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유튜브, SNS 등 온라인 의료광고, 사전 심의 강화해야


의료서비스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에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어 부당한 의료광고로 인한 폐해가 다른 분야에 비해 크다. 최근 온라인 매체를 통한 의료광고의 비중이 늘고 있는 가운데, 의료법 위반이 의심되는 의료광고가 실시간으로 게시되고 있어 소비자피해가 우려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소비자시민모임(회장 백대용), 서울시 환자권리옴부즈만과 공동으로 유튜브, SNS(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매체의 의료광고 실태를 조사했다.

◎ ‘이벤트성 가격할인’ 등 비급여 진료비 할인·면제 광고가 46.8%로 가장 많아

「의료법」 제56조(의료광고금지)에서는 비급여 진료비에 대한 할인·면제 광고(이벤트성 가격할인 광고 등), 환자의 치료경험담을 통해 치료효과를 오인하게 하는 광고, 다른 의료인 및 의료기관과의 비교 광고 등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광고 사전 심의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 의료인등은 심의대상 매체(신문·잡지·방송 등)에서 의료광고를 하려는 경우 「의료법」에서 규정하는 기관 또는 단체의 심의를 받아야함.

실태조사 결과, 의료법 위반이 의심되는 광고는 833건으로 조사됐다. 유형별로는 `이벤트성 가격할인'이 390건(46.8%)으로 가장 많았고, `환자의 치료 경험담'이 316건(38.0%), `다른 의료인 및 의료기관과의 비교' 44건(5.3%) 등의 순이었다.

매체별로는 인스타그램 432건(51.9%), 유튜브 156건(18.7%), 페이스북 124건(14.9%) 순이었으며, 특히 ‘이벤트성 가격할인’ 광고는 이미지·게시글 광고가 특징인 SNS에서 주로 많았다.


[ 의료법 위반 의심 의료광고 유형 ]

구 분

유튜브

SNS(사회 관계망 서비스)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이벤트성 가격할인(비급여 진료비에 대한 할인·면제 광고)

4

265

63

58

390 (46.8)

환자의 치료경험담

108

133

41

34

316 (38.0)

다른 의료인 및 의료기관과의 비교

6

15

6

17

44 (5.3)

치료효과 보장 등(치료효과 오인 우려가 있는 내용)

19

9

6

8

42 (5.0)

직접적인 시술행위 노출

16

10

0

1

27 (3.2)

공인되지 않은 수술·시술명 사용(거짓 광고, 객관적 사실

과장 광고)

3

0

5

6

14 (1.7)

156(18.7)

432(51.9)

121(14.5)

124(14.9)

833(100.0)

1) 대한의사협회「사전자율심의기준」참고

2) 위 사안은 위반 ‘의심’ 사례로서, 가격할인 및 환자치료경험담 등의 경우 의료시장의 질서를 해하고, 소비자를 현혹할 우려가 있는지에 따라 개별 판단 필요

현행 「의료법」에서는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로 하여금 잘못 알게 할 우려가 있는 방법으로 비급여 진료비용을 할인하거나 면제하는 내용의 광고*를 금지하고 있다.

* 비급여 진료비용의 할인·면제 금액, 대상, 기간, 할인·면제 이전의 비급여 진료비용에 대한 허위 또는 불확실한 정보 게재 금지(의료법 시행령)

그러나, 의료기관마다 비급여 진료비용을 다르게 적용하고 있어 소비자가 광고를 통해 할인 정보(금액, 범위, 할인율, 할인 이전 비용 등)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어려워 소비자 오인 가능성이 높았다.

◎ 전문가 의견 형태의 온라인 매체 광고에 대한 규제 필요

또한 「의료법」은 신문(인터넷신문 포함), 방송, 잡지 등에 특정 의료기관·의료인의 정보(연락처, 약도 등)와 함께 제공되는 기사 또는 전문가 의견 형태의 광고를 금지하고 있다. 이런 유형의 광고는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소비자의 신뢰를 높여 의료서비스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 규정은 최근 광고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온라인 매체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

◎ 의료광고 심의대상 선정기준 명확히 해 사전심의 강화해야

「의료법 시행령」은 의료광고를 위한 사전심의가 필요한 대상 매체로 ‘전년도 말 기준 직전 3개월 간 일일 평균 이용자 수가 10만 명 이상인 인터넷 및 SNS 매체’를 규정하고 있다. 심의기구는 이를 기준으로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을 심의 대상으로 정하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매체의 특성상 이용자 수와 의료광고의 파급력이 비례한다고 볼 수 없고, 이용자 수의 의미가 매체 전체의 평균인지 또는 개별 채널·계정의 이용자 수인지 명확하지 않은 문제도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대한의사협회는 사전심의를 통해 심의받은 의료광고의 경우 심의필 번호나 문구 중 하나를 기재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관련 법규에는 사전심의필 표시가 의무화되어 있지 않다.

조사결과, 833건 중 사전심의필증이 표시된 광고는 6건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827건의 광고는 사전 심의 여부를 알 수 없어 개선이 필요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부처에 ▲인터넷 및 SNS 매체에 대한 심의대상 확대(‘10만 명 이상’ 기준 개정), ▲기사 또는 전문가 의견제시 형태의 의료광고 금지대상을 온라인매체까지로 확대, ▲의료광고 심의필증 표시 강화 등을 건의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9-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18 2020년 업종별 대리점 거래 실태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17
3517 보험소비자 권익보호를 위한 불합리한 보험약관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17
3516 군미필(軍未畢) 남성이 받는 손해배상 불이익 없앤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2 17
3515 영세사업장에 일자리안정자금 근로자 1인당 최대 월 18만원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6 17
3514 채소 샐러드, 표시사항 확인하고 건강하게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31 17
3513 2019년 섬유제품·세탁서비스 소비자분쟁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0 17
3512 2020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안) 19일부터 열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8 17
3511 건설업.벌목업 고용.산재보험료,3월 31일까지 신고.납부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6 17
3510 마스크 5부제 시행 관련, 주민등록표 등본 발급 수수료 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0 17
3509 도시재생 UN 청년전문봉사단에 도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1 17
3508 소비자 대상 직접(DTC) 유전자검사를 받을 때 주의사항과 활용방법을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9 17
3507 98만 가구에 장려금 반기신청 안내, 신청기한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3 17
3506 2019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군별 주요고용지표 집계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5 17
3505 2020년 대기업집단 소속회사 변동현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3 17
3504 같은 영유아에 대하여 부부 동시 육아휴직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31 17
Board Pagination Prev 1 ... 681 682 683 684 685 686 687 688 689 690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