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FTA 15년, 국내시장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돼

- 상품 선택폭 확대와 품질 향상은 `과일류', 가격 하락은 `주류'가 높게 평가 -


우리나라는 2004년 칠레와의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이하 FTA)을 시작으로 총 54개국과 16건의 FTA를 발효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FTA 15주년을 맞아 소비자후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FTA 소비자후생 체감도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FTA를 인지하고 있으면서 수입소비재 16개 품목군, 41개 품목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5~5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 상품 선택폭 확대, 가격 인하 등 국내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 미쳐

조사 결과, FTA가 국내시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67.5%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46.3%) 대비 21.2%p 증가한 것이다.

상품 선택의 폭이 확대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88.1%였고, 가격이 인하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66.6%였다.

◎ 상품 선택폭 확대와 품질 향상은 과일류, 가격 하락은 주류가 가장 크다고 응답

16개 수입소비재 품목군별로 소비자후생 체감에 대해 조사한 결과, 상품 선택의 폭이 확대됐다는 응답은 과일류(87.5%)가 가장 높았고 생수(59.7%)는 가장 낮았다.

또한, 가격 하락은 주류(66.4%), 품질 향상은 과일류(76.3%)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화장품(26.6%)은 가격 하락 효과가 가장 낮고, 생수(38.3%)는 품질 향상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16개 품목군별로 구매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가장 높게 평가된 품목군은 주류로 83.3%가 구매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응답했으며, 건강기능식품(79.0%), 과일(77.1%) 등이 뒤를 이었다. 구매 만족도가 가장 낮은 품목군은 생수(44.3%)였다.


                                   [16개 품목군의 소비자후생 요인과 구매만족도]

                        (단위 : 명, %)

16개 품목군(응답자)

선택폭 확대

가격하락

품질향상

구매 만족도

과일류(1,365)

87.5

50.8

76.3

77.1

주류(556)

86.3

66.4

75.5

83.3

건강기능식품(300)

81.0

49.0

73.7

79.0

소형가전(1,159)

78.8

48.5

71.9

72.4

세제류(300)

78.3

33.0

63.3

71.0

가공식품(1,350)

77.3

49.5

66.3

68.3

자동차(240)

77.1

40.4

72.1

70.4

축산물(498)

76.3

53.4

60.2

66.7

애완용품(300)

76.0

35.0

72.0

66.0

화장품(702)

74.1

26.6

62.5

65.7

견과류(488)

72.7

56.8

60.5

68.2

수산물(779)

72.4

50.3

55.2

61.7

신발류(300)

71.3

32.7

49.0

58.7

안경류(741)

70.2

35.2

51.4

60.3

음료(300)

69.3

32.3

56.7

58.0

생수(300)

59.7

29.7

38.3

44.3


◎ 안전·위생 문제, 정보제공 미흡, A/S 불만 등으로 구매 후회하는 경우 많아

FTA 소비자후생을 저해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입소비재 구입을 후회하게 되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직접 섭취·음용하는 품목에서 ‘제품의 안전이나 위생 문제’가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특히, 과일(63.2%), 축산물(68.1%), 수산물(65.0%)과 같은 신선식품에서 동 이유로 인한 후회 경험 비율이 높았다.

이 밖에 주류, 애완용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세제류 등에서는 ‘정보제공 미흡’이, 안경류, 소형가전, 자동차에서는 ‘제품 A/S 불만’이 가장 큰 구매 후회 이유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FTA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이 향후 FTA 활성화 정책 추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정부 등 관계기관에 FTA 소비자정책 기초자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10-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60 ELS 등 판매시 투자자 숙려제도가 시행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5 62
2059 ELS 등 온라인 투자시 반드시 자가진단 후 투자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9 57
2058 DNP함유식이보충제 해외 직구 경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3 104
2057 DMZ를 국민에게, 평화안보 체험길 최초개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3 9
2056 DMZ 평화둘레길(가칭) 강원 고성구간 참가신청 접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1 44
2055 DART 공시정보 실시간 알람 서비스 오픈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70
2054 C형간염 환자 조기발견 시범사업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1 11
2053 C형 근관 치아 근관(신경)치료 수가 개선 시행(5.1)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8 54
2052 CT·MRI 등에 대한 관리를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5 8
2051 CT 진단용 조영제 사용 시 이상반응 경험 및 가족력 확인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3 56
2050 CMS 운영의 허점 이용하는 상조회사, 금융결제원과 금융기관은 모르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6 77
2049 CMIT/MIT 검출된 헤어미스트 판매중단 및 환급하도록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4 70
2048 CMIT, MIT 검출된 해외직구 화장품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31 12
2047 CGV 좌석별 관람료 세분화, 가격인상 효과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31 130
2046 CGV 좌석별 관람료 세분화, 가격인상 효과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4 126
Board Pagination Prev 1 ... 784 785 786 787 788 789 790 791 792 79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