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액체괴물(슬라임) 100개 제품 리콜 명령

 

- 국표원, 액체괴물 148개 제품 안전성조사 결과 발표 -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액체괴물이 어린이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됨에 따라 법상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19년부터는 붕소를 안전관리 대상물질(기준치 : 300ppm(mg/kg))로 새로 추가하면서 시중에 유통 중인 액체괴물 148개 제품을 집중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100개 제품에서 붕소, 방부제(CMIT,MIT), 프탈레이트 가소제등의 유해물질이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됨에 따라, 해당 제품에 대해 수거등의 명령(제품안전기본법 제11, 어린이제품 안전특별법 제6)조치를 하였다.

또한, 안전기준에는 적합했으나, KC마크, 제조년월 등의 표시 의무를 위반한 10개 제품에도 개선조치 권고를 하였다.


 

조사 개요


조사기간 : ’19.3. ~ 9

 

조사대상 : 시중에 유통 중인 액체괴물 148개 제품

 

시험항목 : 붕소, 방부제(MIT/CMIT ), 프탈레이트 가소제 등 유해화학물질

 

* 시험항목별 위해성

 

붕소 : 붕소에 노출될 경우 눈과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며, 반복 노출 시 생식·발달에 문제 발 생 가능

 

방부제 : 방부제 성분 삼킬 시 유독하며, 사용 시 알레르기성 피부 반응 일으킬 수 있음

 

 

 

가소제 : 프탈레이트 가소제에 노출될 경우 간,신장 등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음

 

 

 

조사결과 : 리콜명령 100/ 개선조치 권고 10

 

 

■ 리콜명령대상 100개 제품에 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개 제품 중 87개 제품에서 붕소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되었으며, 이중에서도 17개 제품은 붕소뿐 아니라 방부제(16개 제품)와 프탈레이트 가소제(1개 제품)가 함께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그 외 13개 제품은 붕소 기준치는 충족하였으나, 8개 제품에서 방부제가,5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각각 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안전성조사 결과 부적합 상세표>

제 품

조사

대상

부적합 시험항목

붕소

붕소·

방부제

붕소·

가소제

방부제

가소제

소계

액체괴물

148

70

16

1

8

5

100


■ 국표원은 이번 리콜 명령을 내린 100개 제품판매원천차단조치하기 위해 11.12일자로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kr) 행복드림(www.consumer.go.kr)에 제품정보를 공개하고, 제품안전 국제공조 일환으로 OECD 글로벌리콜포털(globalrecalls.oecd.org) 등록하였다.

이와 함께 전국 유통매장과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된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에도 등록하면서, 소비자·시민단체와 연계하여 리콜정보 공유 등의 홍보강화로 리콜제품이 시중에서 유통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감시·조치할 예정이다.

또한 국표원은 수거되지 않은 리콜제품이 발견되면 국민신문고 또는 한국제품안전관리원(02-1833-4010)으로 신고해 줄 것과 리콜제품을 사용 중인 소비자는 제조수입·판매사업자로부터 수리·교환·환불 등의 조치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한편, 국표원은 지난 ‘18년도에도 2차례에 걸쳐 액체괴물에 대해 238개 제품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고 방부제, 프탈레이트 가소제 등의 유해물질 기준치를 초과한 90개 제품을 리콜조치한 바 있으나, 부적합률이 개선되지 않고 리콜제품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향후에도 안전관리를 지속 강화할 예정이다.



[ 산업통상자원부 2019-11-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959 출생부터 노후까지 내 삶에 필요한 복지, 한 권에 담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8 33
7958 미세먼지 해결방안에 대한 국민 아이디어 모은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0 33
7957 중환자 생명권 보호를 위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추진 시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33
7956 내년부터 자율주행 버스·화물차 일반 도로에서 만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33
7955 7개 공기청정 제품 제조·판매사업자의 부당한 표시·광고행위 제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9 33
7954 장기요양 수급자의 지역사회 생활을 돕는 통합 서비스 제공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0 33
7953 골든타임 중요한 급성기뇌졸중...진료 잘하는 병원 미리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33
7952 고용노동부, 판매직 노동자 건강보호에 발 벗고 나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4 33
7951 부실시공 주택건설 사업자·시공사 선분양 제한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4 33
7950 의류제품 소비자분쟁, 절반 이상이 사업자 책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4 33
7949 노인학대 신고, 참견이 아니라 도움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4 33
7948 보다 편리해진 정보공개 이제 스마트폰 신청도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0 33
7947 천재지변·질병·사고 등으로 응시 못하면 중·고등학교 입학전형료 돌려줘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6 33
7946 식약처, 중국 화하이 제조‘발사르탄’사용 우려 관련 현장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0 33
7945 “폐의약품, 이렇게 처리합시다~” '국민생각함’ 청소년 정책아이디어 톡톡 튀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1 33
Board Pagination Prev 1 ...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