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품 리콜에 따른 소비자 · 사업자의 적극적인 대응 필요

- 「2019년 OECD 글로벌 안전 인식 개선 캠페인」 실시 -

제품으로 인한 위해의 유형이 더욱 다양해지면서 국내외 제품 리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리콜에 대한 소비자·사업자의 안전 의식과 대응이 미흡한 실정임.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OECD 국제 안전 인식 개선 주간*(10. 21.~10. 25.)을 맞아 `제품 리콜에 대한 인식 개선 캠페인'을 실시함.

*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매년 일정 주간을 정해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소비자 안전문제에 대한 인식 개선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으며 올해 주제는 ‘제품 리콜’로 한국, 호주, 영국, 캐나다, 일본 등이 참여함. 우리나라는 OECD 소비자정책위원회 소비자제품안전작업반의 일원으로 2014년부터 6회째 캠페인에 참여함.

◎ 소비자 안전의 관심 증대에 따른 국내외 리콜 증가 추세

'17년 3,411건, '18년 3,715건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품목은 장난감, 자동차, 전기제품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

국가별로 살펴보면, EU(유럽연합)에서는 매년 약 620건의 장난감을 리콜했으며('14~'18), 호주는 장난감 및 유아제품이 리콜 제품의 약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13~'17).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기술표준원이 2018년 제품 안전성 조사 후 액체괴물 제품을 포함한 321개 제품에 대해 수거, 교환 등 리콜명령을 내린 바 있음.

◎ 리콜 제품에 대한 소비자·사업자의 적극적인 대응 필요

▶ 소비자는 안전정보를 받아 볼 수 있도록 제조(판매)업자를 통해 제품을 등록하고 리콜 즉시 제품의 사용을 중단하며 행동요령에 따라 조치를 받습니다.

▶ 사업자는 제품 등록 절차를 간소화하고 다양한 소통방법으로 소비자에게 정확한 리콜정보와 타당한 조치 방법을 제공하며 리콜 참여시 보상을 제공해 참여 동기를 부여합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사업자 정례협의체*를 통해 OECD 캠페인 권고사항의 확산과 유통 제품의 안전을 위한 주도적인 역할을 촉구했으며, 앞으로도 제품 안전 관련 해외 동향 모니터링을 공유하고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한 민관 협력을 적극 강화할 계획임.

* 한국소비자원과 8개 분야(가전제품, 대형유통, 위생용품, 자동차, 정수기, 통신판매중개업자, 화장품, TV홈쇼핑)의 66개 기업이 사전 예방적 안전감시 기능의 확대를 목적으로 정례협의체를 구성·참여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한국소비자원 2019-10-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20 전지함 고정이 미흡해 삽입된 단추형 전지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어린이 손목시계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7.28
2319 제품 캔 내부 페인트 섭취 가능성 있는 ADRIA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7.28
2318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Tkala Fashion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9.14
2317 제품 포장지에서 프탈레이트계가소제 기준치 초과 검출된 Musfunny 악기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10.08
2316 겨울철 가스보일러·전기 난방기구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12.22
2315 어린이제품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Tender leaf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2.02.11
2314 감전 위험이 있는 컵워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3.01.17
2313 Incharacter 영유아 코스튬, 화상 가능성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19.02.07
2312 노인요양시설 내 대형가전 전기화재 위험 상존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19.03.07
2311 물기 많은 여름철 감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0.07.02
2310 빗길 교통사고 18~20시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0.07.09
2309 구명조끼, 금주 등 국립공원 물놀이 안전수칙 준수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0.07.10
2308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 거주 또는 여행 시 감염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04.23
2307 쇠줄 혼입 가능성 있는 L’il Critters 유아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06.24
2306 캠핌용품 쇼핑몰 캠핑SM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06.30
2305 작은 부품 탈락해 삼킴 사고 위험 있는 Janod 카메라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07.12
2304 작은 부품 분리되어 질식 위험 있는 Children’s Wood camera 카메라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2.02.09
2303 이물질 혼입 위험있는 KUOS 탄산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2.02.09
2302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IQ Bar Almond Butter Chip 단백질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2.02.10
2301 에틸렌옥사이드가 허용치 초과 검출된 Indomie 라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2.03.07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