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열매가 옷에 달라붙는 것을 줄이려면 겉이 촘촘하고 매끈한 등산복 착용

▷ 꼬리빗이나 접착테이프로, 제거 후 확산을 막기 위해 쓰레기통에 버려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권경업)은 가을철 산행 시 옷에 달라붙는 열매에 대해 옷감의 종류별 접착 정도와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실험 정보를 공개했다.


국립공원공단 연구진은 최근 지리산 일대 탐방로에서 쉽게 발견되는 도깨비바늘, 미국가막사리, 쇠무릎, 주름조개풀 등 옷에 달라붙는 식물 4종의 열매로 겉 옷감 소재별 접착정도를 실험했다. 이중 주름조개풀은 껍질 끝이 돌출된 부분에서 끈적한 액체가 분비되는 식물이다.


직물의 틈이나 기모가 없는 매끈한 혼용소재의 경우 열매가 거의 달라붙지 않는 반면, 직물의 틈이나 기모가 있고 골이 진 소재의 경우 열매가 옷감에 달라붙는 정도가 평균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열매에 붙어 있는 갈고리 모양의 부속물이 옷감 표면이 매끈하고 틈이 없는 소재에는 잘 걸리지 않기 때문이다.


열매가 달라붙는 식물들은 대부분 저지대 탐방로 입구나 경작지, 풀숲에서 자라며 동물에 의해 열매를 퍼뜨려 생존하도록 진화했다.


연구진은 사람 옷에 달라붙어 열매를 퍼뜨리는 것이, 활동 범위가 다른 동물보다 넓으며 번식하기 유리한 장소에서 열매를 제거하는 등 식물의 번식과 확산에 유리한 이유로 보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주변에 식물이 없는 공터 등 넒은 지역에 나와서 열매를 제거하기 때문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산행 후 옷에 붙은 열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참빗이나 꼬리빗을 사용하는 방법과 접착테이프로 붙여 떼어내는 방법을 제시했다.


아울러, 열매를 도로변 등에서 떼어내면 빗물을 따라 강 하구 또는 호수(저수지, 댐) 가장자리로 번식하기 때문에 그 자리에서 떼어 내거나 쓰레기통에 버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갈고리 모양의 열매를 떼어내다 보면 구멍이 나거나 보풀이 생기는 등 옷감이 상하는 원인이 된다. 직물의 틈과 기모가 없는 매끈한 소재의 등산복을 착용하면 열매가 덜 붙고 잘 떼어진다.



또한 운동화 끈과 양말에도 열매가 잘 붙기 때문에 등산복 바지로 등산화를 덮거나 각반(스패치)를 착용하면 열매가 붙는 것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 더불어 진드기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강재구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생물종보전원장은 "가을철 산행 시 열매가 잘 붙지 않는 겉옷을 준비해야 한다"라며, "앞으로도 국민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펼쳐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19-11-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71 소규모 자영업자 등 126만 명, 종합소득세・지방소득세 신고는 5월까지, 납부는 9.2.까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9 30
5970 소규모사업도 산재적용, 어디서 일하다 다쳐도 산재보상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9 55
5969 소규모사업장內 정수기‘무상점검·세척 서비스’캠페인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3 50
5968 소규모펀드 정리 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9 79
5967 소년소녀가정 등 저소득 아동에 대한 주거복지 지원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3 50
5966 소득 조금 늘어도 기초연금 2만 원 감액하는 제도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1 31
5965 소득대체율을 50%로 높이고, 보험료를 1%p만 올리는 것은 미래세대에게 부담을 미루는 것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06 67
5964 소득세법 시행령 개정 등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대상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06 105
5963 소득하위 20% 134만 5000명에 기초연금 30만 원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6 10
5962 소량생산차 등 튜닝규제 추가 완화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5 10
5961 소멸시효 완성채권 추심에 따른 서민피해 예방대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1 192
5960 소방 건설 등 생활밀접 분야의 안전을 위협하는 불법·부패 행위 신고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6 33
5959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 상훈법 등 행안부 소관 13개 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1 7
5958 소방시설 불법행위, 누구든지 신고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8 32
5957 소방시설 주변 불법·주정차 근절을 위한 개정 도로교통법 시행령ㆍ시행규칙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30 11
Board Pagination Prev 1 ...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