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FTA 15년, 국내시장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돼

- 상품 선택폭 확대와 품질 향상은 `과일류', 가격 하락은 `주류'가 높게 평가 -


우리나라는 2004년 칠레와의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이하 FTA)을 시작으로 총 54개국과 16건의 FTA를 발효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FTA 15주년을 맞아 소비자후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FTA 소비자후생 체감도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FTA를 인지하고 있으면서 수입소비재 16개 품목군, 41개 품목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5~5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 상품 선택폭 확대, 가격 인하 등 국내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 미쳐

조사 결과, FTA가 국내시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67.5%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46.3%) 대비 21.2%p 증가한 것이다.

상품 선택의 폭이 확대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88.1%였고, 가격이 인하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66.6%였다.

◎ 상품 선택폭 확대와 품질 향상은 과일류, 가격 하락은 주류가 가장 크다고 응답

16개 수입소비재 품목군별로 소비자후생 체감에 대해 조사한 결과, 상품 선택의 폭이 확대됐다는 응답은 과일류(87.5%)가 가장 높았고 생수(59.7%)는 가장 낮았다.

또한, 가격 하락은 주류(66.4%), 품질 향상은 과일류(76.3%)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화장품(26.6%)은 가격 하락 효과가 가장 낮고, 생수(38.3%)는 품질 향상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16개 품목군별로 구매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가장 높게 평가된 품목군은 주류로 83.3%가 구매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응답했으며, 건강기능식품(79.0%), 과일(77.1%) 등이 뒤를 이었다. 구매 만족도가 가장 낮은 품목군은 생수(44.3%)였다.


                                   [16개 품목군의 소비자후생 요인과 구매만족도]

                        (단위 : 명, %)

16개 품목군(응답자)

선택폭 확대

가격하락

품질향상

구매 만족도

과일류(1,365)

87.5

50.8

76.3

77.1

주류(556)

86.3

66.4

75.5

83.3

건강기능식품(300)

81.0

49.0

73.7

79.0

소형가전(1,159)

78.8

48.5

71.9

72.4

세제류(300)

78.3

33.0

63.3

71.0

가공식품(1,350)

77.3

49.5

66.3

68.3

자동차(240)

77.1

40.4

72.1

70.4

축산물(498)

76.3

53.4

60.2

66.7

애완용품(300)

76.0

35.0

72.0

66.0

화장품(702)

74.1

26.6

62.5

65.7

견과류(488)

72.7

56.8

60.5

68.2

수산물(779)

72.4

50.3

55.2

61.7

신발류(300)

71.3

32.7

49.0

58.7

안경류(741)

70.2

35.2

51.4

60.3

음료(300)

69.3

32.3

56.7

58.0

생수(300)

59.7

29.7

38.3

44.3


◎ 안전·위생 문제, 정보제공 미흡, A/S 불만 등으로 구매 후회하는 경우 많아

FTA 소비자후생을 저해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입소비재 구입을 후회하게 되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직접 섭취·음용하는 품목에서 ‘제품의 안전이나 위생 문제’가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특히, 과일(63.2%), 축산물(68.1%), 수산물(65.0%)과 같은 신선식품에서 동 이유로 인한 후회 경험 비율이 높았다.

이 밖에 주류, 애완용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세제류 등에서는 ‘정보제공 미흡’이, 안경류, 소형가전, 자동차에서는 ‘제품 A/S 불만’이 가장 큰 구매 후회 이유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FTA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이 향후 FTA 활성화 정책 추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정부 등 관계기관에 FTA 소비자정책 기초자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10-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40 통계청, 2019 가구주택기초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5 9
7839 ‘농업직불금’ 신청요건 관련 민원 가장 많아...“온라인 신청 도입 등 신청절차 개선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5 54
7838 2019년 서비스 시장의 소비자지향적 수준에 대한 소비자 평가결과, 77.6점으로 2년 전에 비해 소폭 하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0
7837 2019년 10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2
7836 이제 여성농업인도 출산급여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2
7835 교육부 소관 12개 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2
7834 근로장려금, 5월에 신청 못했다면 ‘기한 후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2
7833 국세청, 빅데이터로 사업자등록 즉시 발급률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24
7832 안전성과 품질 검증된 ‘튜닝 인증부품’ 늘어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8
7831 현대, 포드, 포르쉐, BMW, 혼다, 두카티 리콜 실시 [총 6개사 122,350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9
7830 교통사고 정보 연계로 국민들의 보험금 및 연금 신청 불편 없앤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1 11
7829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 아동학대 예방 대책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1 14
7828 실물주식을 직접 보유한 분들은 배당 등을 확인하세요! [※ 실기주과실 수령 방법 안내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1 18
7827 2019년 상반기 보험사기 적발금액 4,134억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1 17
7826 LH 공공임대주택 운영실태 점검결과, 제도개선사항 다수 발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1 9
Board Pagination Prev 1 ...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