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시중에 유통되는 배터리 내장형 제품에서 충전 발화, 사용 중 화재발생함에 따라 전자담배, 보조배터리, 전기충전기 등 관련 제품 366개 모델에 대하여 6~9월 간 안전성조사실시하고
 
ㅇ 외부단락(합선)·과충전 시험 중에 발화하는 등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전자담배 1개, 보조배터리 1개, 직류전원장치 2개 총 4개 모델 대해 리콜 명령(제품안전기본법 제11조(수거등의 명령 등))조치를 하였다.

 

< 조사 결과 개요 >

 

 

 

․조사대상 : 전자담배 32개, 보조배터리 150개, 직류전원장치 46개 등 총 366개 모델

․리콜대상 : 전자담배 1개, 보조배터리 1개, 직류전원장치 2개 등 총 4개 모델


사진

제품명

(모델명)

사업자명

인증번호

부적합내용

 

전자담배

(502325)

명문이지팜

XU101273-17001A

외부단락(합선) 시험 중 내부회로 발화

 

보조배터리

(XB-902)

휴먼웍스

ZU10700-17001

과충전 시험 중 내부회로 발화

 

직류전원장치

(BX-0800400)

홈케어

HU10584-15006C

감전보호 미흡

 

직류전원장치

(GI90-4200200)

클라이블

HU10987-18002A

감전보호 미흡
    ( ※ 사진은 파일 참조하세요 )
  한편, 지난 7월에도 여름철 수요가 집중되는 전동킥보드·휴대용 선풍기 등 배터리 내장 제품에 대한 안전성조사를 실시하여 과충전 시험 부적합한 전동킥보드리콜명령한 바 있다.

국표원은 이와 같이 소비자의 선호에 따라 꾸준히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배터리 내장 제품 등에 대해 안전관리·감독강화 결과, 관련 제품의 안전기준 부적합 적발률*지속적으로 감소(‘17년, 6.3% → ‘19년, 0.7%)하고 있다고 밝혔다.

 * 배터리 내장 제품 : (‘17) 6.3% → (’18) 5.8% → (‘19) 0.7%

* 전기충전기(직류전원장치 포함) : (‘17) 18.5% → (’18) 6.9% → (‘19) 5.0%

이번에 리콜 명령을 내린 4개 모델시중판매를 원천 차단조치 위해 10.22일자로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kr) 행복드림(www.consumer.go.kr) 공개하고, 제품안전 국제공조 일환으로 OECD 글로벌리콜포털(globalrecalls.oecd.org)에 등록하였다. 

ㅇ 이와 함께 전국 유통매장과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된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에도 등록하면서, 소비자·시민단체와 연계하여 리콜정보 공유 등의 홍보강화로 리콜제품이 시중에서 유통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감시·조치할 예정이다. 

국표원은 수거되지 않은 리콜제품이 발견되면 국민신문고 또는 한국제품안전관리원(02-1833-4010)으로 신고해 줄 것과 리콜제품을 사용 중인 소비자는 수입·판매사업자로부터 수리·교환·환불 등의 조치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산업통상자원부 2019-10-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191 “부모님 안마의자 구매·렌탈, 신중하게 결정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07 37
11190 “부패신고자 비밀노출” 처벌 수위 높아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1 14
11189 “불법 영상·웹툰 유통 사이트, 공익신고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7 7
11188 “비누로 손씻기”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감염병 예방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3 74
11187 “비브리오패혈증 등 여름철 수산물 선제적 안전관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3 82
11186 “비용 미결제로 예약하신 국립공원시설이 자동취소될 수 있습니다”... 문자서비스로 사전 안내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6 11
11185 “사시” 10대 이하가 환자의 84.9% 차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4 72
11184 “사유지를 공원으로 무단 사용하면서 사용료 내지 않는 것은 부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0 15
11183 “사유지에 무단 설치된 군사시설, 철거할 수 없다면 매입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8 25
11182 “사회복지 채용정보도 이제 워크넷에서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06 36
11181 “산 정상에서 무단취사를 하고 있어 위험해 보여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5 12
11180 “산재 신청서 작성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6 26
11179 “산재노동자 대체인력지원금 대상이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6 39
11178 “살생물제품으로 피해 입으면 구제신청하세요”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12월 31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9 8
11177 “상반기분 근로장려금 가구당 평균지급액 전년보다 8%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2 9
Board Pagination Prev 1 ...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