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국내 배출되는 페트병의 품질을 높여 수입 폐플라스틱 대체

▷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등 페트병 재활용체계 개선을 위한  시범사업 11월부터 추진, 내년 하반기부터 단계적 시행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폐페트병만을 별도로 분리배출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페트병 재활용체계 개선'을 추진한다.


이번 페트병 재활용체계 개선은 올해 8월 8일 발표된 '수입 재활용 폐기물 추가 환경안전 관리 강화'의 후속대책 및 정부혁신 과제인 '범정부 협업 촉진'의 하나로 추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연간 약 24만 톤이 재활용되는 국내 폐페트병 중 고품질로 재생되는 양을 확대(2018년 2만 9천 톤→2022년 10만 톤 증가)하여, 일본에서 주로 수입되는 연간 2만 2천 톤의 고품질 페페트병이 충분하게 대체될 것으로 기대된다.

※ 2018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페트병은 약 30만 톤으로, 이 중 80%가 재활용(24만 톤)되며, 생산량 대비 약 10%(2만 9천 톤)가 시트(Sheet) 등으로 불리는 고품질 원료로 재활용


폐패트병 원료의 고부가 가치화는 장기적으로 재생섬유를 활용한 의류 등 재활용 유망산업을 육성하는 기반 구축에도 도움을 준다.

※ 나이키(2018년 38%→2020년 50%), 아디다스(2018년 68%→2022년 100%) 등 주요 의류 업체들의 재생원료 사용 증가로, 전 세계 재생섬유 시장 확대 예상(2018년 20만 톤→2022년 47만 톤 증가)


이번 페트병 재활용체계 개선은 올해 12월부터 실시될 유색 페트병 사용금지 등 재활용이 쉬운 페트병 생산유도와 연계하여 배출-수거-선별까지 재활용을 위한 모든 단계에 걸쳐 추진된다.

※ (페트병 재활용 단계) 생산(제조업체)→배출(소비자)→수거(수집·운반)→선별(재질별로 분류 후 압축)→재활용(분쇄하여 재생원료 제조)


우선, 페트병과 다른 플라스틱 등이 섞여서 배출-수거되는 현행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페트병을 별도로 분리배출하고 수거하는 체계를 단계적으로 갖춰 나간다. 


환경부는 배출단계에서 고품질 재활용에 적합한 '무색 페트병, 먹는 샘물 페트병'만 별도 분리배출하고 수거하는 체계를 구축하되, 지자체 및 관련 업계와 논의를 거쳐 올해 12월 시범사업지역을 확정하고, 내년 1월부터 6개월간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시범사업에서는 배출·수거형태를 공동주택(아파트), 단독주택, 거점수거 3가지로 분류하여 특성에 맞는 시범사업지역을 선정하고, 공동주택 페트병 별도 분리수거함 추가 설치, 단독주택 재활용 품목별 요일제 수거 등을 추진한다. 


향후 시범사업을 거쳐 보완 및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내년 7월부터 공동주택 등 분리배출·수거가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시행하여 2021년에는 전국 공동·단독주택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내년 1월부터 폐기물 선별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선별업체에게 지급되는 선별지원금을 선별품 품질 등급에 따라 차등화한다. 


등급기준은 선별품 내 페트병 이외 이물질이나 다른 재질의 혼합 정도, 선별업체의 페트병 관리체계 구축 등을 고려하여 마련될 예정이다. 


또한, 선별업체의 등급결과는 매년 환경부 누리집을 통해 공표하여 제도 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이번 페트병 재활용체계 개선을 시작으로 향후 재활용품 분리배출체계를 전반적으로 함께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19-11-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949 더위도 피해가는 여름철 내 차 관리요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8 125
7948 덤프트럭 등 제작결함 건설기계 시정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7 14
7947 덩어리 치즈, 이제 마트에서 필요한 만큼 구매할 수 있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8 10
7946 데이터 3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30 50
7945 데이터 요금 부담없이 무선인터넷 서비스 품질을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20 2
7944 데이터로 새로워진 시티투어버스 출발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31 34
7943 데이터로「내 몸에 딱 맞는 세상」을 만든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9 117
7942 데이트폭력 집중신고기간(7월~8월) 운영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06 33
7941 뎅기열 해외유입 증가 예상, 해외여행 시 모기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8 81
7940 도라지 넣은 가짜 인삼.홍삼 제품? 이젠 안심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5 93
7939 도로 개통되면 실시간으로 내비게이션에 반영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4 52
7938 도로 설계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람 우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3 11
7937 도로 위 평온한 일상 확보를 위한 우회전 일시정지 일상화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2 20
7936 도로 위 평온한 일상 확보를 위한 특별교통안전 대책 추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6 15
7935 도로 이용자 만족도 “우상향” 꾸준히 올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1 8
Board Pagination Prev 1 ...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