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망자 5명 중 4명 화장(火葬)

전국 화장률 79.2%, 전년대비 2.3%↑, 경남 통영 95.2% 최고

장례문화 변화에 맞춰 친자연적 장례 확산 및 불법분묘 정비 등 필요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2014년도 전국 화장률이 79.2%로 최종 집계되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년 전인 1994년도 화장률 20.5%에 비해 약 4배 증가했으며, 2013년 화장률 76.9% 보다 2.3%p 높아진 것이다.

* 화장률 : ’94년) 20.5% → ’04년) 49.2% → ’10년) 67.5% → ’14년) 79.2%

성별 화장률은 남성 80.7%, 여성 77.4%로, 남성 사망자 5명 중 4명이 화장을 했으며 여성에 비해 3.3%p 높았다.

연령별로는 20대 사망자의 경우 99.3%를 화장하는 등 60대 미만의 화장률은 93.9%였으나, 60대 이상의 화장률은 75.4%로 나타났다.

시․도별 화장률에서는 부산의 화장률이 90.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인천 89.4%, 울산 86.6%, 경남 86.0% 등 8개 시․도(부산, 인천, 울산, 경남, 서울, 경기, 대전, 대구)가 전국 평균보다 높게 화장하였으며,

화장률이 낮은 지역은 충남 62.6%, 제주 63.5%, 전남 65.2%, 충북 65.7% 등의 순이었다.

수도권 지역의 화장률은 85.8%였으나, 비수도권은 74.8%로 수도권 지역의 화장률이 비수도권에 비해 11.0%p 높았고,

- 서울, 부산 등 8개 특별․광역시의 화장률은 85.2%였으나, 그 외 지역은 75.2%로 특별․광역시에 비해 10.0%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230개 시․군․구 중 화장률이 높은 지역은 경남 통영시로 화장률이 95.2%였고, 경기 안산시 94.5%, 경남 남해군 94.3% 등의 순으로 화장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전남 곡성군의 화장률은 34.0%, 전북 장수군 36.4%, 경북 예천군 39.4%, 전남 장흥군 41.4% 등의 지역이 화장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화장률 통계에 대하여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2005년에 화장률이 매장률을 넘어선(’05년 화장률 52.6%) 이후에 연평균 약 3%p씩 화장률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내년에는 화장률이 선진국 수준인 80%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하면서,

매장에 비해 쉽고 깨끗하고 위생적인 관리, 간편한 절차와 저렴한 비용 등으로 화장률이 더욱 증가할 것을 대비하여 화장관련 시설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인프라 확충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4인 이상 가구) : ’00년) 44.5% → ’10년) 35.6% → ’20년) 32.6% → ’30년) 29.0% (통계청)

**(화장 희망 이유) : 관리 용이 40.6%, 깨끗‧위생적 36.2%, 절차 간편 13.6%, 저비용 2.6% (한국장례문화진흥원, ’15년)

2014년 말 현재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화장시설은 55개소이고, 화장로는 316개가 공급되어 있다.

따라서, 연간 최대 화장능력(시설당 예비화장로 1개 제외, 1일 3회, 360일 가동)은 281,880건(1일 평균 772건)이므로 2014년 사망자(267,692명) 중 화장한 사망자(212,083명, 1일 평균 581명)를 감안할 때 국내 화장시설은 부족하지 않지만,

- 경기도, 서울 등 화장시설이 부족한 일부 지역의 주민이 화장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장거리 이동을 해야 하고, 비싼 관외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으므로 일부 지역에는 시설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1일 화장능력) (316개 - 시설당 예비화장로 1개씩 55개 제외) × 3회(1일 화장로 가동횟수) × 360일 가동 = 281,880건 ÷ 365일 = 1일 평균 772건

* (1일 화장수요) ‘14년 사망자 267,672명 × 79.2% ÷ 365일 = 581명

또한, 보건복지부는 화장률 80% 시대를 앞두고 매장을 규제하는 장사제도에서 화장 후 친자연적인 장례를 확산하는 선진국형 장사제도로 전환하기 위해

자연장 등 친자연적인 장례 문화를 조기 확산하고, 국토 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방치되고 있는 불법분묘를 정비하는 방안과 품위있고 검소한 장례의식을 확산하고, 일부 장례식장․봉안당 등의 리베이트와 강요․강매의 근절 등을 위한 정책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15-11-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65 외국인 사업자와 관광객도 신용카드로 기차나 공연장 예매를 할 수 있게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5 11
1564 수입 ‘능이버섯’ 진위 확인 검사 결과, 부적합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8 11
1563 장애인과 함께 사는 부모의 배우자에게도 장애인 주차증 발급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7 11
1562 2023년 4월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0 11
1561 ’23년 상반기 코로나19 고위험군 접종계획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0 11
1560 맛+영양+저염.저당 도시락 요리대회에 도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0 11
1559 재난적의료비 지원한도 3천만 원 → 5천만 원 상향 등 의료안전망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2 11
1558 불법숙박업소,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2 11
1557 재난문자, 국민 생활에 맞게 송출기준 개선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9 11
1556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지방분해주사제 반복 투여에 따른 알레르기 반응 악화에 위자료 배상 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7 11
1555 수입 ‘냉동소족’ 제품 동물용의약품 기준 초과 검출되어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5 11
1554 미래 세대와 함께 열어가는 용산어린이정원, 5월 4일 개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5 11
1553 중앙행심위, 행정심판 ‘재결일로부터 30일까지’ 처분 집행정지 기간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3 11
1552 긴급복지 연료비 인상으로 동절기 위기가구 지원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1 11
1551 2020년 전체 전체 사망자의 8.7%는 손상으로 사망, 연간 진료비 5조 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16 11
Board Pagination Prev 1 ... 817 818 819 820 821 822 823 824 825 82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