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는 오는 11월 4일 이마트 성수점에서 ‘국산 신품종 계약재배 농산물 출시행사’를 ㈜이마트와 공동개최한다고 밝혔다.
○ 국산 신품종 계약재배는 지난 3월 농식품부와 ㈜이마트 간에 체결된 ‘상생협력 업무협약’의 후속 조치인 「국산의 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 국산의 힘 프로젝트 : 농식품부와 이마트가 공동으로 산지 우수농가를 발굴하고, 이마트 매장을 통하여 판로 및 통합마케팅 지원
* 국산 신품종 계약재배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골든시드프로젝트에서 국산 신품종을 개발 제공하고, 이마트는 계약재배를 통하여 상품화
□ 아직까지 외국종자 사용 비중이 높은 파프리카, 양배추, 양파, 토마토 등의 품목은 골든시드프로젝트 등을 통해 수입대체 품종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 국산품종 재배 비율 : 파프리카 0%, 양배추 10%, 양파 20%, 토마토 30% 내외
○ 이번에 정부-유통기업 상생협력으로 진행된 ‘국산 신품종 계약재배’는 국내에서 개발된 신품종을 유통기업이 농가와 계약재배 후 전량 수매상품화하여 농업인의 판로 개척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고, 품종 개발 기관에서 농가 기술지도를 실시하여 재배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해 줌으로써 개발된 신품종의 농가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 신품종이 개발되어도 농업인은 판로개척 등에 대한 부담으로 기존 재배품종을 바꾸지 않는 경향 → 계약재배를 통하여 판로개척 등에 대한 부담완화하여 국산품종 재배 유도
□ 국산 신품종 계약재배는 우선 품종 국산화율이 낮은 품목 중 골든시드프로젝트 등을 통해 국내에서 개발된 우수한 신품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 지난 5월 골든시드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된 국산품종 양파(이조은플러스, 농협종묘 ‘13개발)를 산지농협 2개소(함양농협, 합천율곡농협)와 계약하여 판매하였으며,
○ 금번에 출시되는 품목은 양배추(대박나, 아시아종묘), 파프리카(라온옐로라온레드라온오렌지, 경상남도농업기술원)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개발한 재래종 유사품종 배추 등 3가지 품목이다.
○ 금년에는 상생협력 사업 시작단계로 충분한 공급물량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어 4개 품목(양파, 양배추, 파프리카, 배추) 5억원 수준에 그쳤으나, 내년에는 품목물량 등을 확대하여 70억원 수준으로 사업규모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골든시드프로젝트 등을 통하여 국산화율이 낮은 품목에 대한 품종개발에 지속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히며,
○ 국내 개발품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농가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유통기업 등과의 상생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한편, 국산 신품종 계약재배 사업은 민간기업과 정부와의 상생협력을 통해 「정부3.0」의 핵심가치인 소통협력을 실현한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 2015-11-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66 건강보험 거짓청구 요양기관 41개소 명단 공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1 19
10365 건강보험 권리구제 강화로 국민 권익 보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0 52
10364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 후속조치, 보육기, 고막 절개 기준 등 36개 제한 사항 급여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1 34
10363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와 연계한 실손의료보험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9 57
10362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을 반영해 실손보험료 인하 유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7 106
10361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로 10월부터 국민 의료비 부담이 줄어듭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01 51
10360 건강보험 본인부담상한제 개선으로 저소득층의 의료비 부담 경감에 크게 기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2 93
10359 건강보험 빅데이터로 지역별 건강상태 확인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0 65
10358 건강보험 중기보장성 강화 계획 수립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167
10357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재산·자동차 보험료 부담 완화하는 시행령 개정안 국민 의견 수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5 14
10356 건강보험 진료비 57조 9,6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9 101
10355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2단계 개편 예정대로 9월부터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30 6
10354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편 최종단계 2년 앞당겨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4 53
10353 건강보험료 체납자 분할납부 승인 시 체납정보 제공 제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26 10
10352 건강보험적용 치과임플란트 시술, 병원 신중히 선택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31 13
Board Pagination Prev 1 ...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