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심뇌혈관질환 예방은 “자기혈관 숫자알기” 부터
- 9월 첫 주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합동캠페인 실시 -


-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30-40대가 건강관리는 가장 취약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위해 “자기혈관 숫자 알기” 가 중요

- 아울러 “9대 생활수칙”을 실천하면 심뇌혈관질환은 예방 가능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주간(9월1일~9월7일)을 맞아 자기혈관 숫자 알기, “레드서클” 합동 홍보(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캠페인은 심뇌혈관질환이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이지만 “자기혈관 숫자 알기”와 “9대 생활수칙” 실천으로 예방·관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중증 질환으로 발전하기 전에 30-40대부터 경각심과 관심을 갖자는 홍보활동을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 심뇌혈관질환은 심근경색, 심장정지 등 심장질환,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 선행질환인 고혈압 및 당뇨병 등을 포함

* “자기혈관 숫자 알기”는 자신의 혈압·혈당·콜레스테롤의 수치를 알고 관리해서 건강한 혈관, 즉 “레드서클(Red Circle)”로 심뇌혈관질환을 예방·관리하자는 의미

심뇌혈관질환은 우리 국민의 주요 사망원인이며 개인적 진료비 부담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질환이지만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30-40대는 심뇌혈관질환 관리가 가장 저조한 상황이다.


<그림 1. 연령대별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인지율(2013∼2017년, 자료통합> : 붙임 참조


1) 고혈압 인지율: 고혈압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고혈압 진단을 받은 분율, 만30세이상
2) 당뇨병 인지율: 당뇨병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당뇨병 진단을 받은 분율, 만30세이상
3) 고콜레스테롤혈증 인지율: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고콜레스테롤혈증 진단을 받은 분율, 만30세이상
[자료원] 2017 국민건강통계, 질병관리본부


※ 고혈압·당뇨병·고콜레스테롤혈증 관리수준(붙임 1 참조)


심뇌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선행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꾸준히 치료해야 하며 혈압, 혈당 및 콜레스테롤 수치를 통해 미리 알 수 있다.

건강한 혈관을 위한 정상 수치는 혈압 120/80mmHg 미만, 공복 혈당 100mg/dl 미만, 콜레스테롤 200mg/dl 미만이다.


<그림 2. 정상 혈압, 정상혈당, 정상 콜레스테롤의 수치> : 붙임 참조


질병관리본부는 캠페인 기간 동안 “자기혈관 숫자 알기”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전국 주요 지역에서 참여형 레드서클존(Red Circle Zone)을 운영하고 지역주민대상 건강강좌도 개최한다.


전국 레드서클존에서는 혈압과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 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으며, 아울러 각 보건소에서도 혈압 및 혈당 측정과 건강관리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레드서클존은 3040 직장인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되며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운영된다.

또한 국방부 전우마라톤(9월 7일)과 지상군 페스티벌 행사(10월 6일)와 연계하여 군 장병 대상 합동캠페인을 실시한다.


또한 대한심장학회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주관으로 지역주민대상 심뇌혈관질환 건강강좌 개최 등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캠페인이 지역별로 진행된다.


※ 합동캠페인 주요행사 일정 및 장소(붙임 2 참조)


※ 심뇌혈관질환 건강강좌 일정 및 장소(붙임 3 참조)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자기혈관 숫자 알기”와 함께 건강생활 실천이 중요하고 아울러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응급증상 및 대처요령도 평소 익혀두는 것이 좋다.


질병관리본부는 2008년 8개 전문학회*와 함께 제정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9대 생활수칙」을 매년 레드서클 캠페인을 통해 알리고 있다.


* 대한고혈압학회, 대한당뇨병학회,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대한가정의학회, 대한심장학회, 대한비만학회, 대한뇌신경재활학회, 대한뇌졸중학회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1. 담배는 반드시 끊습니다.

2. 술은 하루에 한두 잔 이하로 줄입니다.

3.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4. 가능한 한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5.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합니다.

6.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합니다.

7.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을 측정합니다.

8.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을 꾸준히 치료합니다.

9. 뇌졸중, 심근경색증의 응급 증상을 숙지하고 발생 즉시 병원에 갑니다.

* 질병관리본부와 8개 전문학회가 공동으로 제정(2008년)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등의 응급증상을 평소에 미리 알고 본인이나 가족, 주변에 환자가 발생할 경우, 즉시 119에 도움을 요청하고 가깝고 큰 병원 응급실로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뇌졸중·심근경색 응급증상 및 대처요령

○ 응급 증상

(뇌졸중) 한쪽 마비, 갑작스런 언어장애·시야장애·어지럼증·심한 두통

(심근경색) 갑작스런 가슴통증, 호흡곤란, 식은땀, 구토, 현기증, 통증 확산

○ 대처요령

뇌졸중·심근경색 응급 증상 발생 시 즉시 119에 도움 요청하여 신속히 가깝고 큰 병원 응급실로 이송

이번 캠페인은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이해와 건강 생활실천 운동의 확산을 위해 라디오 공익광고, 동영상, 인포그래픽, 포스터 등의 콘텐츠가 제작되어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제공된다.

* 각종 콘텐츠는 질병관리본부 누리집(www.cdc.go.kr<알림·자료<홍보자료)에서 다운로드 가능함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캠페인 기간 동안 가까운 레드서클존 또는 보건소를 방문하여 자신의 혈관 건강상태를 확인해 보는 것부터 심뇌혈관질환 예방이 시작된다.”고 강조하였다.

아울러 “질병관리본부도 올바른 정보 제공으로 국민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보건복지부 2019-08-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33 메르스 격리 가구 긴급 생계지원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68
6232 메디톡스社 보툴리눔 제제 품목 허가 취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3 8
6231 메가박스 영화관람료 인상 분석 보도자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5 34
6230 멀티플렉스 판매 팝콘세트, 당ㆍ포화지방 함량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5 114
6229 먼저 해결하고 싶은 생활 속 불편 규제, 국민이 뽑아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1 45
6228 먼저 해결하고 싶은 생활 속 불편 규제, 국민이 뽑아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56
6227 먹는물 안전은 높이고, 기업자율은 키우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4 55
6226 먹는 당뇨약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8 57
6225 먹는 B형 간염약 건강보험 적용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3 128
6224 머니투데이, "변액보험 원금보장 수수료 없애라"...보험사 비상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2 311
6223 맹견 키우려면 시ㆍ도지사의 허가 받아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8 8
6222 맹견 소유자는 맹견보험 가입 의무화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6 83
6221 맥주는 직사광선을 피해서, 생(生)탁주는 세워서 냉장보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6 25
6220 맥주 수입 확대에 따른 소비자인식, 긍정적으로 나타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2 10
6219 매트리스 청소·생활가전 렌탈 서비스 등 수준 높은 뉴스테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1 94
Board Pagination Prev 1 ...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