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은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 당부
   - 어패류 익혀먹기, 바닷물 접촉주의(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어패류 5℃ 이하 저온보관 및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등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2019년 6월 1명 → 7월 2명 → 8월 15명


 ○ 비브리오패혈증은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되며, 감염 시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되고 증상 발현 후 24시간 내 피부 병변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 매년 8월∼9월 사이에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 최근 5년간 월별 평균 환자 신고수: 2월 0.2명, 4월 0.4명, 5월 0.2명, 6월 2.4명, 7월 5명, 8월 12.6명, 9월 19명, 10월 8.6명, 11월 0.6명, 12월 0.4명


 ○ 2019년 비브리오패혈증으로 인한 사망이* 확인된 확진 환자 3명은 해당 지자체에서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간 질환, 알코올중독, 당뇨병 등 기저질환을 가진 비브리오 패혈증 고위험군이었다.
      * 2019년 사망 신고환자 7명 중 4명은 역학조사 중


 <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 >
간 질환자, 알코올중독자,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 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복용 중인 자, 악성종양,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 환자, 장기이식환자, 면역결핍 환자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특히,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코올중독자 등의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은 치사율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는다.
 ○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는다.
 ○ 어패류 관리 및 조리를 할 때 아래와 같은 사항을 준수한다.

  ◇ 어패류는 5도 이하로 저온 보관한다.
  ◇ 어패류는 85도 이상 가열처리한다.
    * 어패류는 껍질이 열리고 나서 5분동안 더 끓이고, 증기로 익히는 경우에는 9분이상 더 요리해야 함
  ◇ 어패류를 조리 시 해수를 사용하지 말고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야 한다.
  ◇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 칼 등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한다.
  ◇ 어패류를 다룰 때 장갑을 착용한다.



[ 질병관리본부 2019-08-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565 제품 자체에서 발연될 수 있는 Latuna 전기포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3.13
2564 공기 손실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Uniroyal 타이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3.13
2563 일부 구성품이 미생물에 오염된 Advanture 구급약품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3.13
2562 과도한 수준의 아플라톡신이 검출된 The yummy company 단백질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3.10
2561 라벨에 미표기 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NISSIN 커리 누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3.10
2560 남성의류 쇼핑몰 매니쉬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1.20
2559 생활안정자금 융자를 가장한 전자금융사기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2.01.12
2558 신기술조합 투자(출자)는 위험이 매우 큰 투자이므로, 판매 증권사를 통해 투자 관련 정보를 충분히 확인하세요 ? 소비자 경보 ‘주의’ 발령 및 행정지도 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9.15
2557 시중 유통 의료기기의 안전관리가 강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8.18
2556 알레르기 유발 성분(헤이즐넛) 미표기된 Cadbury Dairy Milk 초콜릿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7.28
2555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된 아가츠마(Agatsuma) 샤워기 완구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0.12.07
2554 성기능표방 해외직구 제품에서 비아그라 성분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0.11.12
2553 감염병 예방을 위한 올바른 마스크 선택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0.08.03
2552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10.16
» 비브리오패혈증 환자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08.30
2550 신학기 학교생활 시작, 인플루엔자·홍역·수두 등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02.27
2549 Collegiate 말안장, 사용자 낙상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02.07
2548 Polaris Scrambler ATV, 야간 주행 시 충돌 위험으로 인한 후부 반사경 무상 장착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8.06.20
2547 유행성각결막염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8.06.01
2546 봄 나들이 갈 때 교통안전도 챙기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8.04.06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