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국내 배출되는 페트병의 품질을 높여 수입 폐플라스틱 대체

▷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등 페트병 재활용체계 개선을 위한  시범사업 11월부터 추진, 내년 하반기부터 단계적 시행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폐페트병만을 별도로 분리배출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페트병 재활용체계 개선'을 추진한다.


이번 페트병 재활용체계 개선은 올해 8월 8일 발표된 '수입 재활용 폐기물 추가 환경안전 관리 강화'의 후속대책 및 정부혁신 과제인 '범정부 협업 촉진'의 하나로 추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연간 약 24만 톤이 재활용되는 국내 폐페트병 중 고품질로 재생되는 양을 확대(2018년 2만 9천 톤→2022년 10만 톤 증가)하여, 일본에서 주로 수입되는 연간 2만 2천 톤의 고품질 페페트병이 충분하게 대체될 것으로 기대된다.

※ 2018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페트병은 약 30만 톤으로, 이 중 80%가 재활용(24만 톤)되며, 생산량 대비 약 10%(2만 9천 톤)가 시트(Sheet) 등으로 불리는 고품질 원료로 재활용


폐패트병 원료의 고부가 가치화는 장기적으로 재생섬유를 활용한 의류 등 재활용 유망산업을 육성하는 기반 구축에도 도움을 준다.

※ 나이키(2018년 38%→2020년 50%), 아디다스(2018년 68%→2022년 100%) 등 주요 의류 업체들의 재생원료 사용 증가로, 전 세계 재생섬유 시장 확대 예상(2018년 20만 톤→2022년 47만 톤 증가)


이번 페트병 재활용체계 개선은 올해 12월부터 실시될 유색 페트병 사용금지 등 재활용이 쉬운 페트병 생산유도와 연계하여 배출-수거-선별까지 재활용을 위한 모든 단계에 걸쳐 추진된다.

※ (페트병 재활용 단계) 생산(제조업체)→배출(소비자)→수거(수집·운반)→선별(재질별로 분류 후 압축)→재활용(분쇄하여 재생원료 제조)


우선, 페트병과 다른 플라스틱 등이 섞여서 배출-수거되는 현행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페트병을 별도로 분리배출하고 수거하는 체계를 단계적으로 갖춰 나간다. 


환경부는 배출단계에서 고품질 재활용에 적합한 '무색 페트병, 먹는 샘물 페트병'만 별도 분리배출하고 수거하는 체계를 구축하되, 지자체 및 관련 업계와 논의를 거쳐 올해 12월 시범사업지역을 확정하고, 내년 1월부터 6개월간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시범사업에서는 배출·수거형태를 공동주택(아파트), 단독주택, 거점수거 3가지로 분류하여 특성에 맞는 시범사업지역을 선정하고, 공동주택 페트병 별도 분리수거함 추가 설치, 단독주택 재활용 품목별 요일제 수거 등을 추진한다. 


향후 시범사업을 거쳐 보완 및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내년 7월부터 공동주택 등 분리배출·수거가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시행하여 2021년에는 전국 공동·단독주택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내년 1월부터 폐기물 선별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선별업체에게 지급되는 선별지원금을 선별품 품질 등급에 따라 차등화한다. 


등급기준은 선별품 내 페트병 이외 이물질이나 다른 재질의 혼합 정도, 선별업체의 페트병 관리체계 구축 등을 고려하여 마련될 예정이다. 


또한, 선별업체의 등급결과는 매년 환경부 누리집을 통해 공표하여 제도 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이번 페트병 재활용체계 개선을 시작으로 향후 재활용품 분리배출체계를 전반적으로 함께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19-11-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60 ELS 등 판매시 투자자 숙려제도가 시행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5 62
2059 ELS 등 온라인 투자시 반드시 자가진단 후 투자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9 57
2058 DNP함유식이보충제 해외 직구 경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3 104
2057 DMZ를 국민에게, 평화안보 체험길 최초개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3 9
2056 DMZ 평화둘레길(가칭) 강원 고성구간 참가신청 접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1 44
2055 DART 공시정보 실시간 알람 서비스 오픈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70
2054 C형간염 환자 조기발견 시범사업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1 11
2053 C형 근관 치아 근관(신경)치료 수가 개선 시행(5.1)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8 54
2052 CT·MRI 등에 대한 관리를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5 8
2051 CT 진단용 조영제 사용 시 이상반응 경험 및 가족력 확인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3 56
2050 CMS 운영의 허점 이용하는 상조회사, 금융결제원과 금융기관은 모르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6 77
2049 CMIT/MIT 검출된 헤어미스트 판매중단 및 환급하도록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4 70
2048 CMIT, MIT 검출된 해외직구 화장품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31 12
2047 CGV 좌석별 관람료 세분화, 가격인상 효과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31 130
2046 CGV 좌석별 관람료 세분화, 가격인상 효과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4 126
Board Pagination Prev 1 ... 784 785 786 787 788 789 790 791 792 79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