를 담당하여 안정적인 정보 공개 및 정보 관리, 잔여 역사 정보 추가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국토교통부·행정안전부는 카카오와 협업하여 카카오 맵을 활용한 교통약자 이동경로 서비스를 시범 개발 중에 있으며, 이르면 내년 초에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교통약자는 ’18년 기준 29% 수준이며, 향후 고령화 등에 따라 교통약자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통약자가 도시철도역에서 환승할 경우 일반인 대비 10~20분가량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

이번 역사 데이터 개방을 통해 이동경로 안내 서비스가 활성화 될 경우 이러한 불편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더 많은 지하철·길안내 서비스에서 관련 서비스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그간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은 이동편의시설 설치를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나, 경로안내 서비스 등 소프트웨어 개발은 미진한 부분이 있었다. 이번 정보공개가 서비스 개발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국토교통부·행정안전부·철도시설공단은 11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리는 제1회 대한민국 정부혁신박람회 전시장에 부스를 설치하고, 교통약자 도시철도(지하철) 이동안내 서비스 체험행사를 실시한다.

방문객들은 체험장에 마련된 동내문역사문화공원역, 강남역, 광화문역 등 3개역을 대상으로 출입구와 승강장 간 이동경로, 환승경로 검색 등을 경험해 볼 수 있다.



[ 국토교통부 2019-11-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20 화장품 품질.안전관리 교육, 온라인으로 수강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6 78
3319 각종 재난안전산업 정보 한 눈에 확인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0 78
3318 '신유형상품권', '예식서비스' 상담 전월 대비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4 78
3317 국가건강검진 내 영유아 구강검진 횟수 추가 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4 78
3316 미성년자도 공인노무사 자격시험 볼 수 있게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8 78
3315 2023년 3월 강원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3 78
3314 올 겨울, 한랭질환자 전년대비 37% 증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1 79
3313 의료기기 부작용 사례 모니터링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7 79
3312 국민이 필요한 민원서비스, 정부가 알아서 척척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9 79
3311 가정용 가구 가격 및 소비실태 조사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0 79
3310 식중독균 검출‘즉석섭취식품’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79
3309 6개 홈쇼핑사의 대규모 유통업법 위반 행위에 대한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0 79
3308 국토교통부, 화물자동차 교통사고 예방에 앞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6 79
3307 ’15년 5월~’15년 7월 전국 61,011세대 아파트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2 79
3306 벤츠, 엔진 시동꺼짐·화재 가능성으로 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7 79
Board Pagination Prev 1 ...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