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취미용 드론, 정지비행 성능, 최대 비행시간 등 품질성능 차이 있어

- 비행성능과 주요 보유기능에 따라 실외용, 실내용으로 구분해서 사용해야 -


‘드론(취미용)’에 관한 가격·품질 비교정보는 ‘행복드림(www.consumer.go.kr)’ 내 ‘비교공감’란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될 예정임.


드론이 4차 산업혁명의 대표 품목으로 주목받고 있고, 특히 취미용 드론*(이하 `드론')은 영상 콘텐츠 제작 열풍, 간편한 조작방법 등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은** 제품이지만 객관적인 품질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 자체 중량 12 kg 이하의 비사업용 무인비행장치로 날리기(레이싱), 촬영(사진·영상) 목적으로 주로 활용

** 키덜트 시장 성장세에 상반기 드론 매출이 전년 대비 58% 증가(한국경제, 2018. 8.18.)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소비자에게 객관적인 상품 품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쿼드콥터* 형태의 드론 10개 브랜드, 13개 제품을 대상으로 정지비행 성능, 배터리 내구성, 영상품질, 최대 비행시간, 충전시간 등을 시험·평가했다.

* 프로펠러가 4개인 형태의 멀티콥터로서, 비행 안정성이 높음.

시험 결과 정지비행 성능, 배터리 내구성, 영상품질에서 제품별 차이가 있었으며, 최대 비행시간은 제품별 최대 약 5.2배, 충전시간은 최대 약 10.3배 차이가 있었다. 배터리 안전성은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을 충족했으며, 1개 제품은 표시사항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 정지비행 성능, 5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해 (세부내용, 붙임자료 9페이지)

정지비행* 성능이 우수할수록 안전사고(충돌·추락 등) 위험이 감소하고, 사진 및 영상 촬영 편리성이 높아진다. 시험대상 제품 중 5개 제품**이 정지비행 시 고도 및 수평을 잘 유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 비행 중 조종기를 조작하지 않을 때 드론이 스스로 고도 및 수평을 유지하며, 제자리에서 비행하는 기능

** 주요 비행장소가 실외인 DJI(매빅에어), 제로텍(도비), 패럿(아나피) 등 3개 제품 및 주요 비행장소가 실내인 시마(Z3), 패럿(맘보FPV) 등 2개 제품

◎ 최대 비행시간, 제품별 최대 5.2배 차이 있어 (세부내용, 붙임자료 9페이지)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시킨 후 최대 비행시간*을 측정한 결과, 패럿(아나피) 제품이 25.8분으로 가장 길었고, JJRC(H64) 제품이 5분으로 가장 짧아 제품별 최대 5.2배 차이가 있었다.

* 드론 사용 경험이 있는 5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24.4%(122명)가 드론의 가장 중요한 품질성능으로 ‘최대 비행시간’을 응답함.(한국소비자원, 2019. 1.)

◎ 충전시간, 제품별 최대 10.3배 차이 있어 (세부내용, 붙임자료 10페이지)

배터리를 완전히 방전시킨 후 충전 완료까지 필요한 시간*을 측정한 결과, 패럿(맘보FPV) 제품이 27분으로 가장 짧았고, 시마(X8PRO) 제품이 277분으로 가장 길어 제품별 최대 10.3배 차이가 있었다.

* 드론은 비행시간이 짧아(약 5분 ∼ 30분 이내) 배터리를 자주 충전해야 하므로, 충전시간이 짧을수록 사용성 측면에서 유리함.

◎ 배터리 내구성, 7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해 (세부내용, 붙임자료 10페이지)

드론에 장착된 배터리에 대해 반복적인 사용(수명시험*)과 장시간 보관(보관시험**) 후의 초기용량 대비 유지비율을 평가한 결과, 7개 제품***의 유지비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 배터리 충전-방전 100회 실시 후 초기용량 대비 유지비율 측정

** 배터리를 완전 충전 상태로 장시간(28일) 상온 보관 후 재충전하여 초기용량 대비 유지비율 측정

*** 주요 비행장소가 실외인 DJI(매빅에어), 시마(X8PRO), 제로텍(도비) 등 3개 제품 및 주요 비행장소가 실내인 HK(H7-XN8), 시마(Z3), 바이로봇(XTS-145, 패트론V2) 등 4개 제품

◎ 영상품질, 3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해 (세부내용, 붙임자료 11페이지)

카메라가 장착된 9개 제품을 대상으로 비행 중 촬영한 영상을 평가*한 결과, 3개 제품**의 영상품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 촬영 영상의 ‘화질 및 떨림’에 대해 30명이 실시한 관능평가

** DJI(매빅에어), 자이로(엑스플로러V), 패럿(아나피)

◎ 소음, 제품별 차이 있어 (세부내용, 붙임자료 11페이지)

비행 중 최대 소음을 측정한 결과, 실내용 제품은 67 dB ~ 83 dB 수준이며, 실외용 제품은 80 dB ~ 93 dB 수준이었다.

