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는 ’15년 3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 보다 52.3% 증가한 55,688천㎡, 동수는 20.8% 증가한 70,121동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지역별 허가면적은 수도권 29,107천㎡(13,231천㎡, 83.3%↑), 지방 26,580천㎡(5,890천㎡, 28.5%↑)로 나타났다.

착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34.6% 증가한 36,442천㎡, 동수는 15.8% 증가한 58,254동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7,515천㎡(7,672천㎡, 78.0%↑), 지방 18,926천㎡(1,693천㎡, 9.8%↑)로 나타났다.

준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한 33,314천㎡, 동수는 3.6% 증가한 55,795동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5,987천㎡(3,528천㎡, 28.3%↑), 지방 17,327천㎡(△3,984천㎡ , 18.7%↓)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건축물 용도별 허가, 착공 및 준공면적은 건축 허가면적은 주거용 28,560천㎡, 상업용 12,424천㎡, 공업용은 4,423천㎡로서 각각 77.1%, 39.4%, 15.4% 증가한 반면, 문교사회용은 2,530천㎡로서 16.9% 감소하였다.

착공면적은 주거용 15,850천㎡, 상업용은 9,778천㎡, 공업용은 4,317천㎡, 문교사회용은 1,608천㎡로서 각각 41.4%, 39.6%, 13.5%, 9.4% 증가하였다.

준공면적은 주거용 13,238천㎡, 공업용 3,660천㎡, 문교사회용은 1,884천㎡로서 각각 1.9%, 32.4%, 38.7% 감소한 반면, 상업용은 9,828천㎡로서 35.7% 증가하였다.

2015년 3분기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년 동기 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허가(77.1%), 착공(41.4%) 면적은 증가한 반면, 준공(△1.9%) 면적은 감소하였다.

특히, 수도권의 허가(139.8%) 및 착공(127.1%) 면적 증가폭이 지방(허가 36.1%, 착공 4.3% 증가)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허가(39.4%), 착공(39.6%) 및 준공(35.7%) 면적이 모두 증가하였다.

세부 용도별로 살펴보면 건축허가는 업무시설(46.0%), 착공은 업무시설(58.4%), 준공은 제1종근린생활시설(22.6%)의 증가율이 높았다.

셋째, 전년 동기 대비 아파트의 허가(91.1%) 및 착공(46.4%) 면적이 수도권(허가 171.5%, 착공 205.0%)을 중심으로 증가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의 경우 서울특별시(286.3%), 경기도(120.2%), 지방의 경우 충청북도(525.6%), 부산광역시(167.1%)의 허가면적 증가가 두드려졌다.

주요 건축물(아파트)의 허가사항을 보면, 수도권은 서울시 둔촌주공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104동, 2,127천㎡), 성남시 수정구 신흥주택재건축아파트(40동, 588천㎡) 등이며, 지방은 부산시 안락1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12동, 239천㎡), 청주시 청원구 오창센토피아 신축(17동, 232천㎡) 등으로 나타났다.

규모별 변동현황 및 멸실 현황을 보면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3.3%인 30,386동, 100~200㎡ 건축물이 12,311동(17.6%), 300~500㎡ 건축물이 9,681동(13.8%)이고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25,825동으로 전체의 44.3%, 100~200㎡ 건축물이 9,919동(17.0%), 300~500㎡ 건축물이 8,524동(14.6%)이며,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23,710동으로 전체의 42.5%, 100~200㎡ 건축물이 10,305동(18.5%), 300~500㎡ 건축물이 8,447동(15.1%)이다.

소유 주체별 건축 허가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46.2%인 25,712천㎡, 개인 14,195천㎡(25.5%), 공공이 3,424천㎡(6.1%)이고, 착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7.4%인 20,904천㎡, 개인 11,437천㎡(31.4%), 공공 1,442㎡(4.0%)이며, 준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44.4%인 14,780천㎡, 개인 10,744천㎡(32.3%), 공공 3,011천㎡(9.0%)이다.

용도별 건축물 멸실은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1,732천㎡(14,131동), 988천㎡(3,033동), 318천㎡(419동), 116천㎡(199동) 멸실되었다.

주거용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65.3%인 1,132천㎡(12,346동), 다가구주택 279천㎡(1,221동), 아파트 131천㎡(58동)이며, 상업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전체의 36.3%인 358천㎡(1,362동),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353천㎡(1,263동), 업무시설 48천㎡(43동)으로 나타났다.

※ 이들 통계에 대한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 (http://www.eais.go.kr) 및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2015-10-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2 카드뮴 기준초과 검출 수입‘건고사리’회수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168
1531 국민 간식 안전관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181
1530 사망자 5명 중 4명 화장(火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206
1529 SPA 의류 브랜드, 직접 평가해 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195
1528 우리나라 연간 소비자피해액 약 4.3조 원으로 추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194
1527 '보험산업 경쟁력 강화 로드맵'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한 향후 보험 감독-검사-제재 운영방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178
1526 보험소비자 권익침해 행위에 대한 제재 강화 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208
1525 화장품 가격 및 소비실태 조사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195
1524 인체조직 추적관리 신속 정확해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157
1523 고액.상습체납차량 번호판 전국 일제 영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198
1522 서민을 울리는 유사수신 금융범죄 집중단속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181
1521 무등록 주류제조업체가 생산한 주류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184
1520 수입 ‘마늘쫑’ 및 식품첨가물 사용기준 위반 훈제연어 회수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182
1519 농식품 공공데이터 이렇게 활용 할 수 있어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206
1518 『파킨슨병』, 약물조절 및 운동 등이 도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210
Board Pagination Prev 1 ... 904 905 906 907 908 909 910 911 912 913 ... 1011 Next
/ 101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