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봄철 저온폭설서리 등으로 인한 피해를 모두 보장하는 적과전종합위험방식* 상품을 11월 2일부터 11월 27일까지 판매한다고 밝혔다.
* 적과(나무보호 및 과실의 품질향상을 위해 일부 과실을 솎아내는 일)전에는 자연재해, 조수해, 화재에 해당하는 종합적 위험 보장, 적과 후에는 특정위험(태풍·집중호우·우박·가을동상해)만 보장
○ ‘13년에 출시된 배(적과전종합) 상품은 12개 시·군에서 30개 시·군으로, ’14년 출시된 단감(적과전종합) 상품은 3개 시·군에서 12개 시·군으로 판매 대상지역*을 확대하였다.
* 붙임2. 11월 농작물재해보험 판매일정 및 지역 참고
○ 올해 첫 출시하는 사과(적과전종합) 상품은 대표 주산지인 경북 안동문경포항 지역에서 판매한다고 밝혔다.
○ 특히, 과수 종합위험방식의 상품은 겨울철 동상해 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피해 발생 전인 11월부터 보험 판매를 개시한다.
- 그 동안 사과·배·단감·떫은감·감귤 5개 과수보험은 특정위험방식 상품으로 운영되어 태풍(강풍)과 우박은 주계약으로 보장하고 봄·가을 동상해는 특약으로 보장되었다.
- 이에 이상저온, 폭염 등 최근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는 모든 재해피해를 보험으로 충분히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 정부는 겨울철 및 봄철 이상기후에 따른 과수 5종의 보장을 확대하기 위해 배 품목을 시작으로 단감, 사과 등 순차적으로 적과전종합위험방식의 상품을 개발하여 판매할 계획*이다.
* (‘13)배→(’14)단감→(‘15)사과→(’16)떫은감→(‘17)감귤
□ 또한, 복숭아, 자두, 매실 등 과수와 양파, 마늘 등 밭작물도 11월 2일부터 함께 판매*된다.
* 판매상품 : 배단감·사과(종합), 포도, 복숭아, 자두, 매실, 느타리버섯, 오디, 복분자, 양파, 마늘(한지형), 인삼, 원예시설 및 시설작물(20종)
○ 현장에서 늘 불만으로 제기되던 높은 자기부담비율을 완화하여 저(低)자기부담비율 상품(10%·15%형)을 포도, 매실, 오디 등의 품목에 도입하였다.
* 가입조건 : (10%형) 3년 연속 가입·보험금 미지급 (15%형) 2년 연속
○ 또한, 재해피해 발생시 보장의 기준이 되는 품목별 표준가격도 현실화하여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입는 농가의 경영안정에 보다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 인상률 : 배 5.4~10.0%↑, 단감 10.0%↑, 느타리버섯(표준생산비) 71.4%↑
○ 지난해부터 6개 시·군에서 판매된 느타리버섯 상품은 올해 11개* 시군으로 확대하여 판매한다.
* (신규) 원주, 보성, 해남, 여주, 평택 (기존) 청도, 영월, 가평, 포천, 광주, 양평
□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재해보험에 가입하는 농가에게 보험료의 50%와 30% 내외를 각각 지원하고 있어 가입농가는 보험료의 5분의 1 수준만 부담하면 된다.
□ 농림축산식품부는 전 세계적으로 이상저온, 폭설, 강풍 등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므로 농가의 보험 가입은 필수사항이라고 강조했다.
○ ‘15년 10월 현재까지 봄 동상해, 우박, 태풍, 가뭄 피해 등이 발생하여 보험가입농가(2만여호)에 약 620억원의 보험금이 수확기에 지급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올해 초에도 어김없이 우박, 동상해가 발생하였고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농가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컸다” 고 밝히면서,
○ 특히, 과수는 상대적으로 자연재해에 취약하므로 종합위험방식 상품에 적극 가입하여 혹시 모를 재해에 대비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 2015-10-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80 '해외직구식품 올(ALL)바로' 구매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4 18
10279 국민권익위가 권고한 ‘음주운전자 차량 시동잠금장치 설치’ 내년 시범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02 18
10278 국민권익위, 부패행위도 변호사 통한 대리신고 가능해져...부패신고자 보호·보상 대폭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01 18
10277 청소년의 올바른 금융습관을 위한 금융교육 동영상 제작,배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13 18
10276 갈비탕.육개장 등 가정간편식 제조업체 점검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24 18
10275 한국인 평균 키 40년 전보다 남 6.4cm, 여 5.3cm 커졌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0 18
10274 2021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7 18
10273 주민등록증을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8 18
10272 식약처, 위생용품 전국 합동단속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9 18
10271 정부, 7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11 18
10270 의료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7.26.)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6 18
10269 현대·벤츠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11 18
10268 일상을 잠시 멈추고 마음에 쉼표를 더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16 18
10267 중고차 구입 시 침수 흔적 철저히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26 18
10266 가정폭력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등·초본 교부 제한 신청이 쉬워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30 18
Board Pagination Prev 1 ...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