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소비생활 중요 3대 분야, 식 · 주 · 의에서 식 · 주 · 금융으로 변화

- 한국소비자원, 2019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조사결과 발표 -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발표한 ‘2019 한국의 소비생활지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3대 소비생활분야는 ‘식(식품·외식)’과 ‘주(주거·가구)’에 이어 ‘금융(금융·보험)’으로 나타났다.


※ 한국소비자원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소비생활 중요도 인식, 소비생활 만족, 소비자 문제 및 피해 경험, 소비자권리와 책임 등에 대해 조사·분석하여 격년 주기로 「한국의 소비생활지표」를 발표

- 2019년의 경우, 전국 20세 이상 남녀 8,000명 대상 1:1가구방문 면접 설문조사를 시행(’19.7.24.∼8.30)

-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1.10%p((주)서던 포스트)

◎ 금융·보험 분야의 소비생활 중요도 급상승, 식품·외식은 부동의 1위를 차지

소비생활 11개 분야 중 ‘금융·보험’의 중요도는 그간 꾸준히 높아져 왔지만 ‘의류’를 제치고 3순위 안에 포함된 것은 2013년 조사 이래 처음으로, 특히 50대에서의 인식이 급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식품·외식’은 4번에 걸친 조사에서 계속 1위를 차지했으나 그 중요도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 종합 소비생활만족도는 약 70점으로 보통 수준, 2017년보다는 감소

소비자가 체감하는 종합 소비생활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69.9점으로, 보통수준으로 평가됐다. 이는 ’17년(76.6점)에 비해 하락한 것이지만, ’15년(63.8점) 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 소비생활 만족도가 가장 높은 분야는 식품·외식, 가장 낮은 분야는 금융·보험

소비생활분야별 만족도는 식품·외식(71.0점), 의류(70.9점), 병원·의료(70.8점)에서 높았고, 종합 소비생활만족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분야는 금융·보험(67.9점), 경조사서비스(68.2점) 등이었다.

금융·보험분야는 소비생활 중요도가 상승한 것에 비해 소비생활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 종합 소비생활만족도 하락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됨.

◎ 국민 2명 중 1명은 지난 2년간 소비자문제를 경험했고, ‘식품·외식’ 분야, 특히 ‘배달·포장 음식/식품’ 품목에서 가장 많이 경험

지난 2년간 11개 소비생활분야 26개 품목에서 소비자문제를 경험한 소비자의 비율은 52.6%로 국민 2명 중 1명이 경험했으며, ‘17년(43.4%)에 비해 9.2%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문제가 많이 발생한 분야는 식품·외식>정보통신>의류 순이었다.

실제 소비자피해를 경험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품목은 ‘배달·포장음식/식품(7.2%)’으로 나타났다. 그간의 대표적인 소비자피해 다발 품목인 옷·신발·가방(6.1%), 식료품(5.9%), 정보통신기기(4.4%), 병원·의료(4.1%)보다 높은 수준이다.

◎ 사업자 부당행위는 보험에서, 허위표시·광고는 배달·포장음식/식품에서 경험 높아

소비자문제 유형 중 ‘거래 시 사업자의 부당행위’는 보험>정보통신기기>금융 거래 순으로 많이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거짓·과장·기만 표시광고’에 대한 경험은 배달·포장음식/식품>외식>식료품>의약품 순으로 많았다.

◎ 거래방식별로는 전화권유판매, 해외직구, SNS쇼핑 순으로 소비자문제 경험 높아

거래방식별 월평균 이용 횟수는 편의점, 대형마트, 재래시장, 모바일 쇼핑, 로컬푸드 마켓, 인터넷쇼핑 순으로 많았던 반면, 소비자문제 경험률은 전화권유판매(67.1%), 해외직구(50.4%), SNS 플랫폼 쇼핑(49.4%) 순이었다.

◎ 거래 불만 시 64.6%는 이의를 제기, 사업자 대응에는 만족이 불만족보다 3배 높아

사업자와의 거래에서 불만을 경험한 소비자 중 64.6%가 이의를 제기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17년의 66.1%에 비해서 소폭 감소한 것이다.

이의 제기 후 사업자의 대응에 대해서는 만족이(31.1%)이 불만족(10.9%)보다 3배 가량 높았으며, 불만족률은 ‘17년(10.6%)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 종합 소비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은 곳은 대구

17개 광역지자체별로는 대구(76.8점), 부산(73.4점), 울산(72.2점), 전남(72.0점), 인천(71.7점), 세종(71.7점), 전북(71.7점), 광주(71.6점)의 종합 소비생활만족도가 평균보다 높았고, 제주(62.8점), 경남(65.1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2017년에 비해 세종, 전남, 강원은 소비생활만족도가 상승했고, 그 외의 지역은 전반적으로 낮아졌는데 특히 경남, 경북, 경기의 하락폭이 컸다.

◎ 인천시, 지속가능소비 실천 등 소비자 책임의식 높아

소비자책임에 대한 의식은 인천 지역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천은 에너지 절약, 윤리적소비 실천 등 지속가능소비 실천 전반에서 점수가 높았고, 거래 시 정보를 비교하여 선택하는 비율은 전국 최고 수준이었다. 이는 인천시가 지자체 중 처음으로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이 공동 지원한 ‘소비자행정 선도지자체’로 선정(’16년)되어 ‘고령소비자교육 등’ 각종 소비자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소비생활지표 조사결과를 정부의 제5차 소비자정책 기본계획 수립 시 참고자료로 제공하고, 지역 맞춤형 소비자정책 발굴 및 소비자행정 활성화에도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11-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50 식용얼음 부적합 15건, 지난해 대비 부적합률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6 19
4849 고수, 바질 등 허브류 6건에서 잔류농약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6 10
4848 여성청소년, 홈플러스에서도 생리대 구매권 사용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6 25
4847 이제, 민원24 대신 정부24를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6 10
4846 금융감독 디지털 전환(DT)의 일환으로 「모바일 전자등기우편 시스템」을 구축하여 금년 12월부터 서비스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7 19
4845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지속적 증가, 감염관리 강화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7 35
4844 제2형 당뇨병치료제 효능.효과 기재 국제조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7 16
4843 일부 루지 카트 부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7 17
4842 유기농 식품점 소비자 만족도, ‘자연드림’이 가장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7 26
4841 국민권익위, ‘대학 등록금 반환’ 국민의견 수렴해 제도개선 추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0 12
4840 자동차관리법 시행령,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0 18
4839 8.17일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른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0 14
4838 추석 명절 앞두고 불공정 하도급 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1 13
4837 전자파 차단 관련 부당광고행위에 대한 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1 17
4836 과기정통부, 특별재난지역 전파사용료 6개월간 전액 감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1 15
Board Pagination Prev 1 ...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