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8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최근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국지성 집중호우가 잦아 낙뢰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기상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10년간(‘09~‘18) 평균 124,374회의 낙뢰가 발생하였다.
○ 작년에 발생한 전체 114,751회의 낙뢰 중 27%가 넘는 31,098회가 8월에 집중되었는데, 이는 대기 불안정으로 낙뢰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 인명피해는 최근 10년간(‘09~‘18) 총 46명의 사상자 발생하였는데 감전 피해자가 44명(95.7%), 화재 피해자가 2명(4.3%)이었다.
- 낙뢰가 사방이 개방된 산지(27명, 58.7%)나 농경지 등 개활지(10명, 21.7%)에서 주로 발생하는 만큼, 해당 장소에 가는 사람은 사전에 낙뢰 예보를 확인하고 안전수칙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 재산피해는 최근 10년간(‘09~‘18) 총 748건이 신고 되었으며, 피해금액은 총 65억여 원이었다.
- 피해유형*은 전자장비 고장이 372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지 보호 장치를 설치하고 낙뢰가 많은 날에는 전원 플러그를 뽑아두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 전자장비 고장 372건, 화재 241건, 정전 63건, 시설물 파괴 27건 등

□ 낙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수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 낙뢰가 예보*가 있으면 가급적 야외활동을 삼가고, 부득이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 미리 적절한 피난장소(건물, 자동차 등)를 확인한다.
*(우리 동네 낙뢰정보)기상청 기상레이더센터 홈페이지(http://radar.km.go.kr) 제공
○ 낙뢰가 칠 때는 자세를 낮추어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여야 하며, 큰 나무 아래나 금속 울타리, 철탑 및 가로등 주변은 위험하므로 주의한다.
- 개방된 공간에서는 주위보다 높은 지점이 되지 않도록 손으로 귀를 덮은 채로 머리를 가능한 땅에 가깝게 하여 웅크려 앉아야 낙뢰를 피할 수 있다.
- 또한 천둥이나 번개가 친 후에는 조급하게 움직이지 말고, 최소한 30분 정도 기다렸다가 이동하는 것이 안전하다.
○ 천둥·번개가 칠 때 우산을 쓰거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등산용 지팡이, 골프채 등을 몸에 지니고 있으면 낙뢰를 끌어들일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자동차 안으로 대피한 경우 가급적 외부와 연결된 금속부분이나 라디오 등에 접촉하거나 작동하지 말아야 한다.
- 낙뢰 전류로 전자기기가 고장 날 수 있으므로, 낙뢰 이후 제대로 작동하는 지 기능을 점검하는 것이 좋다.

□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낙뢰 사고가 나에게는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라며, “낙뢰 사고는 한번 발생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만큼 방심하지 말고 안전수칙을 생활화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9-08-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51 유해물질 함유된 Bloodline 문신잉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0.02.17
2850 고혈압 처방약 성분 함유되어 부작용 위험 있는 Insane Labz 운동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1 2020.02.17
2849 알레르기 성분이 미표시된 Pot Noodle 컵라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20.02.17
2848 Sacla 소스에 알레르기 성분이 미표시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7 2020.02.17
2847 스테로이드 등을 함유하여 부작용 위험 있는 H20 Jours, Neoprosone, Nadinola 피부미백제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4 2020.02.17
2846 화재 진압 실패 가능성 있는 WilliamsRDM 렌지후드 소화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20.02.17
2845 화재 위험 있는 스타 마스터(Star Master) USB 조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02.17
2844 감전 위험 있는 케메이(Kemei) 전기면도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0.02.17
2843 아기 침대 매트리스 안전 관련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0.02.17
2842 코로나19 악용 보이스피싱 전화, 스미싱 문자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20.02.18
2841 캠핑장 안전사고의 30.8%가 화상·중독사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20.02.20
2840 어린이 약 삼킴사고 예방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0.02.25
2839 질병관리본부, 대한의학회와 함께 ‘미세먼지 건강수칙’을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2 2020.02.27
2838 전자담배 배터리 안전 관련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0.02.27
2837 건조한 3월, 산불·화재·황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0.03.05
2836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20.03.09
2835 cikimall / 씨키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0 2020.03.09
2834 검증되지 않은 코로나19 거짓광고로 인한 소비자 피해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0.03.09
2833 코로나 차단 목걸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5 2020.03.10
2832 gohimall / 고하이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0 2020.03.10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