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농어촌민박, 숙박업소에 비해 화재 안전에 취약

- 소방시설 설치·구비 기준 강화 필요 -


농어촌민박 시설 수가 숙박업소(공중위생영업) 수준까지 증가하고 상당수가 펜션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나, 시설 안전기준이 미흡해 화재 등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말 기준 전국에 신고 된 농어촌민박은 26,578개소, 숙박업(공중위생영업)소는 30,957개소이며 지난해 10명의 사상자를 낸 ‘강릉 펜션’도 농어촌민박 사업장으로 밝혀짐.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전국 펜션형 숙박시설* 20개소**(농어촌민박 10개소, 숙박업소(생활) 10개소)를 대상으로 소방·시설안전 실태를 조사한 결과로 밝혀졌다.

* 펜션(pension)은 법령상의 용어는 아님. 일반적으로 농촌·어촌·산지 등에서 운영되는 소규모 숙박시설을 의미

* 2017년 기준 시·군별 농어촌민박 분포 상위 10개 지역 지역별 선정

◎ 농어촌민박 화재안전에 취약, 소방시설 설치·구비기준 강화 필요

조사대상 농어촌민박과 숙박업소는 외관상 구분이 어려워 소비자들이 유사한 시설과 규모를 가진 펜션으로 인지하기 쉽다. 하지만 조사 결과 농어촌민박의 소방시설이 숙박업소의 소방시설보다 더 취약해 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펜션형 숙박업소 소방시설 설치·구비 실태]

소방시설

설치(개소)

소방시설

설치(개소)

농어촌민박

숙박업

농어촌민박

숙박업

객실 내 소화기

7/10

8/10

유도등 또는 유도표지

2/10

10/10

객실 내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10/10

10/10

완강기

1/10*

8/10

휴대용 비상조명등

1/10

10/10

가스누설 경보기

0/2

2/2

일산화탄소 경보기

0/2

0/2

* 3 개소는 건물 측면별 층수가 달라 실제 건축물 대장에는 2 층으로 기록되어 있음 .

숙박업소가 소화기, 화재감지기(단독경보형), 휴대용 비상조명등, 유도등, 완강기(3층 이상 10층 이하 설치), 가스누설경보기(가스시설이 설치된 경우) 등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는데 반해, 농어촌민박은 소화기와 화재감지기(단독경보형)만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 그 원인으로 파악되어 관련 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농어촌민박 10개소 중 6개소(60%)는 복합건축물*로 숙박업소와 동일한 소방시설을 구비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임에도 불구하고 소방시설이 농어촌민박 기준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가 요구된다.

* 하나의 건축물이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또는 위락시설의 용도와 주택의 용도로 함께 사용되는 것

◎ 복층 내 안전관리 기준에 부적합해

조사대상 숙박시설 20개소 중 12개소에 설치된 복층의 안전 실태를 점검한 결과, 복층 계단 및 난간의 높이·폭·너비 등이「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및「실내건축의 구조·시공방법 등에 관한 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가장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더라도 대부분 부적합해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펜션형 숙박시설 복층 안전실태 조사결과]

구분

조사 기준(cm)

부적합(업소 수)

농어촌민박

숙박업

복층

난간높이

90 이상

5/6

3/6

난간 간살 간격

10 이하

5/6

5/6

간살의 형태

세로

2/6

0/6

실내계단

계단

단높이

20 이하

5/6

4/6

단너비

24 이상

2/6

2/6

난간

높이

90 이상

4/6

3/6

간살 간격

10 이하

5/6

6/6

간살 형태

세로

1/6

0/6


또한 주로 침실로 사용되는 복층 12개소 중 6개소(50%)에는 화재감지기(단독경보형)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피가 어려울 우려가 있었다.

◎ 안전시설 관련 정보제공 미흡해

농어촌민박은 「농어촌정비법」, 숙박업소(공중위생영업)는 「소방시설법」에 따라 소방시설 설치기준이 다르지만, 모두 `펜션'이라는 상호를 사용하고 있어 소비자가 이를 구분하기 어렵다. 또한 예약 시 객실·비품 정보와는 달리 소방·안전 관련 정보는 사전에 제공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농림축산식품부에는 ▲일정규모 이상의 농어촌민박은 숙박업 수준으로 안전기준 강화, ▲숙박시설 예약 사이트 내 농어촌민박 표시 의무화를, 소방청에는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안전점검 강화, ▲복층 내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 설치 의무화를, 국토교통부에는 ▲복층 계단 ·난간에 대한 규정 개선 검토를 각각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9-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44 식품위생법령 고의.반복 위반업체 19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6 20
7843 건설업 등 분할납부 사업장 고용.산재보험료 신용카드 자동이체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6 16
7842 공공·학교체육시설, 공정기준에 따라 누구나 차별 없이 사용할 수 있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6 31
7841 해외직구 무선 이어폰 소비자불만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5 15
7840 통계청, 2019 가구주택기초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5 9
7839 ‘농업직불금’ 신청요건 관련 민원 가장 많아...“온라인 신청 도입 등 신청절차 개선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5 54
7838 2019년 서비스 시장의 소비자지향적 수준에 대한 소비자 평가결과, 77.6점으로 2년 전에 비해 소폭 하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0
7837 2019년 10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2
7836 이제 여성농업인도 출산급여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2
7835 교육부 소관 12개 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2
7834 근로장려금, 5월에 신청 못했다면 ‘기한 후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2
7833 국세청, 빅데이터로 사업자등록 즉시 발급률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24
7832 안전성과 품질 검증된 ‘튜닝 인증부품’ 늘어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8
7831 현대, 포드, 포르쉐, BMW, 혼다, 두카티 리콜 실시 [총 6개사 122,350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9
7830 교통사고 정보 연계로 국민들의 보험금 및 연금 신청 불편 없앤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1 11
Board Pagination Prev 1 ...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