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용란 선별포장 적용 대상 허가 요건 개정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일부개정안 입법예고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 식용란선별포장업의 적용 대상 허가 요건을 개선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10 24 입법예고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달걀의 유통방식 개선과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구성한 ‘계란 유통구조 개선 T/F*’의 논의 결과를 제도화하기 위해 마련하였습니다.

   * 계란 유통구조 개선 T/F: 정부(식약처, 농식품부), 관련단체(양계협회, 계란유통협회), 학계, 소비자단체 등 참여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식용란 선별포장 적용 대상 개선 ▲식용란선별포장업 허가 요건 개선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적용업소 즉시인증취소 범위 확대 등입니다.

  「친환경농어업법」에 따른 유기식품등의 인증 농가, 1만수 이하를 사육하는 소규모 농가는 현실적으로 선별포장 의무를 이행하기 어려워 의무를 면제하는 대신 달걀의 위생·안전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위생처리 기준을 준수*하도록 하였습니다. 

   * 다만, 식용란수집판매업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인증 받은 경우 생략 가능

  또한, 식용란선별포장업을 허가 받으려는 시설(건물) 조류인플루엔자 가축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닭・오리 가금류 사육농가로부터 500미터 이내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아울러,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업체에 대해서 인증 이후 추가 생산 제품이나 변경 공정에 대한 위해요소분석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즉시 인증취소 있도록 인증관리를 엄격히 계획입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축산물 안전을 저해하는 행위 등에 대해서는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안전성과 무관한 절차적인 규제에 대해서는 합리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mfds.go.kr)→법령·자료→입법/행정예고에서 확인할 있습니다.

 

<첨부>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주요 내용

 

첨부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주요 내용

구 분

현 행

개 정 안

1. 식용란선별포장업 허가 요건 개선

<  >

o (시설기준 개선) 식용란선별포장업 하려는 건물은 닭・오리 등 가금류 사육시설과 500미터 이내 위치하지 않도록 규정(20.4.25. 이후 적용)

o (특례기준 삭제) 가축사육시설의 집란 또는 보관 시설 일부를 이용하는 경우 선별포장장을 갖춘 것으로 인정하는 현행 특례기준 삭제

2. 식용란 선별포장 처리 의무 예외 확대

o (선별포장 의무 예외)동물복지 인증을 받고 식용란수집판매업 HACCP 인증을 받은 후 최종 소비자에게 직거래 형태로 달걀을 판매하는 경우

o (선별포장 예외 확대) 달걀을 생산하면서 식용란수집판매업 신고를 하고 달걀을 직접 판매하는 경우로서 아래 해당 시 선별포장 의무 예외

 ① 유기식품 인증을 받고 식용란수집판매업 HACCP 인증 시

 ② 1만수 이하 사육 농가가 위생적 처리기준을 준수 하거나 식용란수집판매업 HACCP 인증 시

o 식용란수집판매업자가 선별포장업을 함께 운영하는 하는 경우 선별포장처리대장 작성으로 선별·포장의뢰서의 작성을 갈음할 수 있도록 함

3. HACCP 적용업소 즉시인증취소 범위 확대

<  >

o 추가된 제품·공정의 위해요소 분석을 누락한 경우

o 가열제품만 해당

o 중요관리점의 모니터링 또는 한계기준 이탈시 개선조치 미이행 사항을 모든 제품으로 확대

4. 기타 서식 개선

 

-

 

 

o 품목제조보고서에 비살균・살균・멸균 제품 여부 기재

o 도축검사신청서의 이력번호 기재 대상으로 닭・오리 추가(소・돼지→소・돼지・닭・오리)

o 생산실적 보고 시 국외 판매 금액의 단위를 현행 ‘천원’에서 ‘달러’로 개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13 Princess 블렌더(Blender2Go), 감전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8.04.12
3912 Pro-Tec 헬멧 2종, 머리가 다칠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17.12.06
3911 Proliss 모발건조기(Ionic Pro 2000), 코드 끊어져 화상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04.12
3910 PVC 장갑, 단쇄염화파라핀(SCCPs) 성분 포함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2 2018.04.12
3909 QM3 차량 브레이크 호스 마모 가능성 결함 시정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903 2015.05.06
3908 Radiant Colors 문신잉크(Trial Black), 발암 가능성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6.20
3907 Rafferty's Garden 영유아 시리얼(Organic Baby Rice Cereal), 알러지원 미표기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18.12.06
3906 RASTAR 유아용 전기자동차, 납 성분 과량 함유돼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8 2019.06.14
3905 Recaro 유아용 카시트 2종, 안전벨트 불량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17.12.06
3904 Red Crown 가성소다, 어린이 보호포장 미비하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20.05.21
3903 RED5 전동 거미 완구, 화재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11.04
3902 Remedy 피부크림 제품, 곰팡이 오염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9.05.16
3901 RICH 헤어 관리 제품 2종,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18.03.21
3900 RICH 헤어 관리 제품 3종,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18.03.21
3899 Richie House 아동용 잠옷(Children's robes), 방염성 기준 위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7.10.23
3898 Robertsons 레몬 커스터드(Lemon Curd) 크림, 곰팡이 발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1 2017.10.31
3897 Rock Empire 등반장비, 파손 가능성 및 부상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19.02.07
3896 Rock Solo 마이크(Karaoke Microphone & Speaker), 화재·폭발을 유발할 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3 2018.05.17
3895 RoHS2 납 성분 함유 기준을 위반한 차량용 무선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3.13
3894 RSV 감염증 발생 지속에 따른 영유아 감염 예방·관리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7.12.06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