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0년 이상 장기 사용한 냉장고·김치냉장고 화재 주의

- 한국소비자원, 냉장고·김치냉장고 제조사와 안전점검 캠페인 실시 -


열악한 설치·사용 환경이나 장기간 사용으로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의 화재사고가 다발*하고, 인명피해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오래된 김치냉장고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서 방치할 경우 화재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피해 예방을 위한 소비자들의 안전점검 및 주의가 필요하다.

* 냉장고·김치냉장고 화재 건수 : (’16년) 553건 → (’17년) 533건 → (’18년) 619건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및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사업자 정례협의체*’ 참여사 중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 제조사**와 협력해 11월 18일부터 11월 29일까지 2주 동안 화재예방을 위한 안전점검 캠페인을 실시하기로 했다.

* 가전제품, 정수기, 위생용품, 회장품, 자동차, 유통분야 등 총 9개 분야 70개 기업이 한국소비자원과 산업별 소비자 안전 이슈에 선제적으로 공동 대응하고, 위해저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위해 출범

** 삼성전자(주), (주)LG전자, (주)위니아대우, ㈜위니아딤채

이번 캠페인을 통해 제조일로부터 10년 이상 경과한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를 보유한 소비자들은 해당 업체의 서비스센터에 신청해 기본 점검을 비롯한 주변 환경 및 내·외부 주요 부품과 배선 등의 안전점검을 받을 수 있다.

안전점검을 받지 않고 장기간 사용하던 제품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제조사의 배상책임을 일부 제한한 판례도 있으므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호응이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장기간 사용한 가전제품의 화재 피해 예방을 위해 ▲10년 이상 사용한 제품은 정기적으로 안전점검을 받을 것, ▲이전 설치 및 수리는 해당 제조업체 서비스센터를 통해서 받을 것, ▲설치 시 습기와 먼지가 많은 곳을 피할 것 등을 당부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소비자 주의사항을 인포그래픽으로 제작하여 배포할 예정이다.


【안전점검 신청방법】

◆ 참여기업 : 삼성전자(주), (주)LG전자, (주)위니아대우, ㈜위니아딤채

◆ 신청접수 기간 : 2019년 11월 18일(월) ~ 11월 29일(금)

※ 캠페인 기간 내 접수된 건은 기간 경과 후에도 서비스 진행

◆ 신청대상 : 제조일로부터 10년 이상 경과한 냉장고, 김치냉장고 보유 소비자 * 참여기업 제품에 한함

◆ 점검내용 : 정상작동 여부 점검, 설치제품 주변 환경, 내·외부 주요 부품과 배선 등

출장 및 기본 점검은 무상으로 진행되나, 부품 교체 등의 경우에는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

◆ 신청방법 : 해당 제조사로 서비스 신청

   - 삼성전자(주) ☏ 1588-3366

   - (주)LG전자 ☏ 1544-7777

   - (주)위니아대우 ☏ 1588-1588

   - (주)위니아딤채 ☏ 1588-9588



[ 한국소비자원 2019-11-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33 알코올 함량 기준 초과 가능성이 있는 발효 음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4.16
4232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 함유된 Great Value 캐슈넛 가공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5.07
4231 머리 부상 위험이 있는 승마용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5.10
4230 부품(리벳) 파손으로 상해 위험이 있는 예초기 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5.10
4229 사용 중 단락 및 화재 위험이 있는 융설매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5.10
4228 감전 위험이 있는 Tomshine 야외용 스트링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3.11.16
4227 미승인 성분이 함유된 Psychotic 운동 보조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3.12.13
4226 표시사항 및 어린이보호포장 요건을 위반한 NicPro 에폭시 레진 키트 (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3.12.18
4225 회로판 과열로 화재 위험 있는 Russound 컨트롤러 앰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3.12.18
4224 불완전 장착 가능성 있는 Atomic SUMMIT 5 BR 스키바인딩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3.12.20
4223 땜납부에 납 과다 함유된 RAYPAL 자전거 라이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1.05
4222 부품 탈락 가능성 있는 Supacaz 자전거 페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1.08
4221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호박씨오일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2.15
4220 고수익으로 유혹하는 금융회사 사칭 불법 금융투자업자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2.19
4219 납으로 때운 부위에 과다한 납이 함유된 프로젝션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2.29
4218 동남아 지역 우리국민 대상 취업사기 범죄에 유의요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2.28
4217 셀프주유소에서 카드결제 시 한도초과로 인한 초과결제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3.05
4216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3.13
4215 RoHS2 납 성분 함유 기준을 위반한 차량용 무선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3.13
4214 비타민 D가 과도하게 함유된 Nordic Naturals 영아용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4.0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