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식약처 정부혁신 BI 큰글씨2안(PNG).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239pixel, 세로 1772pixel 프로그램 이름 : Adobe ImageReady

 

2019. 10. 28.()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종양약품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식약처_국_상하.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17pixel, 세로 945pixel

 

박 창 원

(043-719-3051)

연 구 관

백 주 현

(043-719-3052)

동물용 구충제, 동물에게만 허가된 약입니다.

고용량·장기간 투여 장기 손상 부작용 발생 주의 당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 대한암학회는 동물용 구충제인 펜벤다졸’을 암환자에게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다시  밝혔습니다.

  항암제를 포함한 모든 의약품 사람 대상으로 임상시험에서 안전하고 효과 있는지 입증하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항암제는 신물질 발견 후 암세포 실험, 동물실험을 거쳐 사람에서 안전한 용량을 확인(1상 시험)하고, 암의 종류별로 효과를 확인(2상 시험)한 후 기존 항암제와 비교(3상 시험)하여 시판을 하게 됨

  - 최근 SNS 등을 통해 확산되고 있는 펜벤다졸’의 항암효과 사람이 아닌 세포 동물 대상으로 연구결과입니다.

사람에게 항암효과 나타내는 의약품 이미 허가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펜벤다졸’은 암세포의 골격을 만드는 세포내 기관 억제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이러한 작용으로 허가된 의약품 성분으로는 ‘빈크리스틴’(86 허가), ’빈블라스틴’(92 허가), ’비노렐빈’(95 허가) 있으며, 유사한 작용으로 허가된 의약품 성분은 ’파클리탁셀‘(96 허가) ‘도세탁셀’(06 허가) 있습니다.

  항암제는 개발과정에서 일부 환자에게 탁월한 효과 나타내더라도 최종 임상시험 결과에서 실패 사례가 있으므로 한두 명에서 효과가 나타난 것을 약효 입증되었다고 수는 없습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구충 효과를 나타내는 낮은 용량에서는 부작용 나타나지 않을 있으나, 항암효과를 위해서는 고용량, 장기간 투여하여야 하므로 혈액, 신경,  등에 심각한 손상  부작용 발생 있다고 주의 당부하였습니다.

  특히, 항암제와 함께 구충제를 복용하는 경우 항암제와 구충제 간의 약물상호작용으로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 나타날 있습니다.

   약물상호작용은 여러 약물을 함께 복용 시 복용하는 약물 간에 서로 영향을 주어 체내에서 약물 농도를 높여 부작용이 많이 발생하거나, 반대로 농도를 낮추어 기대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작용임

  또한, 유튜브 등을 통해 유포되고 있는 펜벤다졸’과 관련된 다음의 주장은 증명된 사실이 아닙니다.

   1. 항암제로서 효과가 있다.

    ‘펜벤다졸’은 최근까지도 사람 대상으로 임상시험결과 없으며, 오히려 종양 촉진시킨다는 동물실험 결과 상반된 보고 있었습니다.

       1996년 오노데라 등, 2009년 쇼다 등의 연구

   2. 40 동안 사용되어 안전한 약제이다. 

    40 이상 사용된 대상은 동물()이며, 사람에게는 처방하여 사용 적이 없으므로 사람이 사용할 때의 안전성 보장할 없습니다.

   3. 체내 흡수율이 20%정도로 낮아서 안전하다.

    흡수율이 낮은 암제는 효과도 적을 가능성이 높아 고용량 복용해야 하는 경우 용량 증가 따라 독성 증가하게 됩니다. 

식약처는 대한암학회 전문가와 함께 동물용 구충제를 항암제로 복용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전하고 적절한 치료 이루어질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9-10-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99 변액보험 수익률 알림 서비스가 시작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0 26
7898 2018년 8월 23일부터 음악 공연권 행사 범위 확대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0 32
7897 영문 예방접종 확인서류, 온라인 발급 서비스 신규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0 42
7896 방송·통신 결합상품 가입 시 중요정보 제대로 전달 안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0 28
7895 재난안전 문제해결! 국민 아이디어 듣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0 25
7894 정부혁신 누리집(홈페이지)에 문패를 달아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0 45
7893 환경성 위반 제품, 온라인쇼핑에서도 발빠르게 감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0 97
7892 고교 취업연계 장려금, 첫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1 58
7891 소득 조금 늘어도 기초연금 2만 원 감액하는 제도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1 31
7890 장애인연금 부가급여액 변동, 알기 쉽게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1 36
7889 주택 지하 보일러실 장기 거주 세입자들에게 공공임대주택 특별공급자격 인정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1 27
7888 일상 속 「보험사기 피해예방 알쓸신잡」 시리즈 [3/4] -자동차사고 등으로 정비업체 이용 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1 24
7887 개학기 어린이 교통안전·제품 등 집중 단속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1 29
7886 방문판매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2 21
7885 소상공인 · 자영업자 지원대책」中 세금 부담 완화 방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2 34
Board Pagination Prev 1 ...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