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봄철 저온폭설서리 등으로 인한 피해를 모두 보장하는 적과전종합위험방식* 상품을 11월 2일부터 11월 27일까지 판매한다고 밝혔다.
* 적과(나무보호 및 과실의 품질향상을 위해 일부 과실을 솎아내는 일)전에는 자연재해, 조수해, 화재에 해당하는 종합적 위험 보장, 적과 후에는 특정위험(태풍·집중호우·우박·가을동상해)만 보장
○ ‘13년에 출시된 배(적과전종합) 상품은 12개 시·군에서 30개 시·군으로, ’14년 출시된 단감(적과전종합) 상품은 3개 시·군에서 12개 시·군으로 판매 대상지역*을 확대하였다.
* 붙임2. 11월 농작물재해보험 판매일정 및 지역 참고
○ 올해 첫 출시하는 사과(적과전종합) 상품은 대표 주산지인 경북 안동문경포항 지역에서 판매한다고 밝혔다.
○ 특히, 과수 종합위험방식의 상품은 겨울철 동상해 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피해 발생 전인 11월부터 보험 판매를 개시한다.
- 그 동안 사과·배·단감·떫은감·감귤 5개 과수보험은 특정위험방식 상품으로 운영되어 태풍(강풍)과 우박은 주계약으로 보장하고 봄·가을 동상해는 특약으로 보장되었다.
- 이에 이상저온, 폭염 등 최근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는 모든 재해피해를 보험으로 충분히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 정부는 겨울철 및 봄철 이상기후에 따른 과수 5종의 보장을 확대하기 위해 배 품목을 시작으로 단감, 사과 등 순차적으로 적과전종합위험방식의 상품을 개발하여 판매할 계획*이다.
* (‘13)배→(’14)단감→(‘15)사과→(’16)떫은감→(‘17)감귤
□ 또한, 복숭아, 자두, 매실 등 과수와 양파, 마늘 등 밭작물도 11월 2일부터 함께 판매*된다.
* 판매상품 : 배단감·사과(종합), 포도, 복숭아, 자두, 매실, 느타리버섯, 오디, 복분자, 양파, 마늘(한지형), 인삼, 원예시설 및 시설작물(20종)
○ 현장에서 늘 불만으로 제기되던 높은 자기부담비율을 완화하여 저(低)자기부담비율 상품(10%·15%형)을 포도, 매실, 오디 등의 품목에 도입하였다.
* 가입조건 : (10%형) 3년 연속 가입·보험금 미지급 (15%형) 2년 연속
○ 또한, 재해피해 발생시 보장의 기준이 되는 품목별 표준가격도 현실화하여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입는 농가의 경영안정에 보다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 인상률 : 배 5.4~10.0%↑, 단감 10.0%↑, 느타리버섯(표준생산비) 71.4%↑
○ 지난해부터 6개 시·군에서 판매된 느타리버섯 상품은 올해 11개* 시군으로 확대하여 판매한다.
* (신규) 원주, 보성, 해남, 여주, 평택 (기존) 청도, 영월, 가평, 포천, 광주, 양평
□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재해보험에 가입하는 농가에게 보험료의 50%와 30% 내외를 각각 지원하고 있어 가입농가는 보험료의 5분의 1 수준만 부담하면 된다.
□ 농림축산식품부는 전 세계적으로 이상저온, 폭설, 강풍 등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므로 농가의 보험 가입은 필수사항이라고 강조했다.
○ ‘15년 10월 현재까지 봄 동상해, 우박, 태풍, 가뭄 피해 등이 발생하여 보험가입농가(2만여호)에 약 620억원의 보험금이 수확기에 지급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올해 초에도 어김없이 우박, 동상해가 발생하였고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농가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컸다” 고 밝히면서,
○ 특히, 과수는 상대적으로 자연재해에 취약하므로 종합위험방식 상품에 적극 가입하여 혹시 모를 재해에 대비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 2015-10-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23 고액.상습체납차량 번호판 전국 일제 영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78
1522 서민을 울리는 유사수신 금융범죄 집중단속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72
1521 무등록 주류제조업체가 생산한 주류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76
1520 수입 ‘마늘쫑’ 및 식품첨가물 사용기준 위반 훈제연어 회수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92
1519 농식품 공공데이터 이렇게 활용 할 수 있어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88
1518 『파킨슨병』, 약물조절 및 운동 등이 도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71
1517 보건복지콜센터 10년 동안 천백만 콜 상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6 99
1516 포괄간호서비스 건강보험 적용 첫해에 제공기관 102개로 대폭 늘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6 89
1515 주민번호 수집 허용 자치법규 일제히 손본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6 80
1514 생애주기별 소비자교육 콘텐츠 다운로드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6 72
1513 가상화폐인 코인을 악용한 불법 자금모집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6 120
1512 식약처, 가로수용 은행 등 중금속 조사결과 모두 안전한 수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5 89
1511 장애인 다빈도 질환 살펴보니 근골격계 질환, 고혈압, 당뇨 등 발생율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5 98
1510 지능화되는 테러 수법, 확실하게 대응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5 72
1509 LED전구, 광효율·수명성능 등 품질 차이 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5 107
Board Pagination Prev 1 ... 814 815 816 817 818 819 820 821 822 823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