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농업직불금’ 신청요건 관련 민원 가장 많아...

“온라인 신청 도입 등 신청절차 개선 필요”

- 최근 4년 간 농업직불금 관련 민원 1,094건 분석 -

 
□ 농업직불금 관련 민원을 분석한 결과, ‘직불금 신청요건’에 대한 민원이 53.7%로 가장 많았고 온라인 신청 도입 등 신청과정에서 겪는 각종 불편을 개선해 달라는 국민의 목소리도 확인됐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2016년부터 올해 6월까지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농업직불금 관련 민원 1,094건의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 국민신문고 및 지자체 개별 창구(시도포털, 새올) 등을 통해 접수된 민원 빅데이터(Big-Data)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하는 범정부 민원분석시스템
 
□ 농업직불금은「농업소득의 보전에 관한 법률」등에 따라 농산물 가격 하락으로부터 농가의 소득을 안정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지원금이다.
  
최근 4년 간 농업직불금 관련 민원의 월평균 발생량은 26건이며 연도별로는 2017년에, 시기별로는 직불금 신청을 시작하는 매년 1분기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11

 전체 민원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직불금 신청요건’과 관련된 내용이 절반을 넘는 53.7%(588건)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직불금 부정수급’ 관련 민원’이 17.9%(196건), ‘직불금 신청절차’ 관련 민원이 14.8%(162건) 등으로 많았다.
 
12
 
□ ‘직불금 신청요건’ 관련 민원은 직불금 신청요건 중 농업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농업경영체 등록이나 농지원부 발급 등과 관련된 내용이 44.4% (261건)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직불금 지급대상 제외 범위와 관련된 민원이 27.2%(160건), 관외 거주자에 적용되는 까다로운 요건에 대한 불만이 8.3%(49건), 직불금 지급대상 농지 관련 문의가 5.4%(32건), 지급대상 작물에 포함 여부 문의가 2.7%(16건)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 귀농인 등 신규농의 직불금 신청요건에 대한 문의가 2.0% (12건), 상속 등 승계와 관련된 문의가 1.5%(9건)이었으며, 신규농의 경우 농사를 짓기 시작한 해부터 바로 직불금을 지급받도록 해달라는 민원이 다수 있었다.
 
13
 
□ ‘직불금 부정수급’과 관련한 민원은 특정 논밭 등에 직불금 지급이 적정한 지에 대한 사실 확인 및 조사 요구가 67.9%(133건)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신고 후 미흡한 처리에 대한 불만이 11.2%(22건), 신고 관련 제도 문의가 9.2%(18건), 직불금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요청이 6.6%(13건), 담당공무원 또는 마을이장 등의 비위 의심이 3.6%(7건)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직불금 지급의 투명성 강화와 부정수급 근절을 위해서는 직불금 지급내역의 공개범위 확대, 신고처리 지침 마련 등 신고 사후관리와 제재부가금 증액 등 처벌을 강화할 필요가 있어 보였다.
 
14
 
 
□ ‘직불금 신청절차’와 관련된 민원은 직불금 신청에 필요한 정보 문의가 35.8%(58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담당공무원 등의 불친절한 태도에 대한 이의가 18.5%(30건), 과거 지급내역에 대한 문의가 14.2%(23건), 신청절차 중에 겪는 각종 불편 및 건의사항이 13.6% (22건) 등 순으로 많았다. 불편 사례 중에는 직불금 신청 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없다거나 마을이장의 확인을 거쳐야 하는 것 등이 있었다.
 
15
 
□ 이 외에도 직불금을 신청했는데 담당공무원의 등의 과실로 누락됐거나 기한 내 신청하지 못해서 지급받지 못하는 등 직불금 지급 누락·지연에 대한 불만이나 구제를 요청하는 민원(7.3%, 80건) 등이 있었다.
 
□ 국민권익위 민성심 권익개선정책국장은 “농업직불금의 부정수급 방지를 위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농업인들이 직불금을 지급받을 때 불편을 유발하는 요건과 절차는 적극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민원 빅데이터가 정부 혁신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의 국민의 목소리를 분석하겠다.”고 말했다.
  
국민권익위는 ‘농업직불금’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가 정부 정책에 활용될 수 있도록 민원분석 결과를 농업직불금 소관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와 직불금 신청‧지급을 담당하는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에 통보하고, ‘한눈에 보는 민원 빅데이터(bigdata.epeople.go.kr)’를 통해 국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 국민권익위원회 2019-11-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09 대포통장 증가 금융사에 대한 점검 및 대응책 조속 추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3 275
8008 대폭 인상된 초·중·고 교육급여·교육비, 지금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13
8007 대표이사, 이사 등 퇴임시 연대보증 꼭 정리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3 199
8006 대학 강의실 방문 인터넷강의 판매 피해 급증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7 110
8005 대학 기성회비 집행내역 등 정보공개 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0 147
8004 대학 부설 한국어교육원, 환불사유·범위 구체적 명시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17 45
8003 대학 신입생의 금융위험 대처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9 209
8002 대학 원격교육 내실화를 위해 저소득층 대학생에게 스마트 기기 무상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9 11
8001 대학·학생·교육부, 2022년까지 대학 입학금 전면 폐지 합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9 38
8000 대학기숙사비 적정성 분석 보도자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6 460
7999 대학등록금, 희망사다리 장학금으로 한번에 해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7 10
7998 대학생 노리는 불법 다단계 판매 피해주의보 발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3 85
7997 대학생 대상「보이스피싱에 대한 인식도」설문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31 22
7996 대학생 소비자 피해예방 캠페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8 129
7995 대학생 학자금 지원제도 및 대학생 대출사기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7 108
Board Pagination Prev 1 ...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