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유튜브, SNS 등 온라인 의료광고, 사전 심의 강화해야


의료서비스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에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어 부당한 의료광고로 인한 폐해가 다른 분야에 비해 크다. 최근 온라인 매체를 통한 의료광고의 비중이 늘고 있는 가운데, 의료법 위반이 의심되는 의료광고가 실시간으로 게시되고 있어 소비자피해가 우려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소비자시민모임(회장 백대용), 서울시 환자권리옴부즈만과 공동으로 유튜브, SNS(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매체의 의료광고 실태를 조사했다.

◎ ‘이벤트성 가격할인’ 등 비급여 진료비 할인·면제 광고가 46.8%로 가장 많아

「의료법」 제56조(의료광고금지)에서는 비급여 진료비에 대한 할인·면제 광고(이벤트성 가격할인 광고 등), 환자의 치료경험담을 통해 치료효과를 오인하게 하는 광고, 다른 의료인 및 의료기관과의 비교 광고 등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광고 사전 심의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 의료인등은 심의대상 매체(신문·잡지·방송 등)에서 의료광고를 하려는 경우 「의료법」에서 규정하는 기관 또는 단체의 심의를 받아야함.

실태조사 결과, 의료법 위반이 의심되는 광고는 833건으로 조사됐다. 유형별로는 `이벤트성 가격할인'이 390건(46.8%)으로 가장 많았고, `환자의 치료 경험담'이 316건(38.0%), `다른 의료인 및 의료기관과의 비교' 44건(5.3%) 등의 순이었다.

매체별로는 인스타그램 432건(51.9%), 유튜브 156건(18.7%), 페이스북 124건(14.9%) 순이었으며, 특히 ‘이벤트성 가격할인’ 광고는 이미지·게시글 광고가 특징인 SNS에서 주로 많았다.


[ 의료법 위반 의심 의료광고 유형 ]

구 분

유튜브

SNS(사회 관계망 서비스)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이벤트성 가격할인(비급여 진료비에 대한 할인·면제 광고)

4

265

63

58

390 (46.8)

환자의 치료경험담

108

133

41

34

316 (38.0)

다른 의료인 및 의료기관과의 비교

6

15

6

17

44 (5.3)

치료효과 보장 등(치료효과 오인 우려가 있는 내용)

19

9

6

8

42 (5.0)

직접적인 시술행위 노출

16

10

0

1

27 (3.2)

공인되지 않은 수술·시술명 사용(거짓 광고, 객관적 사실

과장 광고)

3

0

5

6

14 (1.7)

156(18.7)

432(51.9)

121(14.5)

124(14.9)

833(100.0)

1) 대한의사협회「사전자율심의기준」참고

2) 위 사안은 위반 ‘의심’ 사례로서, 가격할인 및 환자치료경험담 등의 경우 의료시장의 질서를 해하고, 소비자를 현혹할 우려가 있는지에 따라 개별 판단 필요

현행 「의료법」에서는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로 하여금 잘못 알게 할 우려가 있는 방법으로 비급여 진료비용을 할인하거나 면제하는 내용의 광고*를 금지하고 있다.

* 비급여 진료비용의 할인·면제 금액, 대상, 기간, 할인·면제 이전의 비급여 진료비용에 대한 허위 또는 불확실한 정보 게재 금지(의료법 시행령)

그러나, 의료기관마다 비급여 진료비용을 다르게 적용하고 있어 소비자가 광고를 통해 할인 정보(금액, 범위, 할인율, 할인 이전 비용 등)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어려워 소비자 오인 가능성이 높았다.

◎ 전문가 의견 형태의 온라인 매체 광고에 대한 규제 필요

또한 「의료법」은 신문(인터넷신문 포함), 방송, 잡지 등에 특정 의료기관·의료인의 정보(연락처, 약도 등)와 함께 제공되는 기사 또는 전문가 의견 형태의 광고를 금지하고 있다. 이런 유형의 광고는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소비자의 신뢰를 높여 의료서비스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 규정은 최근 광고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온라인 매체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

◎ 의료광고 심의대상 선정기준 명확히 해 사전심의 강화해야

「의료법 시행령」은 의료광고를 위한 사전심의가 필요한 대상 매체로 ‘전년도 말 기준 직전 3개월 간 일일 평균 이용자 수가 10만 명 이상인 인터넷 및 SNS 매체’를 규정하고 있다. 심의기구는 이를 기준으로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을 심의 대상으로 정하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매체의 특성상 이용자 수와 의료광고의 파급력이 비례한다고 볼 수 없고, 이용자 수의 의미가 매체 전체의 평균인지 또는 개별 채널·계정의 이용자 수인지 명확하지 않은 문제도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대한의사협회는 사전심의를 통해 심의받은 의료광고의 경우 심의필 번호나 문구 중 하나를 기재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관련 법규에는 사전심의필 표시가 의무화되어 있지 않다.

조사결과, 833건 중 사전심의필증이 표시된 광고는 6건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827건의 광고는 사전 심의 여부를 알 수 없어 개선이 필요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부처에 ▲인터넷 및 SNS 매체에 대한 심의대상 확대(‘10만 명 이상’ 기준 개정), ▲기사 또는 전문가 의견제시 형태의 의료광고 금지대상을 온라인매체까지로 확대, ▲의료광고 심의필증 표시 강화 등을 건의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9-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14 설명절 무료 개방 공공주차장 14,843개, '공유누리'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5 54
7813 설명절 공중화장실 깨끗하고 안전하게 이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1 23
7812 설명절 고속도로 휴게소 임시화장실 운영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12
7811 설명자료(한국경제신문과 국민일보 '치약, 화장품으로 전환' 기사관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92
7810 설명자료(SBS 8시뉴스 '목숨이 달렸는데...장사 안되는 희귀병약 품귀' 기사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87
7809 설명자료(SBS '여드름 없애려 피임약 암거래? 혈전증 위험' 기사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5 75
7808 설명자료(MBC ‘유통기한 남았는데 역겨운 맛이? 수입과자 관리 엉망’ 보도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5 97
7807 설명자료('국내 수두백신 효과 떨어진다' 보도관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5 239
7806 설맞이 선물, 주류·건강기능식품·의료기기 등 구입 시 이것만은 주의 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76
7805 설맞아 전국 522개 전통시장 주변도로 주차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08 42
7804 설마 내 몸속에 기생충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14 31
7803 설레는 축제 현장, 안전 먼저 챙기고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2 54
7802 설날 연휴, 국립공원을 비대면으로 즐겨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10 27
7801 설계·시공 일괄입찰 공사 불공정 관행 바로 잡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7 41
7800 설 준비 식재료, 전통시장·대형마트 순으로 저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7 68
Board Pagination Prev 1 ...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