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FTA 15년, 국내시장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돼

- 상품 선택폭 확대와 품질 향상은 `과일류', 가격 하락은 `주류'가 높게 평가 -


우리나라는 2004년 칠레와의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이하 FTA)을 시작으로 총 54개국과 16건의 FTA를 발효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FTA 15주년을 맞아 소비자후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FTA 소비자후생 체감도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FTA를 인지하고 있으면서 수입소비재 16개 품목군, 41개 품목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5~5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 상품 선택폭 확대, 가격 인하 등 국내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 미쳐

조사 결과, FTA가 국내시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67.5%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46.3%) 대비 21.2%p 증가한 것이다.

상품 선택의 폭이 확대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88.1%였고, 가격이 인하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66.6%였다.

◎ 상품 선택폭 확대와 품질 향상은 과일류, 가격 하락은 주류가 가장 크다고 응답

16개 수입소비재 품목군별로 소비자후생 체감에 대해 조사한 결과, 상품 선택의 폭이 확대됐다는 응답은 과일류(87.5%)가 가장 높았고 생수(59.7%)는 가장 낮았다.

또한, 가격 하락은 주류(66.4%), 품질 향상은 과일류(76.3%)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화장품(26.6%)은 가격 하락 효과가 가장 낮고, 생수(38.3%)는 품질 향상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16개 품목군별로 구매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가장 높게 평가된 품목군은 주류로 83.3%가 구매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응답했으며, 건강기능식품(79.0%), 과일(77.1%) 등이 뒤를 이었다. 구매 만족도가 가장 낮은 품목군은 생수(44.3%)였다.


                                   [16개 품목군의 소비자후생 요인과 구매만족도]

                        (단위 : 명, %)

16개 품목군(응답자)

선택폭 확대

가격하락

품질향상

구매 만족도

과일류(1,365)

87.5

50.8

76.3

77.1

주류(556)

86.3

66.4

75.5

83.3

건강기능식품(300)

81.0

49.0

73.7

79.0

소형가전(1,159)

78.8

48.5

71.9

72.4

세제류(300)

78.3

33.0

63.3

71.0

가공식품(1,350)

77.3

49.5

66.3

68.3

자동차(240)

77.1

40.4

72.1

70.4

축산물(498)

76.3

53.4

60.2

66.7

애완용품(300)

76.0

35.0

72.0

66.0

화장품(702)

74.1

26.6

62.5

65.7

견과류(488)

72.7

56.8

60.5

68.2

수산물(779)

72.4

50.3

55.2

61.7

신발류(300)

71.3

32.7

49.0

58.7

안경류(741)

70.2

35.2

51.4

60.3

음료(300)

69.3

32.3

56.7

58.0

생수(300)

59.7

29.7

38.3

44.3


◎ 안전·위생 문제, 정보제공 미흡, A/S 불만 등으로 구매 후회하는 경우 많아

FTA 소비자후생을 저해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입소비재 구입을 후회하게 되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직접 섭취·음용하는 품목에서 ‘제품의 안전이나 위생 문제’가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특히, 과일(63.2%), 축산물(68.1%), 수산물(65.0%)과 같은 신선식품에서 동 이유로 인한 후회 경험 비율이 높았다.

이 밖에 주류, 애완용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세제류 등에서는 ‘정보제공 미흡’이, 안경류, 소형가전, 자동차에서는 ‘제품 A/S 불만’이 가장 큰 구매 후회 이유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FTA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이 향후 FTA 활성화 정책 추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정부 등 관계기관에 FTA 소비자정책 기초자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10-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57 증권회사와의 거래는 반드시 본인계좌를 이용할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02 81
2156 지구를 위해 1회용컵 대신 개인컵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0 76
2155 지구를 지키는 친환경 여름 여행 '소담휴'로 떠나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6 38
2154 지금 신고하세요,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4 72
2153 지끈지끈「편두통」환자 대부분 여성!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9 98
2152 지난 12년간 민간기업.공공기관의 여성 고용비율(7.41%p), 여성 관리자비율(10.34%p) 지속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31 13
2151 지난 3년간 전체 고등학교 절반에서 결핵환자 발생, 잠복결핵검진으로 학교 내 결핵발생 사전 차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31 53
2150 지난 3월 신청한 2019년 하반기분 근로장려금 지급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0 5
2149 지난 겨울 어려운 이웃 34만명에게 긴급생계비 등 복지 지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7 54
2148 지난 한 해 공공기관에 166만 건의 공익신고 접수돼... 과태료 등 4천여억원 부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4 17
2147 지난 한해 국민들이 유용하게 활용한 정부3.0 공공정보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8 83
2146 지난 한해 노사문화 최우수 행정기관에 강원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9 128
2145 지난해 공개된 공공정보 중 국민에게 유용한 정보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7 232
2144 지난해 기업결합 건수 줄고, 규모는 커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7 73
2143 지난해 다단계 판매 업체 총 128개, 상위 1%가 수당 절반 차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5 119
Board Pagination Prev 1 ... 772 773 774 775 776 777 778 779 780 781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