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96개 항공사가 53국·177개 도시·378개 노선에 대해 주 4,980회 운항
- 국가별 운항횟수 비중은 ①중국, ②일본, ③베트남 순, 일본노선은 24%감소
- 인천 發 헝가리 부다페스트, 중국 남통·린이 등 신규노선 개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2019년 동계기간(‘19.10.27~’20.3.28) 동안의 국제선과 국내선의 정기편 항공운항 일정표(스케줄)을 인가하였다고 밝혔다.
* 세계 대부분 나라들은 미주 유럽의 일광절약시간제(daylight saving time)에 따른 운항시각 변동과 계절적 수요에 탄력적 대처를 위해 1년에 2차례(동·하계) 일정을 조정함

이번 동계기간에는 국제선은 96개 항공사가 총 378개 노선에 왕복 주 4,980회 운항할 계획이며, 전년 동계와 대비하여 운항횟수는 주 135회(약 2.8%↑) 증가하였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전체 운항횟수의 약 25.3%(주 1,260회)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일본이 약 18.9%(주 939회), 베트남 약 11.4%(주 569회), 미국 약 10.7%(주 534회) 등의 순이다.

’18년 동계 대비 운항횟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국가는 주 126회가 증가한 베트남이고, 다음이 중국(주 122회↑), 필리핀(주 66회↑) 등의 순이다.

반면,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 방일 관광객 감소에 따라 일본노선은 ‘18년 동계대비 약 24%*(주 301회↓) 대폭 감소하여 ’18년 동계(‘18.10월)기간 이후 유지하던 운항횟수 1위에서 1년 만에 밀려났다.
* ‘19년 하계(’19.3.31-‘19.10.26) 기간보다는 25.4% 감소(주 1,258회→주 939회)

동남아시아 등으로 노선 다변화 및 항공회담을 통한 중국 운수권 배분(5월)에 따라 일본운항 감소에도 불구하고 ‘18년 동계 대비 ’19년 동계 국제선 운항횟수는 135회 확대(2.8% 증가)되었다.

항공사별 운항횟수 비율을 보면, 우리나라 항공사 64.9%(주 3,230회), 외항사 35.1%(주 1,750회)이며, 대형항공사*(FSC)는 56.3%(주 2,584회), 저비용항공사*(LCC)는 43.7%(주 2,006회)를 차지한다.
* FSC와 LCC 운항횟수는 화물을 제외한 여객 기준

우리나라에서 운항횟수가 많은 도시는 홍콩(주 281회), 일본 동경(나리타, 주 269회), 일본 오사카(주 264회), 중국 상해(푸동, 주 247회) 순이다.

특히, 인천-남통(중국), 인천-린이(중국), 인천-부다페스트(헝가리), 제주-남통(중국), 대구-장자제(중국), 무안-장자제(중국) 등은 신규 개설된 노선이다.

한편, 우리나라 LCC의 운항횟수는 전년 동기대비 약 2.8% 증가(주 1,588→주 1,632회)하였다.

국내선은 총 22개 노선에서 주 1,825회를 운항하게 되며 전년 동계기간 대비, 운항횟수가 주 4회(0.2%, 왕복기준) 감편되었다.

제주노선(13개)은 주 1,491회로 전년 동계기간 대비, 주 25회 증편(1.7%↑)되었다.

내륙노선(9개)은 주 334회로 전년 동계기간 대비, 주 29회 감편(7.9%↓)되었다.

국토교통부는 항공편을 이용하는 여행객과 화주들에게 10.27일부터 변경되는 동계 운항스케줄을 항공사 누리집(홈페이지) 등을 통해 미리 확인할 것을 당부하였다.


[국토교통부 2019-10-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89 2018년 8월 강원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7 58
6088 SNS 내정보 지키는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동!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7 45
6087 올해의 최고의 민원제도개선 사례를 뽑아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7 63
6086 자살 유족을 위한 홈페이지‘따뜻한 작별’에서 따뜻한 도움을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7 32
6085 국립 박물관·미술관과 함께 풍성한 한가위 명절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7 56
6084 조세탈루혐의에 대한 벌금 등 처분 시 불복절차 안내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7 72
6083 국민콜 110, 추석 연휴에도 24시간 정상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7 50
6082 ‘추석 성수품 수송’ 화물 차량 도심통행 제한 일시 완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64
6081 분양가상한제 기본형건축비 0.53% 상승…9월 15일부터 적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52
6080 LPG트럭 구매 시 400만 원 지원…도심 미세먼지 해소 기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44
6079 9월 재산세 납부, 인터넷과 ATM 기기에서 편리하게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58
6078 다소비 가공식품 2018년 8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39
6077 뇌 뇌혈관 자기공명영상법(MRI), 손 팔 이식술 등 건강보험 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75
6076 희귀질환 범위 늘리고, 의료비 등 지원 확대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지정 목록 총 927개 첫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151
6075 일상과 문화의 만남, 2018 전국생활문화축제 개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51
Board Pagination Prev 1 ...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