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일부 해외직구 분사형 세정제 및 살균제에서 CMIT·MIT 등 검출

- 구매대행 쇼핑몰 해당 제품 판매 중지, 해외직구 시 소비자 주의 당부 -


최근 국내에서 제조·유통되는 제품의 안전성 문제가 빈번하게 이슈화되면서 해외직구를 통해 생활화학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해외 온라인쇼핑몰 및 국내 구매대행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있는 분사형 세정제 및 살균제 25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CMIT, MIT 등과 같이 국내에서 사용이 금지된 살균보존제가 검출되어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구매대행 18개(분사형 세정제 14개, 살균제 4개), 직접배송 7개(분사형 세정제 5개, 살균제 2개)

◎ 7개 제품에서 CMIT, MIT 등 검출돼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

세정제 및 살균제는「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화학제품안전법)」에 따라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으로 분류되며, 분사형(스프레이형) 제품에는 CMIT, MIT와 같은 보존제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 유럽연합은 해당 성분 함유 시 성분명과 주의표시만을 표기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미국과 일본은 별도의 제한 규정이 없음.

유해물질 함량 시험검사 결과, 조사대상 25개 중 7개(28.0%) 제품에서 CMIT, MIT가 검출되거나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어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했다.

7개 제품에서 MIT가 최소 2.8mg/kg~최대 62.5mg/kg, 3개 제품에서 CMIT가 최소 5.5mg/kg ~ 최대 15.5mg/kg, 1개 제품에서 폼알데하이드가 76.0mg/kg이 검출됐다.


                                                                                   【 유해물질 검출범위 및 기준초과 제품 수 】

                                                                                                                                                                                                (단위 : mg/kg)

물질명

기준명

기준농도

검출범위

기준초과제품 수

비고

MIT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안전기준

분사형

함유금지

2.8~62.5

7

MIT 단독 : 4

MIT+CMIT 중복 : 2MIT+CMIT+

폼알데하이드: 중복 : 1

CMIT

분사형

함유금지

5.5~15.5

3

폼알데하이드

세정제 : 60

76

1

- MIT(Methylisothiazolinone) : 일정 농도 이상 노출 시 피부, 호흡기, 눈에 강한 자극을 일으킬 수 있음.

- CMIT(Methylchloroisothiazolinone) : 알레르기성 피부 반응과 호흡기, 눈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음.

-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 폐와 점막(눈, 코, 입)에 만성 자극을 일으키며, 장기간 노출 시 암 또는 백혈병을 유발할 수 있음.

◎ 구매대행 사업자 유해 성분 확인 소홀히 해 개선 필요

「화학제품안전법」에서는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의 판매를 중개하거나 구매를 대행하는 자는 안전기준의 확인 및 표시기준 등에 부적합한 제품의 중개 및 구매대행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CMIT, MIT가 검출된 7개 제품 모두 국내 구매대행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이 중 6개 제품은 제품 또는 브랜드 홈페이지에 해당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을 표시하고 있어 구매대행 사업자가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음에도 구매대행 금지 의무를 소홀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환경부와 공동으로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구매대행 사업자에게 해당 상품의 판매 중지를 권고했다.

아울러 소비자에게 해외직구 제품은 국내에서 제조되거나 정식 수입 통관되는 제품과 달리 안전기준 적합 검사를 받지 않아 구입 시 주의가 필요하며, 제품 또는 브랜드 홈페이지를 통해 CMIT(Methylchloroisothiazolinone), MIT(Methylisothiazolinone) 성분명이 표시된 생활화학제품은 구매하지 않도록 당부했다.

한편, 환경부는 소비자의 사용 및 노출빈도가 높은 해외직구 생활화학제품에 대해 안전성 조사를 우선 실시하고, 국내 안전기준 부적합 제품에 대해서는 즉시 차단 조치할 예정이다. 또한 해외상품 중개 및 구매대행 사업자를 대상으로 생활화학제품 제도를 설명하고, 안전기준 매뉴얼을 제작하여 홍보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7-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472 수두 환자 증가, 예방접종과 개인위생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9.12.16
1471 모임에 갈 때에는 항상 비상구를 먼저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19.12.13
1470 실내 롤러스케이트장, 안전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9.12.13
1469 인플루엔자 발생 증가, 예방접종과 개인위생수칙 준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19.12.13
1468 2006년생 여학생, 올해 12월말까지 사람유두종바이러스백신 1차 접종 완료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9.12.12
1467 초미세먼지 전국적 ‘나쁨’, 기저질환자 건강 관리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9.12.10
1466 일부 아동용 겨울 점퍼 모자에 부착된 천연모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9.12.06
1465 “해외여행 전에 여행경보를 꼭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12.04
1464 동남아 패키지여행과 연계된 쇼핑센터 판매 제품 구입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19.12.03
1463 난임치료를 위한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9.12.03
1462 공공기관, 은행 등을 사칭한 불법대출 문자메시지 소비자 피해 주의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12.03
1461 온라인 광고대행 관련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9.12.03
1460 착향제 구성 성분 중 알레르기 유발성분(식약처 고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19.12.02
1459 겨울철 증가하는 고령소비자 낙상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19.11.29
1458 만성질환자를 위한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11.29
1457 본격적인 겨울 시작, 한랭 질환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11.29
1456 패키지 해외여행 내 레저·체험활동 및 이동수단 안전관리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9.11.28
1455 전기난로, 안전한 사용으로 화재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19.11.21
1454 다이어트 보조식품 판매 사이트 `케토 플러스(Keto Plus)' 거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9.11.21
1453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관련 소비자피해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11.21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