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전거도로 내 자전거 안전사고 3년 연속 증가

- 10건 중 9건은 운전 부주의가 원인, 통행 시 안전수칙 준수해야 -

이 자료는 10월 30일(금)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10월 29일 12시)

 

건강이나 여가활동을 위해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자전거도로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에 따르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접수된 2012년 1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자전거도로에서 발생한 자전거 안전사고는1,782건으로 매년 늘고 있으며 2014년에는 전년 대비 4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 

2 

자전거도로에서의 안전사고 발생 원인을 분석한 결과, 운전 부주의로 인한 고가 91.4%(1,629건)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기계적 결함으로 인한 사고 5.1%(91건), 자전거도로 노면 상황으로 인한 사고 3.5%(62건) 등으로 나타났다.

운전 부주의로 인한 사고는 주행 중 부주의 또는 급정거 하면서 넘어지거나 미끄러져 다친 사례가 82.3%(1,467건)로 가장 많았고, 자전거도로 노면 상황으로 인한 사고의 경우 도로 턱, 웅덩이 등으로 인해 넘어져 다친 사례 2.0%(36건), 간, 쇠기둥 등에 부딪히면서 넘어져 다친 사례 0.9%(16건) 등의 순이었다.

3 

다친 신체부위는 얼굴이 21.9%(390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머리 19.2%(342건), 다리 13.2%(235건), 목·어깨 12.3%(220건) 등의 순이었다.

 4 

상해내용별로 보면, 피부가 찢어지는 열상이 30.9%(551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타박상 23.6%(420건), 골절·치아 파절 16.6%(295건), 찰과상 13.9%(248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5 

한편, 자전거도로 안전사고는 79.2%(1,059건)가 5월부터 10월 사이에 발생하여 야외활동이 많은 시기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자전거도로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자전거를 타기 전 핸들, 브레이크 등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안전모(헬멧)를 포함한 보호장구를 착용하며 ▲자전거 통행 안전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2015-10-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20 4월은 법인지방소득세 신고·납부의 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7 92
1519 2022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7 79
1518 경찰, 강절도·생활 주변 폭력 등 민생침해범죄 엄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7 112
1517 공정, 타당한 보험금 산정, 지급을 위한 소비자 보호 원칙, 절차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7 90
1516 ‘중증 아토피 치료 약제’소아 및 청소년까지 건강보험 적용 확대로 환자 부담 경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7 99
1515 구조 위치 알리는 국가지점번호, 위험한 순간 어디서든 확인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7 96
1514 가짜 주민등록증 만져보고, 기울여보면 쉽게 식별 가능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7 97
1513 화장품 용기, 재활용이 어려운 경우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8 108
1512 요가매트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8 92
1511 112 신고한 피해자가 같은 내용으로 고소해도 반려하면 안 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8 88
1510 미성년자도 공인노무사 자격시험 볼 수 있게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8 78
1509 키오스크 및 모바일앱 장애인 접근성 제고를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8 88
1508 2021년 일자리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8 91
1507 충전불편 없는 배터리 교환형 전기이륜차 보급에 박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8 85
1506 재해 발생 위험성 등 고려해 산재보험 사업종류 결정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9 97
Board Pagination Prev 1 ... 820 821 822 823 824 825 826 827 828 82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