공기청정기의 소음은 56 dB ~ 65 dB 수준이며, 전기믹서의 소음은 76 dB ~ 91 dB 수준임.

◎ 내환경 성능, 2개 제품 문제 있어 (세부내용, 붙임자료 12페이지)

낙하, 고온·저온, 습도 시험 후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한 결과, 드로젠(로빗100F) 제품은 기준시험*(습도)을 충족하지 못했고, 자이로(엑스플로러V) 제품은 실사용 확인시험(1 m 낙하)에서 기체 일부(랜딩기어)가 파손됐다.

* KS W 9001(무인 항공기 시스템-무인동력비행장치의 설계)

◎ 모든 제품 안전성에 이상 없고 표시사항은 1개 제품 부적합 (세부내용, 붙임자료 11페이지)

과충전, 외부단락 등의 배터리 안전성에는 모든 제품이 이상이 없었으나, JJRC(H64) 제품은 「전파법」에 따른 의무 표시사항을 누락하여 부적합했다.

해당 업체(보라매)는 누락된 표시사항을 보완할 계획임을 회신함.

◎ 주요 비행 장소가 실외인 경우, 위성항법장치(GPS) 적용 제품 구입해야(세부내용, 붙임자료 8페이지)

시험대상 13개 중 5개 제품*은 GPS 연결 기반으로 비행고도 제한, 비행위치(또는 거리) 표시, 최초 이륙장소 자동복귀 기능을 보유하고 있어 실외사용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됐다.

* DJI(매빅에어), 시마(X8PRO), 자이로(엑스플로러V), 제로텍(도비), 패럿(아나피)

HK(H7-XN8), JJRC(H64) 등 8개 제품은 비행고도 제한, 최초 이륙장소 자동복귀 기능이 없고, 약한 바람(2 m/s 수준)에도 기체가 밀려 주요 비행장소를 실내용으로 평가함.

실외에서 드론을 비행할 경우, 조종자 준수사항1)에 따라 비행해야 하고, 비행지역이나 고도에 따라 사전 승인절차2)가 필요하며, 항공 촬영 전에도 별도의 허가절차3)가 요구된다.


1)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의 준수사항(?항공안전법? 제129조 1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310조)

  - 가시권 비행, 야간비행 금지, 인구밀집 지역 비행금지, 낙하물 투하행위 금지 등

2)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승인(?항공안전법? 제127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308조)

  - 지상고도 150 m 이상, 비행금지구역(또는 관제권)으로 비행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비행장치(종류, 용도, 소유자 등), 비행계획(목적, 비행구역, 경로·고도 등), 조종자(성명, 주소 등) 등의 정보가 포함된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승인 신청서’를 제출하여 관할 기관(국토부, 수도방위사령부 등) 승인 후 비행 가능

3) 항공촬영 허가(?국가정보원법? 제3조 및 ?보안업무규정? 제37조)

  - 항공촬영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비행장치(종류, 용도, 소유자 등), 촬영계획(촬영지역, 목표물, 고도 등), 조종자(성명, 생년월일 등) 등의 정보가 포함된 ‘항공사진 촬영허가 신청서’를 제출하여 관할 기관(국방부 등) 승인 후 항공촬영 가능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를 지원하기 위해 취미·레저용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품질 비교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8-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79 전 국가·지역 해외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 재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4 44
7678 상조 소비자 피해보상 절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7 44
7677 「장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1.2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5 44
7676 식의약 통계로 알아본 식.의약품 생산.소비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7 44
7675 방역지침 관련 시설 관리·운영자의 처분부담 경감 위한 법령 개정안 입법예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1 44
7674 1월부터 기초연금 월 최대 307,500원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0 44
7673 부탄캔을 구매할 때,파열방지기능 장착 여부를 확인하고 구매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0 44
7672 버팀목 전세대출 이용이 편리해집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44
7671 맞춤형 급여안내(복지멤버십), 국민비서로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3 44
7670 정부, 9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9 44
7669 최우선변제금 이하 보증금은 보증가입 면제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7 44
7668 NHN페이코, 저축은행 67개 에서도 전자증명서 이용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7 44
7667 고난도 금융투자상품 및 고령 투자자에 대한 녹취, 숙려제도가 시행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0 44
7666 코로나19 백신접종 예약정보, 편리하게 안내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06 44
7665 2021년 1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06 44
Board Pagination Prev 1 ...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