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FTA 15년, 국내시장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돼

- 상품 선택폭 확대와 품질 향상은 `과일류', 가격 하락은 `주류'가 높게 평가 -


우리나라는 2004년 칠레와의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이하 FTA)을 시작으로 총 54개국과 16건의 FTA를 발효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FTA 15주년을 맞아 소비자후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FTA 소비자후생 체감도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FTA를 인지하고 있으면서 수입소비재 16개 품목군, 41개 품목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5~5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 상품 선택폭 확대, 가격 인하 등 국내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 미쳐

조사 결과, FTA가 국내시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67.5%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46.3%) 대비 21.2%p 증가한 것이다.

상품 선택의 폭이 확대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88.1%였고, 가격이 인하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66.6%였다.

◎ 상품 선택폭 확대와 품질 향상은 과일류, 가격 하락은 주류가 가장 크다고 응답

16개 수입소비재 품목군별로 소비자후생 체감에 대해 조사한 결과, 상품 선택의 폭이 확대됐다는 응답은 과일류(87.5%)가 가장 높았고 생수(59.7%)는 가장 낮았다.

또한, 가격 하락은 주류(66.4%), 품질 향상은 과일류(76.3%)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화장품(26.6%)은 가격 하락 효과가 가장 낮고, 생수(38.3%)는 품질 향상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16개 품목군별로 구매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가장 높게 평가된 품목군은 주류로 83.3%가 구매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응답했으며, 건강기능식품(79.0%), 과일(77.1%) 등이 뒤를 이었다. 구매 만족도가 가장 낮은 품목군은 생수(44.3%)였다.


                                   [16개 품목군의 소비자후생 요인과 구매만족도]

                        (단위 : 명, %)

16개 품목군(응답자)

선택폭 확대

가격하락

품질향상

구매 만족도

과일류(1,365)

87.5

50.8

76.3

77.1

주류(556)

86.3

66.4

75.5

83.3

건강기능식품(300)

81.0

49.0

73.7

79.0

소형가전(1,159)

78.8

48.5

71.9

72.4

세제류(300)

78.3

33.0

63.3

71.0

가공식품(1,350)

77.3

49.5

66.3

68.3

자동차(240)

77.1

40.4

72.1

70.4

축산물(498)

76.3

53.4

60.2

66.7

애완용품(300)

76.0

35.0

72.0

66.0

화장품(702)

74.1

26.6

62.5

65.7

견과류(488)

72.7

56.8

60.5

68.2

수산물(779)

72.4

50.3

55.2

61.7

신발류(300)

71.3

32.7

49.0

58.7

안경류(741)

70.2

35.2

51.4

60.3

음료(300)

69.3

32.3

56.7

58.0

생수(300)

59.7

29.7

38.3

44.3


◎ 안전·위생 문제, 정보제공 미흡, A/S 불만 등으로 구매 후회하는 경우 많아

FTA 소비자후생을 저해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입소비재 구입을 후회하게 되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직접 섭취·음용하는 품목에서 ‘제품의 안전이나 위생 문제’가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특히, 과일(63.2%), 축산물(68.1%), 수산물(65.0%)과 같은 신선식품에서 동 이유로 인한 후회 경험 비율이 높았다.

이 밖에 주류, 애완용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세제류 등에서는 ‘정보제공 미흡’이, 안경류, 소형가전, 자동차에서는 ‘제품 A/S 불만’이 가장 큰 구매 후회 이유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FTA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이 향후 FTA 활성화 정책 추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정부 등 관계기관에 FTA 소비자정책 기초자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10-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763 직장어린이집 설치의무 미 이행 시 이행강제금 가중부과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2 7
7762 보이스피싱 전화, 받기 전에 미리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2 6
7761 보험약관 - 쉬워지고 착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2 7
7760 어린이용 승용웨건, 성능·안전성 등에서 제품별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2 18
7759 국도변 졸음쉼터, 안심하고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2 8
7758 친환경 도시락, 전국 21개 국립공원으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1 15
7757 건강보험 거짓청구 요양기관 41개소 명단 공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1 19
7756 나와 친구들을 위한 겨울철 건강 약속,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1 9
7755 겨울철 미세먼지 대응 위해 전국 운행차 배출가스 특별단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1 7
» FTA 15년, 국내시장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1 12
7753 국가자격시험 수험표로 이용(理容)요금 할인 받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1 9
7752 해외체류 한부모도 자녀 양육하면 한부모가족 지원 계속 받을 수 있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1 16
7751 한국GM, GM아시아퍼시픽, 닛산, 벤츠, 다임러, BMW 리콜 실시 [총 6개사 21,452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1 9
7750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9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8 18
7749 휠체어 이용자도 고속버스 장거리 여행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8 74
Board Pagination Prev 1 ...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