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일부 비눗방울 장난감에서 유해 보존제 및 기준 초과 미생물 검출


어린이가 즐겨 사용하는 비눗방울 장난감은 놀이 과정에서 피부에 접촉되거나 입·코를 통해 흡입될 위험이 높아 철저한 위생 관리 및 유해물질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비눗방울 장난감 23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사용이 금지된 유해 보존제(CMIT, MIT)와 기준을 초과하는 미생물이 검출돼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5개 제품에서 CMIT, MIT 및 기준 초과 미생물 검출

유해 보존제 및 미생물 시험검사 결과, 조사대상 23개 중 3개(13.0%) 제품에서 완구에 사용이 금지*된 CMIT가 최소 1.26mg/kg에서 최대 13.93mg/kg, MIT는 최소 0.65mg/kg에서 최대 3.23mg/kg 수준으로 검출됐다
*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안전확인 안전기준 부속서 6(완구)

또한, 3개(13.0%) 제품에서는 총호기성미생물이 완구에 대한 참고기준(1,000CFU/㎖ 이하)을 최대 330배(최소 4,800CFU/㎖ ~ 최대 330,000CFU/㎖) 초과했고, 효모 및 사상균이 동 기준(100CFU/㎖ 이하)을 최대 3,200배(최소 5,600CFU/㎖ ~ 최대 320,000CFU/㎖) 초과하여 검출됐다.


【 유해 보존제 및 미생물 검출제품 시험결과 】

제품명

수입사

제조국

보존제 (/)

미생물 (CFU*/)

비고

CMIT

(사용금지)

MIT

(사용금지)

총호기성미생물수

(1,000 이하)

효모 및 사상균

(100 이하)

도라에몽버블건

SJ

중국

1.26

0.65

41,000

49,000

 

스틱비눗방울

유아이티상사

중국

5.45

1.99

불검출

불검출

 

스틱왕비눗방울

재미존

중국

13.93

3.23

불검출

불검출

2019.4.이전 제조 제품에 한함.

메롱망치버블

세주

중국

불검출

불검출

4,800

5,600

 

방울짱 리필액

방울랜드

한국

불검출

불검출

330,000

320,000

2019.7.이전 제조 제품에 한함.


? CMIT(Methylchloroisothiazolinone) : 알레르기성 피부 반응과 호흡기, 눈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음.

? 총호기성미생물, 효모 및 사상균 : 공기 중에서 생육·번식하는 미생물 및 곰팡이균 등을 말하며, 상처가 있거나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오염된 제품을 접촉할 경우 피부 염증을, 섭취할 경우 배탈과 설사를 유발할 수 있음.

◎ 7개 제품이 사용연령 표시 누락 등 표시기준에 부적합

비눗방울 장난감 등 완구는 최소단위 포장에 모델명, 수입·제조사명, 사용연령 등 일반 표시사항과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나타내는 KC마크를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안전확인 안전기준 부속서 6(완구)

그러나 조사대상 23개 중 7개(30.4%) 제품이 일반 표시사항을 일부 또는 전부 누락했고, 이 중 1개(4.3%) 제품은 KC마크 표시를 누락해 개선이 필요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에서 유해 보존제 및 기준 초과 미생물이 검출되거나 표시기준에 부적합한 제품을 제조·수입·판매한 사업자에게 시정을 권고했고, 해당 사업자는 이를 수용해 판매 중지 및 회수, 표시개선 등 자발적인 개선 조치를 하기로 했다.

또한, 국가기술표준원에는 ▲비눗방울 장난감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어린이가 비눗방울액을 직접 만지거나 마시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고, 놀이 후에는 가급적 빨리 손과 몸을 씻길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9-10-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33 국민 10명 중 7명은 아파트 단지 내 보행안전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5.31
2332 식약처, 구강용 ‘벤조카인 제제’ 24개월 미만 영아에 사용 금지토록하는 안전성 서한 배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5.29
2331 어르신들이 사용하는 제품 안전 사용 정보 제공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4.30
2330 패류독소 기준 초과해역 2곳 추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4.06
2329 동남아 방문 시 모기매개 감염병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3.03.22
2328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Skinnydipped 견과류 가공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3.03.10
2327 기준치 초과 휘발성 유기 원소 용출되는 Leonardo 실리콘 뚜껑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3.02.13
2326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7)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2.06.08
2325 발화 우려가 있는 칼텍 휴대용 살균탈취기(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2.03.14
2324 벤젠 검출된 Aussie 드라이샴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2.03.14
2323 기준치 초과 PAH가 검출될 수 있는 STIHL 장갑 회수 및 환급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2.03.08
2322 알레르기 성분[우유] 미표시된 Chio-chips 감자칩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2.03.08
2321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Superdiet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12.22
2320 충전커넥터 균열 및 발화 우려있는 DAIWA 전동릴 배터리 판매차단(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12.21
2319 단추형 전지 단자함 고정 미흡으로 인해 질식 위험 있는 V-pro LED 조명 리모컨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12.01
2318 단풍철, 산행 시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10.07
2317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Tkala Fashion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09.14
2316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는 해피포켓 쿠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09.13
2315 여름철, 캠필로박터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0.07.23
2314 추석연휴,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8.09.13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