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기초 지자체 229곳 대상 폭염 위험도 평가결과, 2001∼2010년 '높음' 이상 69곳에서 2021∼2030년 126곳으로 크게 증가

▷ 환경부, 심각해지는 폭염 대비하고 기후변화 적응 관점에서 지역의 중장기적 대응력 제고를 위해 '폭염 위험도' 평가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전국 229곳의 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기상청의 기후전망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2021~2030년 '폭염 위험도'를 5단계(매우 높음?높음?보통?낮음-매우 낮음)로 평가한 결과를 공개했다.
※ 폭염: 일반적으로 일 최고기온이 33℃이상일 때를 폭염이라고 하고, 일 최고기온이 33℃ 이상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폭염주의보가 발령됨

이는 지난해* 유례없는 폭염으로 건강상·재산상 피해**가 크게 발생했고, 지구온난화로 폭염의 빈도 및 강도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능력을 제고하자는 취지에서 작성한 것이다.
* 평균 폭염일수: 80년대 8.2일 → 90년대 10.8일 → 2000년대 10.4일 → 2018년 31.5일
** 연평균('11~'17년) 온열질환자 1,132명(사망 11명) → '18년 온열질환자 4,526명(사망 48명)

폭염이나 혹한 등의 '위험도(risk)*'는 2014년에 발간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5차 보고서에 제시된 개념이며 위해성, 노출성, 취약성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영향 정도를 의미한다.
* 위험도(risk) = α×위해성 + β×노출성 + γ×취약성
**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와 관련된 전지구적 위험을 평가하고 국제적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세계기상기구와 유엔환경계획이 공동으로 설립한 유엔 산하 국제협의체
위험도 지표별 세부지표 항목과 가중치는 기상, 보건, 환경, 행정, 통계 등 폭염 관련 전문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계층화 분석(AHP)을 통해 도출했다.

위험도(risk) 지표


기상청 기후전망 시나리오(RCP 4.5*)에 따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2021∼2030년 '폭염 위험도'는 기준년도(2001∼2010년) 대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현되는 경우로서, 태양으로부터 들어오는 에너지 중 온실가스로 인해 2100년까지 추가적으로 지구에 흡수되는 에너지양이 4.5W/㎡인 경로

'폭염 위험도'가 '매우 높음' 지역은 19곳에서 48곳으로, '높음' 지역은 50곳에서 78곳으로 증가하는 한편, '낮음' 지역은 64곳에서 32곳, '매우 낮음' 지역은 16곳에서 6곳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에 따라 일최고기온 등 위해성이 증가하고, 고령화에 따른 65세 인구, 독거노인 비율 등 노출성이 증가하며, 도시화면적 비율과 같은 취약성이 증가함에 따른 것이다.

이에, 환경부는 일상화되고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측되는 폭염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지난 7월 10일 '폭염대응지원단*'을 발족하여, 지자체의 폭염대응력 제고와 민감계층이 당장의 폭염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단기적 지원을 추진하는 등 총력 대응하고 있다.
* (단장)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 (구성) 환경부, 지자체,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지난 6월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폭염대응 안내서'를 제작하여 지자체에 제공하고 설명회를 개최했으며, 지자체 폭염대응 시설*에 대해서는 현장 진단·자문(컨설팅)을 실시할 예정이다.
* 쿨링로드, 쿨링포그, 쿨페이브먼트, 쿨루프, 벽면녹화 등

또한, 7월부터는 독거노인, 차상위계층 등 폭염에 취약한 전국 900가구와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 어르신 이용시설 전국 1,000곳을 방문하여 양산, 부채 등 폭염 대응용품을 전달하고 행동요령을 안내하는 등 '찾아가는 현장 서비스 확대'도 추진하고 있다.

폭염 행동요령은 ▲ 더운 시간대 휴식하기 ▲ 시원한 옷을 입고 양산 쓰기 ▲ 물을 자주 마시기 ▲ 식중독 예방하기 ▲ 주변 사람 건강 살피기 등이다.   

배연진 환경부 신기후체제대응팀장은 "지자체별 다양한 여건을 고려한 현장 중심의 지원으로 폭염 피해를 최소화해 나가고, 폭염 등 기후변화에 대해 국민들의 인식도 높일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홍보도 병행하겠다"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19-08-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20 국표원, 유아동복·전기찜질기 등 60개 제품 리콜명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3 43
7519 기술분석자료를 통한 SM6 10만여대 리콜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3 43
7518 상호금융권 예금 소멸시효 적용기준 정비 및 휴면예금 관련 소비자 안내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8 43
7517 2018년 2월 온라인쇼핑동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04 43
7516 한국 관광의 1번지 제주에 야시장이 문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30 43
7515 시외버스 예매“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예매서비스 전면 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8 43
7514 오늘부터 운전면허 없이도 전기자전거로 자전거도로 달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1 43
7513 수도용 제품 안전 강화…수도법 하위법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5 43
7512 실손의료보험의 전환,중지 등 연계제도를 마련하여 생애주기에 따라 중단없는 보장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43
7511 아동수당법·기초연금법 등 핵심 민생법안 포함 복지부 소관 9개 법안, 2월 28일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2 43
7510 “장애인 출입문 더 넓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09 43
7509 경제교육 어렵다구요? '흥미딘딘 경제교실'로 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08 43
7508 부동산 전자계약으로 주택 구입·전세자금 이자 할인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22 43
7507 재난피해 국민 생계비 지원 빨라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6 43
7506 금융꿀팁 200선-(78) 금리 인상기, 금리 부담 완화 등을 위한 금융정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1 43
Board Pagination Prev 1 ...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