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FTA 15년, 국내시장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돼

- 상품 선택폭 확대와 품질 향상은 `과일류', 가격 하락은 `주류'가 높게 평가 -


우리나라는 2004년 칠레와의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이하 FTA)을 시작으로 총 54개국과 16건의 FTA를 발효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FTA 15주년을 맞아 소비자후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FTA 소비자후생 체감도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FTA를 인지하고 있으면서 수입소비재 16개 품목군, 41개 품목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5~5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 상품 선택폭 확대, 가격 인하 등 국내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 미쳐

조사 결과, FTA가 국내시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67.5%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46.3%) 대비 21.2%p 증가한 것이다.

상품 선택의 폭이 확대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88.1%였고, 가격이 인하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66.6%였다.

◎ 상품 선택폭 확대와 품질 향상은 과일류, 가격 하락은 주류가 가장 크다고 응답

16개 수입소비재 품목군별로 소비자후생 체감에 대해 조사한 결과, 상품 선택의 폭이 확대됐다는 응답은 과일류(87.5%)가 가장 높았고 생수(59.7%)는 가장 낮았다.

또한, 가격 하락은 주류(66.4%), 품질 향상은 과일류(76.3%)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화장품(26.6%)은 가격 하락 효과가 가장 낮고, 생수(38.3%)는 품질 향상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16개 품목군별로 구매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가장 높게 평가된 품목군은 주류로 83.3%가 구매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응답했으며, 건강기능식품(79.0%), 과일(77.1%) 등이 뒤를 이었다. 구매 만족도가 가장 낮은 품목군은 생수(44.3%)였다.


                                   [16개 품목군의 소비자후생 요인과 구매만족도]

                        (단위 : 명, %)

16개 품목군(응답자)

선택폭 확대

가격하락

품질향상

구매 만족도

과일류(1,365)

87.5

50.8

76.3

77.1

주류(556)

86.3

66.4

75.5

83.3

건강기능식품(300)

81.0

49.0

73.7

79.0

소형가전(1,159)

78.8

48.5

71.9

72.4

세제류(300)

78.3

33.0

63.3

71.0

가공식품(1,350)

77.3

49.5

66.3

68.3

자동차(240)

77.1

40.4

72.1

70.4

축산물(498)

76.3

53.4

60.2

66.7

애완용품(300)

76.0

35.0

72.0

66.0

화장품(702)

74.1

26.6

62.5

65.7

견과류(488)

72.7

56.8

60.5

68.2

수산물(779)

72.4

50.3

55.2

61.7

신발류(300)

71.3

32.7

49.0

58.7

안경류(741)

70.2

35.2

51.4

60.3

음료(300)

69.3

32.3

56.7

58.0

생수(300)

59.7

29.7

38.3

44.3


◎ 안전·위생 문제, 정보제공 미흡, A/S 불만 등으로 구매 후회하는 경우 많아

FTA 소비자후생을 저해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입소비재 구입을 후회하게 되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직접 섭취·음용하는 품목에서 ‘제품의 안전이나 위생 문제’가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특히, 과일(63.2%), 축산물(68.1%), 수산물(65.0%)과 같은 신선식품에서 동 이유로 인한 후회 경험 비율이 높았다.

이 밖에 주류, 애완용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세제류 등에서는 ‘정보제공 미흡’이, 안경류, 소형가전, 자동차에서는 ‘제품 A/S 불만’이 가장 큰 구매 후회 이유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FTA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이 향후 FTA 활성화 정책 추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정부 등 관계기관에 FTA 소비자정책 기초자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10-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91 페트병만 따로 모아 버려주세요…고품질 재생 원료로 주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9 12
7890 카라반 캠핑장, 시설·위생 관리 미흡해 개선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9 18
7889 2018년 주택소유통계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9 19
7888 2019년 3분기 지역경제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9 8
7887 「2020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안)」에 대한 고시 전 가격 열람 및 의견 제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9 10
7886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하위법령 개정 추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9 7
7885 계속거래고시 개정, 금년 11월 19일부터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9 19
7884 폐비닐 등 영농폐기물 집중 수거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8 22
7883 가을철 옷에 달라붙는 열매에 대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8 9
7882 이제 거리가게(노점)도 내비게이션에 나와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8 18
7881 2020년 1학기 국가장학금, 잊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8 12
7880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군사시설 조성'의 일환으로 유휴 육군 헬기 예비 작전기지 일제 정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8 16
7879 국립공원 내 음주행위 금지 이후 총 411건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8 11
7878 가습기살균제 피해 43명 추가 인정…총 877명 인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8 15
7877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10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5 10
Board Pagination Prev 1 ...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