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0년 이상 장기 사용한 냉장고·김치냉장고 화재 주의

- 한국소비자원, 냉장고·김치냉장고 제조사와 안전점검 캠페인 실시 -


열악한 설치·사용 환경이나 장기간 사용으로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의 화재사고가 다발*하고, 인명피해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오래된 김치냉장고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서 방치할 경우 화재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피해 예방을 위한 소비자들의 안전점검 및 주의가 필요하다.

* 냉장고·김치냉장고 화재 건수 : (’16년) 553건 → (’17년) 533건 → (’18년) 619건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및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사업자 정례협의체*’ 참여사 중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 제조사**와 협력해 11월 18일부터 11월 29일까지 2주 동안 화재예방을 위한 안전점검 캠페인을 실시하기로 했다.

* 가전제품, 정수기, 위생용품, 회장품, 자동차, 유통분야 등 총 9개 분야 70개 기업이 한국소비자원과 산업별 소비자 안전 이슈에 선제적으로 공동 대응하고, 위해저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위해 출범

** 삼성전자(주), (주)LG전자, (주)위니아대우, ㈜위니아딤채

이번 캠페인을 통해 제조일로부터 10년 이상 경과한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를 보유한 소비자들은 해당 업체의 서비스센터에 신청해 기본 점검을 비롯한 주변 환경 및 내·외부 주요 부품과 배선 등의 안전점검을 받을 수 있다.

안전점검을 받지 않고 장기간 사용하던 제품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제조사의 배상책임을 일부 제한한 판례도 있으므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호응이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장기간 사용한 가전제품의 화재 피해 예방을 위해 ▲10년 이상 사용한 제품은 정기적으로 안전점검을 받을 것, ▲이전 설치 및 수리는 해당 제조업체 서비스센터를 통해서 받을 것, ▲설치 시 습기와 먼지가 많은 곳을 피할 것 등을 당부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소비자 주의사항을 인포그래픽으로 제작하여 배포할 예정이다.


【안전점검 신청방법】

◆ 참여기업 : 삼성전자(주), (주)LG전자, (주)위니아대우, ㈜위니아딤채

◆ 신청접수 기간 : 2019년 11월 18일(월) ~ 11월 29일(금)

※ 캠페인 기간 내 접수된 건은 기간 경과 후에도 서비스 진행

◆ 신청대상 : 제조일로부터 10년 이상 경과한 냉장고, 김치냉장고 보유 소비자 * 참여기업 제품에 한함

◆ 점검내용 : 정상작동 여부 점검, 설치제품 주변 환경, 내·외부 주요 부품과 배선 등

출장 및 기본 점검은 무상으로 진행되나, 부품 교체 등의 경우에는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

◆ 신청방법 : 해당 제조사로 서비스 신청

   - 삼성전자(주) ☏ 1588-3366

   - (주)LG전자 ☏ 1544-7777

   - (주)위니아대우 ☏ 1588-1588

   - (주)위니아딤채 ☏ 1588-9588



[ 한국소비자원 2019-11-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32 질식 및 화상 위험이 있는 지팡이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5.13
4331 배터리 셀 관리가 미흡한 블루투스 스피커(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5.20
4330 자전거 운행 중 낙상 위험이 있는 Delta 스템 라이저(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5.28
4329 부작용 유발 성분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4)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5.10
4328 유해물질 기준을 초과한 무선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5.07
4327 독성 식물 성분을 함유한 GREEN ELV NUTRITION 보조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5.10
4326 소형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이 있는 보드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5.13
4325 식품위생법 위반한 벚꽃 소금절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5.13
4324 미세한 조각으로 인해 부상 위험이 있는 아이섀도우(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5.20
4323 성분 규격 위반의 우려가 있는 Victory Water 생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5.20
4322 증발잔류물이 초과 검출된 Fab Arbors 뒤집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5.28
4321 케이블이 파손되어 낙상할 위험이 있는 짚라인 키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6.12
4320 표시 미흡으로 제품을 삼킬 위험이 있는 에센셜 오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6.12
4319 프탈레이트를 과다 함유한 무선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6.12
4318 잘못된 라벨 부착된 The North Face Eco Trail Bed -7 침낭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3.12.18
4317 부작용 유발 성분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5.09
4316 부작용 유발 성분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5.10
4315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Bionutra 모링가 분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5.10
4314 유아 질식 위험 있는 Toxic Waste 롤링 볼 사탕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5.07
4313 부착지점에 결함이 있는 등산 하네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5.2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