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시중에 유통되는 배터리 내장형 제품에서 충전 발화, 사용 중 화재발생함에 따라 전자담배, 보조배터리, 전기충전기 등 관련 제품 366개 모델에 대하여 6~9월 간 안전성조사실시하고
 
ㅇ 외부단락(합선)·과충전 시험 중에 발화하는 등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전자담배 1개, 보조배터리 1개, 직류전원장치 2개 총 4개 모델 대해 리콜 명령(제품안전기본법 제11조(수거등의 명령 등))조치를 하였다.

 

< 조사 결과 개요 >

 

 

 

․조사대상 : 전자담배 32개, 보조배터리 150개, 직류전원장치 46개 등 총 366개 모델

․리콜대상 : 전자담배 1개, 보조배터리 1개, 직류전원장치 2개 등 총 4개 모델


사진

제품명

(모델명)

사업자명

인증번호

부적합내용

 

전자담배

(502325)

명문이지팜

XU101273-17001A

외부단락(합선) 시험 중 내부회로 발화

 

보조배터리

(XB-902)

휴먼웍스

ZU10700-17001

과충전 시험 중 내부회로 발화

 

직류전원장치

(BX-0800400)

홈케어

HU10584-15006C

감전보호 미흡

 

직류전원장치

(GI90-4200200)

클라이블

HU10987-18002A

감전보호 미흡
    ( ※ 사진은 파일 참조하세요 )
  한편, 지난 7월에도 여름철 수요가 집중되는 전동킥보드·휴대용 선풍기 등 배터리 내장 제품에 대한 안전성조사를 실시하여 과충전 시험 부적합한 전동킥보드리콜명령한 바 있다.

국표원은 이와 같이 소비자의 선호에 따라 꾸준히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배터리 내장 제품 등에 대해 안전관리·감독강화 결과, 관련 제품의 안전기준 부적합 적발률*지속적으로 감소(‘17년, 6.3% → ‘19년, 0.7%)하고 있다고 밝혔다.

 * 배터리 내장 제품 : (‘17) 6.3% → (’18) 5.8% → (‘19) 0.7%

* 전기충전기(직류전원장치 포함) : (‘17) 18.5% → (’18) 6.9% → (‘19) 5.0%

이번에 리콜 명령을 내린 4개 모델시중판매를 원천 차단조치 위해 10.22일자로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kr) 행복드림(www.consumer.go.kr) 공개하고, 제품안전 국제공조 일환으로 OECD 글로벌리콜포털(globalrecalls.oecd.org)에 등록하였다. 

ㅇ 이와 함께 전국 유통매장과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된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에도 등록하면서, 소비자·시민단체와 연계하여 리콜정보 공유 등의 홍보강화로 리콜제품이 시중에서 유통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감시·조치할 예정이다. 

국표원은 수거되지 않은 리콜제품이 발견되면 국민신문고 또는 한국제품안전관리원(02-1833-4010)으로 신고해 줄 것과 리콜제품을 사용 중인 소비자는 수입·판매사업자로부터 수리·교환·환불 등의 조치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산업통상자원부 2019-10-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40 홀인원보험 보험사기 혐의자 140명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9 82
13639 홀몸어르신 ´친구 수는 증가, 고독감·우울감은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2 115
13638 홀덤펍 등 사행게임 업소청소년 출입금지 지정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1 16
13637 혼자서 술 마시는 ‘혼술’ 늘어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3 102
13636 혼자 사시는 노인 누구나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신청 가능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04 52
13635 혼다, 폭스바겐, 스카니아, 포드 결함시정(리콜) 실시[총 4개사 14,217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5 54
13634 혼다, 폭스바겐 10,084대 리콜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04 151
13633 혼다, 짚, 포드, 두산 리콜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7 72
13632 혼다, 재규어랜드로버, 포드, 한국지엠, 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7 128
13631 혼다, 재규어, BMW 리콜 실시(총 4개 차종 8,902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0 68
13630 혼다, 승용자동차 및 이륜자동차 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31 112
13629 혼다, 벤츠, 포드, KTM 총 리콜 실시(총 13개 차종, 9,030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02 121
13628 혼다, 닛산, FMK, 재규어랜드로버, FCA, 포르쉐, 두카티 리콜 실시(총 19개 차종 5,204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2 90
13627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한달 사이 2.2배 증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0 87
13626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최근 4주간 입원환자 약 2배 증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22 15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