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최근 3년간(2016~2018년)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접수된 이동전화서비스 관련 소비자 피해구제 신청은 3,396건으로 서비스 분야 피해다발 품목 2위를 차지했다.

* 이동전화서비스 피해구제 접수 건수 : (2016년) 1,141건 → (2017년) 1,144건 → (2018년) 1,111건

이는 이동통신사업자가 이동전화 가입 당시 소비자에게 주요 계약 내용을 충분히 설명·고지하지 않거나 약정한 지원금을 지급하지 않는 계약 불이행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계약 불이행 등 ’이용단계’에서의 소비자피해가 57.7%로 가장 많아

2018년 접수된 이동전화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신청 1,111건을 피해발생시점별로 분석한 결과, ‘이용단계’에서의 피해가 57.7%로 가장 많았으며, ‘해지단계’ 23.5%, ‘가입단계’ 17.3%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유형별로는 구두 약정과 다른 계약 내용, 약정한 지원금 미지급 등 ‘계약 불이행’이 42.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청약철회 거부’ 15.4%, ’주요내용 설명·고지 미흡’ 11.5% 등의 순이었다.

2015년 현황과 비교 분석한 결과, 청약철회 거부가 가장 큰 폭(83.9%)으로 증가한 반면, 가입 지연·누락, 통화 품질 불량은 각각 57.6%, 50.5% 감소했다.

LGU+, 가입자 100만명당 피해구제 신청 건수 32.1건으로 가장 많아

2018년 이동통신 3사별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LGU+가 428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KT 296건, SKT 237건 순이었다.

2015년 신청 현황과 비교하면, 가입자 100만명당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LGU+가 39.6% 증가한 반면, SKT와 KT는 각각 30.6%, 17.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LGU+ ‘가입·이용·해지단계’, SKT·KT ‘해지단계’에서의 소비자피해가 2015년 대비 증가

2018년 이동통신사의 피해발생시점별 소비자피해는 LGU+의 경우 ‘가입·이용·해지단계’에서 모두 2015년 대비 44.0~94.9% 증가했고, KT와 SKT는 ‘해지단계’에서만 각각 86.0%, 7.0% 증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피해 감소를 위해 ▲판매점·대리점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청약철회 관련 피해 발생시 적극 처리, ▲피해구제 합의율 제고 등 업계의 자율개선 노력을 요청했으며, 주요 계약 내용 설명·고지 미흡, 계약 불이행, 청약철회 거부 등 주요 소비자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방송통신위원회 등 유관기관과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이동통신 이용 소비자들에게는 ▲계약에 앞서 요금제, 약정기간, 약정조건에 따른 할인금액, 위약금 등 주요 내용을 확인할 것, ▲이용하지 않은 요금이 청구될 수 있으므로 매월 요금청구서의 상세 내역을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소비자원 2019-10-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916 부동산 전자계약만 잘 이용해도 최대 650만원 절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4 47
7915 2017년 4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7 47
7914 모바일 결제 시 유료부가서비스 '나도 모르게 가입' 피해방지 제도개선 추진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7 47
7913 2017년 4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6 47
7912 “스팩(SPAC), 지난 7년간 얼마나 성장했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6 47
7911 나트륨 함량 비교 표시 제도 본격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5 47
7910 2017년 4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5 47
7909 금융꿀팁 200선- (48) 어르신을 위한 금융꿀팁(1) : 은행거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08 47
7908 ‘중대재해 사이렌’의 모든 자료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홈페이지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1 46
7907 일부 어린이 헤드셋,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 초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3 46
7906 포드·볼보·테슬라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10 46
7905 재난적의료비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9.27)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7 46
7904 식용얼음 등 여름철 다소비 식품 수거.검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2 46
7903 2021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46
7902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정확한 사용방법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46
Board Pagination Prev 1 ...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