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2019년 10월, ‘점퍼·재킷류‘, ‘코트‘ 등 의류 관련
소비자상담 증가율 높아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주경순)는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상담을 빅데이터시스템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2019년 10월 전체 상담 건수가 전월 대비 6.7% 증가했다고 밝혔다.


◎ 소비자상담 전월 대비 6.7% 증가

2019년 10월 소비자상담은 59,904건으로 전월(56,162건) 대비 6.7%(3,742건) 증가했고, 전년 동월(65,763건) 대비 8.9%(?5,859건) 감소했다.


◎ 전월 대비 ‘점퍼·재킷류’, ‘코트’ 등 의류 관련 상담 증가율 높아

상담 증가율 상위 품목을 분석한 결과, 전월 대비 점퍼·재킷류가 116.3%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코트(103.9%), 숙녀화(구두·부츠 등)(87.4%) 등의 순이었다.

계절의 변화로 상담이 다발한 점퍼·재킷류, 코트, 숙녀화(구두·부츠 등)의 주요 상담 내용으로는 온라인으로 구입한 의류의 배송지연, 미배송, 사이즈 착오로 인한 교환 및 환급 문의, A/S 관련 문의 등이 있었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높았던 3개 품목은 '전기의류건조기'(1,735.5%), '공연관람'(132.4%), '모바일정보이용서비스'(63.4%) 순이었다.

특히, '모바일정보이용서비스'는 자동결제서비스로 인한 상담이 증가했으며 인앱결제* 관련 상담, 영화 및 음악 어플리케이션 사용 중 발생하는 피해의 해결 방법에 대한 문의가 많았다.

*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시 또는 사용 중에 발생하는 자동 구독 갱신


◎ 30대(31.4%), 품질·A/S(28.9%) 관련 소비자상담 많아

연령대별로는 30대가 17,711건(31.4%)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15,580건(27.6%), 50대 10,086건(17.9%) 순이었다.

상담사유별로는 품질·A/S(17,271건, 28.9%), '계약해제·위약금'(12,363건, 20.7%), '계약불이행'(8,775건, 14.6%) 순이었으며, 일반판매를 제외한 판매방법 중에는 '국내 전자상거래'(15,436, 25.8%), '방문판매'(2,426건, 4.0%), '전화권유판매'(1,729건, 2.9%)의 비중이 높았다.



[ 한국소비자원 2019-11-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985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지방 분해 시술 시 충분한 설명이 없었다면 시술비 전액 환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3 19
7984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정확한 진단 없는 도수치료로 환자의 허리디스크가 악화됐다면 의사에게 배상 책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1 15
7983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수리할 경우에만 보상되는 휴대폰 파손보험, 수리가 불가능해도 보험금 지급”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0 13
7982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보험기간 중 사고로 보험만기 직후 사망했다면 사망보험금 지급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24 23
7981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반려동물 수술 시 설명을 충분히 하지 않았다면 수의사는 위자료 배상 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3 37
7980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건강검진 대장내시경 검사 중 용종 절제를 '수술'로 알리지 않았다며 해지한 보험계약의 원상회복”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3 80
7979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직장 신경내분비종양을 암으로 인정하여 보험금 지급’ 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7 57
7978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LG전자(주) 의류건조기 집단분쟁 “위자료 10만원 지급”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0 11
7977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LG전자 의류건조기 집단분쟁조정 개시 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6 23
7976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C2C 플랫폼의 판매자 정보제공 의무 책임 인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6 17
7975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통신비 절감을 미끼로 불리한 계약 유도한 휴대폰 판매점에 배상 책임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1 20
7974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치과임플란트는 단계별 의료행위이므로 치료비 전액 선납보다는 치료단계별 납부가 바람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14 20
7973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안전상 중대한 하자 있는 전동휠, 제조사가 도산했더라도 판매자가 환급"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7 10
7972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상품권의 유효기간 경과로 지급된 적립금, 사용기간이 경과되어도 잔액의 90% 환급"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19 22
7971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머지포인트 집단분쟁조정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14 39
Board Pagination Prev 1 ...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