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심뇌혈관질환 예방은 “자기혈관 숫자알기” 부터
- 9월 첫 주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합동캠페인 실시 -


-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30-40대가 건강관리는 가장 취약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위해 “자기혈관 숫자 알기” 가 중요

- 아울러 “9대 생활수칙”을 실천하면 심뇌혈관질환은 예방 가능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주간(9월1일~9월7일)을 맞아 자기혈관 숫자 알기, “레드서클” 합동 홍보(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캠페인은 심뇌혈관질환이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이지만 “자기혈관 숫자 알기”와 “9대 생활수칙” 실천으로 예방·관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중증 질환으로 발전하기 전에 30-40대부터 경각심과 관심을 갖자는 홍보활동을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 심뇌혈관질환은 심근경색, 심장정지 등 심장질환,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 선행질환인 고혈압 및 당뇨병 등을 포함

* “자기혈관 숫자 알기”는 자신의 혈압·혈당·콜레스테롤의 수치를 알고 관리해서 건강한 혈관, 즉 “레드서클(Red Circle)”로 심뇌혈관질환을 예방·관리하자는 의미

심뇌혈관질환은 우리 국민의 주요 사망원인이며 개인적 진료비 부담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질환이지만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30-40대는 심뇌혈관질환 관리가 가장 저조한 상황이다.


<그림 1. 연령대별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인지율(2013∼2017년, 자료통합> : 붙임 참조


1) 고혈압 인지율: 고혈압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고혈압 진단을 받은 분율, 만30세이상
2) 당뇨병 인지율: 당뇨병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당뇨병 진단을 받은 분율, 만30세이상
3) 고콜레스테롤혈증 인지율: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고콜레스테롤혈증 진단을 받은 분율, 만30세이상
[자료원] 2017 국민건강통계, 질병관리본부


※ 고혈압·당뇨병·고콜레스테롤혈증 관리수준(붙임 1 참조)


심뇌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선행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꾸준히 치료해야 하며 혈압, 혈당 및 콜레스테롤 수치를 통해 미리 알 수 있다.

건강한 혈관을 위한 정상 수치는 혈압 120/80mmHg 미만, 공복 혈당 100mg/dl 미만, 콜레스테롤 200mg/dl 미만이다.


<그림 2. 정상 혈압, 정상혈당, 정상 콜레스테롤의 수치> : 붙임 참조


질병관리본부는 캠페인 기간 동안 “자기혈관 숫자 알기”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전국 주요 지역에서 참여형 레드서클존(Red Circle Zone)을 운영하고 지역주민대상 건강강좌도 개최한다.


전국 레드서클존에서는 혈압과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 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으며, 아울러 각 보건소에서도 혈압 및 혈당 측정과 건강관리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레드서클존은 3040 직장인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되며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운영된다.

또한 국방부 전우마라톤(9월 7일)과 지상군 페스티벌 행사(10월 6일)와 연계하여 군 장병 대상 합동캠페인을 실시한다.


또한 대한심장학회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주관으로 지역주민대상 심뇌혈관질환 건강강좌 개최 등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캠페인이 지역별로 진행된다.


※ 합동캠페인 주요행사 일정 및 장소(붙임 2 참조)


※ 심뇌혈관질환 건강강좌 일정 및 장소(붙임 3 참조)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자기혈관 숫자 알기”와 함께 건강생활 실천이 중요하고 아울러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응급증상 및 대처요령도 평소 익혀두는 것이 좋다.


질병관리본부는 2008년 8개 전문학회*와 함께 제정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9대 생활수칙」을 매년 레드서클 캠페인을 통해 알리고 있다.


* 대한고혈압학회, 대한당뇨병학회,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대한가정의학회, 대한심장학회, 대한비만학회, 대한뇌신경재활학회, 대한뇌졸중학회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1. 담배는 반드시 끊습니다.

2. 술은 하루에 한두 잔 이하로 줄입니다.

3.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4. 가능한 한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5.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합니다.

6.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합니다.

7.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을 측정합니다.

8.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을 꾸준히 치료합니다.

9. 뇌졸중, 심근경색증의 응급 증상을 숙지하고 발생 즉시 병원에 갑니다.

* 질병관리본부와 8개 전문학회가 공동으로 제정(2008년)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등의 응급증상을 평소에 미리 알고 본인이나 가족, 주변에 환자가 발생할 경우, 즉시 119에 도움을 요청하고 가깝고 큰 병원 응급실로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뇌졸중·심근경색 응급증상 및 대처요령

○ 응급 증상

(뇌졸중) 한쪽 마비, 갑작스런 언어장애·시야장애·어지럼증·심한 두통

(심근경색) 갑작스런 가슴통증, 호흡곤란, 식은땀, 구토, 현기증, 통증 확산

○ 대처요령

뇌졸중·심근경색 응급 증상 발생 시 즉시 119에 도움 요청하여 신속히 가깝고 큰 병원 응급실로 이송

이번 캠페인은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이해와 건강 생활실천 운동의 확산을 위해 라디오 공익광고, 동영상, 인포그래픽, 포스터 등의 콘텐츠가 제작되어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제공된다.

* 각종 콘텐츠는 질병관리본부 누리집(www.cdc.go.kr<알림·자료<홍보자료)에서 다운로드 가능함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캠페인 기간 동안 가까운 레드서클존 또는 보건소를 방문하여 자신의 혈관 건강상태를 확인해 보는 것부터 심뇌혈관질환 예방이 시작된다.”고 강조하였다.

아울러 “질병관리본부도 올바른 정보 제공으로 국민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보건복지부 2019-08-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721 「보험업 감독규정」 개정안 규정개정 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0 34
7720 고궁과 왕릉을 가득 채운 가을, 지금 만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1 34
7719 방통위, ‘아름다운 인터넷 세상’ 통합포털 서비스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1 34
7718 이제 취업 전 사회보험 가입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3 34
7717 미국행 항공 승객 보안 강화, “평소처럼 공항 오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3 34
7716 우리가 마시는 음료, 현명하게 선택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6 34
7715 국가기록물, 인터넷 포털에서 편리하게 볼 수 있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6 34
7714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13개 지역 추가 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31 34
7713 데이터로 새로워진 시티투어버스 출발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31 34
7712 상조업체 3분기에 4개 사 폐업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2 34
7711 ´18년 1월부터 ´노인외래정액제´ 개선안 시행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2 34
7710 식약처, 세척달걀 냉장유통 의무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3 34
7709 근로․자녀장려금「기한후신청」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6 34
7708 경기 수원(신대저수지) 야생조류 분변에서 H5형 AI 바이러스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6 34
7707 국표원, 학용품·완구 등 어린이제품 23개 제품 리콜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5 34
Board Pagination Prev 1 ...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