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1. 지가변동률

【 종합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올해 3분기까지 전국 땅값이 2.88% 상승하였으며, 전년 3분기 누계(3.33%) 대비 0.45%p 하락했다고 밝혔다.

【 지역별 지가변동률 】

(시도별, %) 전년 동기 대비 지가변동률은 수도권(3.64 → 3.43%)과 지방(2.80 → 1.93%) 모두 감소하였다.

(수도권, 3.43%)서울(3.78), 경기(3.15), 인천(2.94) 순으로 높았으며, 서울·경기·인천 모두 전국 평균(2.88)보다 높았다.

(지방, 1.93%)세종(3.96)이 가장 높았으며, 광주(3.63), 대구(3.39), 전남(2.98) 3개 시·도는 전국 평균(2.88)보다 높았다.

(시군구별, %)용인 처인구(5.17), 경기 하남시(4.84), 대구 수성구(4.74), 경기 과천시(4.44), 서울 성동구(4.33)가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울산 동구(-1.41), 창원 성산구(-1.38), 창원 의창구(-1.37), 창원 진해구(-0.98), 경남 거제시(-0.97)는 땅값이 하락했다.

【 용도지역별 ·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 】

(용도지역별, %) 주거(3.22), 상업(3.12), 계획관리(2.60), 녹지(2.53), 농림(2.27), 생산관리(1.94), 공업(1.59)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용상황별, %) 상업용(3.22), 주거용(2.96), 전(2.52), 답(2.50), 임야(1.72), 공장용지(1.69), 기타(1.62)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2. 토지 거래량

【 종합 】

올해 3분기까지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205만 6천 필지(1,385.8㎢, 서울 면적의 약 2.3배)로, 전년 3분기 누계(241만 1천 필지) 대비 약 14.7%(△355,318 필지) 감소했다.

전년 3분기 누계 대비 주거용 거래량이 크게 감소(△243,869필지, 전체 감소분 중 68.6%)했으며, 거래유형별로도 전년 3분기 누계 대비 매매(△194,864필지, △14.8%)와 분양권(△165,794필지, △21.5%) 모두 감소했다.

한편,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75만 8천 필지(1,279.3㎢)로 전년 3분기 누계 대비 6.6% 감소했다.

【 지역별 토지 거래량 】

(시도별, %) 전년 동기 대비 토지 거래량은 대구(7.1)만 증가했고, 세종 (△37.2), 서울(△29.3), 제주(△27.9), 광주(△23.7) 등 16개 시·도에서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대구(1.9), 충북(0.9) 순으로 증가했고, 울산 (△30.2), 제주(△20.1), 세종(△14.5), 경남(△14.3) 등은 감소했다.

【 용도지역 · 지목별 토지 거래량 】

(용도지역별, %) 전년 동기 대비 개발제한구역(45.0), 자연환경보전(1.3) 지역의 거래량은 증가했고, 공업(△31.6), 주거(△17.5), 녹지(△12.5), 상업(△12.0), 관리(△7.1), 농림(△2.6) 지역 거래량은 감소했다.

(지목별, %) 전년 동기 대비 기타(잡종지 등, 5.3) 거래량만 증가하였고, 대(△18.8), 공장용지(△11.1), 전(△8.1), 답(△7.9), 임야(△4.1) 거래량은 감소했다.

(건물 용도별, %) 전년 동기 대비 기타건물(4.4) 거래량은 증가했고, 상업업무용(△21.5), 주거용(△20.2), 나지(△10.1), 공업용(△0.2) 거래량은 감소했다.


[국토교통부 2019-10-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85 제주특별자치도, 내륙지역보다 돼지고기 비싸고 생수 저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1 105
1684 보령·서천·태안·당진 등 8개 시·군 급수조정 및 절수지원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5 105
1683 외국인도 상속인 금융재산, 한번에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3 105
1682 겨울철 재해는 이렇게 예방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30 105
1681 한국소비자원 ‘섬유제품 권장품질기준’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30 105
1680 기간제를 무기계약직 근로자로 단정해 지원금 회수는 잘못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05 105
1679 반려동물 사후처리도 품위승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1 105
1678 학교 밖 청소년, 2명 중 1명 학교를 그만둔 것을 후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1 105
1677 한국소비자원장, 설 명절 맞아 서민 생활물가 동향 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2 105
1676 헌혈, 해외여행 후 1개월간은 피해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1 105
1675 주민등록번호 보호제도 한층 강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1 105
1674 인플루엔자 아직 ´안심은 일러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1 105
1673 지카바이러스 사실은 이렇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8 105
1672 식육가공품 고기함량 표시 의무화 등 소비자 정보제공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0 105
1671 여름철 말라리아, 뎅기열 등 모기 매개 감염병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2 105
Board Pagination Prev 1 ... 809 810 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