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2019년 10월, ‘점퍼·재킷류‘, ‘코트‘ 등 의류 관련
소비자상담 증가율 높아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주경순)는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상담을 빅데이터시스템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2019년 10월 전체 상담 건수가 전월 대비 6.7% 증가했다고 밝혔다.


◎ 소비자상담 전월 대비 6.7% 증가

2019년 10월 소비자상담은 59,904건으로 전월(56,162건) 대비 6.7%(3,742건) 증가했고, 전년 동월(65,763건) 대비 8.9%(?5,859건) 감소했다.


◎ 전월 대비 ‘점퍼·재킷류’, ‘코트’ 등 의류 관련 상담 증가율 높아

상담 증가율 상위 품목을 분석한 결과, 전월 대비 점퍼·재킷류가 116.3%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코트(103.9%), 숙녀화(구두·부츠 등)(87.4%) 등의 순이었다.

계절의 변화로 상담이 다발한 점퍼·재킷류, 코트, 숙녀화(구두·부츠 등)의 주요 상담 내용으로는 온라인으로 구입한 의류의 배송지연, 미배송, 사이즈 착오로 인한 교환 및 환급 문의, A/S 관련 문의 등이 있었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높았던 3개 품목은 '전기의류건조기'(1,735.5%), '공연관람'(132.4%), '모바일정보이용서비스'(63.4%) 순이었다.

특히, '모바일정보이용서비스'는 자동결제서비스로 인한 상담이 증가했으며 인앱결제* 관련 상담, 영화 및 음악 어플리케이션 사용 중 발생하는 피해의 해결 방법에 대한 문의가 많았다.

*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시 또는 사용 중에 발생하는 자동 구독 갱신


◎ 30대(31.4%), 품질·A/S(28.9%) 관련 소비자상담 많아

연령대별로는 30대가 17,711건(31.4%)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15,580건(27.6%), 50대 10,086건(17.9%) 순이었다.

상담사유별로는 품질·A/S(17,271건, 28.9%), '계약해제·위약금'(12,363건, 20.7%), '계약불이행'(8,775건, 14.6%) 순이었으며, 일반판매를 제외한 판매방법 중에는 '국내 전자상거래'(15,436, 25.8%), '방문판매'(2,426건, 4.0%), '전화권유판매'(1,729건, 2.9%)의 비중이 높았다.



[ 한국소비자원 2019-11-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25 2019년 기준 가맹현황 분석 자료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15
5524 '19년 12월 결산법인은 3월말까지 법인세 신고·납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64
5523 빈집을 활용한 자율주택정비사업으로 동네가 새롭게 태어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21
5522 현대, 벤츠, BMW, 아우디, 한불 결함시정(리콜) 실시[총 5개사 12,463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33
5521 28일부터 승용·화물·특수차도 캠핑카로 제작·튜닝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15
5520 코로나19 예방 위해 유연근무제 지원절차 간소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8
5519 2019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11
5518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검역법」·「의료법」, 2월 26일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12
5517 어린이 키 성장 효능.효과 표방 업체 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16
5516 실습 등 목적인 경우에 한해 청소년 호텔 근무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31
5515 저가형 휴대용 카시트, 안전인증 표시 없고 보호기능도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19
5514 무인민원발급 수수료, 신용카드·모바일 결제까지 확대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32
5513 어린이집 보육시간, 기본보육과 연장보육으로 구분하여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8 24
5512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하한액 32만 원·상한액 503만 원 2020년 7월부터 상향 적용 예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8 35
5511 174개「국민안심병원」지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8 12
Board Pagination Prev 1 ...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