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경찰청(청장 민갑룡)은 지난 91일부터 국민을 불안·불신·불행하게 만드는서민 3사기범죄 근절을 위해 전담반을 구성하는 등 총력 대응 중이다.

 

경찰의 엄정한 단속으로 93주 차까지 전화금융사기, 인터넷사기, 보험사기 등 6,910·4,837명을 검거하였다.

 

검거한 사례를 바탕으로 유형별 주요 수법과 피해 예방을 아래와 같이 안내하여 모든 국민이 주의할 수 있도록 한다.

 

<전화금융사기> 경찰·검찰·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하여 개인정보 유출 또는 범죄에 연루되었다고 하거나, 금융기관을 사칭하여 저금리 대출이 가능하다면서 각종 명목으로 금전을 요구하는 수법이 많다.

 

공공기관·은행이 계좌이체 또는 현금 인출을 요구하는 경우는 없으니,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온다면 일단 전화를 끊고 해당 기관 대표번호로 문의하거나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여야 한다.

 

특히, 휴대전화에 앱이나 프로그램을 설치하라고 한다면 대부분 사기이며, 전화금융사기범에게 속아 송금하였을 때는 즉시 112신고를 통해 지급정지부터 한 후 경찰서를 방문하여야 한다.

 

<메신저피싱> SNS로 지인을 사칭하며 금전을 요구하는 범인들은 인터넷 주소록이나 휴대전화를 해킹하여 개인정보를 알아낸다.

 

소 개인정보 관리를 철저히 하고, 카카오톡 등 SNS로 지인이 급하게 송금을 요구하는 경우 송금 전에 반드시 해당 지인에게 전화로 사실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인터넷사기> 인터넷 사기범들은 물건을 저렴하게 팔겠다면서 자신이 지정하는 계좌로 대금을 먼저 송금받은 후 연락을 끊는다.

 

인터넷으로 물품 거래 시 직접 만나서 거래하거나 안전결제시스템을 이용하고, 경찰청 사이버캅앱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취업사기> 취업을 시켜주겠다며 청탁금·로비자금·접대비용 등 금품을 요구하는 경우는 사기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인감, 통장 비밀번호, 등본 등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요구하는 회사는 피하고, 채용 공고가 정확한지 고용노동부에서 운영하는 워크넷(www.work.go.kr) 등을 통해 확인하여야 한다.

 

<전세사기> ·월세 계약을 체결할 때는 부동산 실물을 확인한 후 가능한 등기부상 집주인과 직접 거래를 하고, 위임인과의 계약 내용은 집주인에게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찰청 관계자는, “최근 신종 수법의 출현 등 증가 추세에 있는 사기범죄에 대해 계속해서 강력히 단속할 예정이라고 하면서, 국민께도 이와 같은 사례에 속지 않도록 유의하고, 유사 사례 경험 시 즉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경찰청 2019-09-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53 추석 명절기간 스미싱, 보이스피싱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0.09.21
3752 추석 명절, 스마트폰 해킹(악성앱) 스미싱 문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9.21
3751 추석 명절, 보이스피싱에 특히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9.09.10
3750 추석 명절 벌초 시 예초기 안전사고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8.31
3749 추락위험 있는 Trango社의 등반장비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3 2017.07.31
3748 추락, 부상의 위험이 있는 로프등반장비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3 2017.04.07
3747 최저가 명품구매대행 '에스디컬렉션' 배송·환급 지연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23.04.14
3746 최근‘기관사칭형’전화금융사기 수법 급증, 피해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12.13
3745 최근 일부 보험상품 불완전판매 우려 및 절판마케팅 등 과당경쟁에 대한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4.03.18
3744 최근 4주간 쯔쯔가무시증 환자 5배 이상 증가, 야외활동 시 진드기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3.11.15
3743 최근 4주간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환자 2배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3.11.17
3742 총전이량 기준 초과한 ELITE 스포츠물병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1.27
3741 초여름 더위에 식중독 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9.05.23
3740 초미세먼지 전국적 ‘나쁨’, 기저질환자 건강 관리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9.12.10
3739 초가을 꽃가루 알레르기 주의…9월에도 꽃가루 농도 높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8 2017.08.30
3738 초가을 9월에는 야외활동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08.29
3737 체증형 종신보험 가입시 유의하세요!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8.25
3736 체인핀 품질 결함으로 파손 위험있는 DAHON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4.04
3735 체외용인슐린주입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2.05.25
3734 체결풀림으로 인한 낙상 우려 있는 Black Diamond 무상 교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47 2016.06.13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