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슬라임 부재료 파츠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초과 검출

- 슬라임 및 색소에서도 허용기준 초과하는 붕소 검출 -


어린이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슬라임과 그 부재료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전국 슬라임 카페 20개소의 슬라임 및 부재료(색소·파츠·반짝이) 100종*을 수거·검사한 결과, 이 중 19종(파츠 13종·슬라임 4종·색소 2종)이 안전기준에 부적합해 판매중지·폐기됐다.

* 클리어슬라임 20종, 색소 21종, 파츠 40종, 반짝이 19종


◎ 파츠 13종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최대 766배 기준초과 검출

슬라임 카페에서 유통되고 있는 파츠* 40종 중 13종(32.5%)에서 허용기준을 초과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고, 이 중에서 3종은 유해중금속(납·카드뮴) 기준에도 부적합했다.

* 파츠 : 슬라임에 촉감·색감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하는 장식품으로 1000여 종류 이상 판매되고 있으며, 슬라임 카페에서 뿐만 아니라 각종 만들기(액세서리·팔찌·목걸이 등) 부자재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음.

파츠 13종(32.5%)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유량은 최소 9.42%에서 최대 76.6% 수준으로 허용기준(DEHP·DBP·BBP 총합 0.1%이하)을 최대 766배 초과했다.

유해중금속이 검출된 파츠 3종(7.5%)의 납 함유량은 최소 530mg/kg ~ 최대 3,628mg/kg으로 허용기준(300mg/kg)을 최대 12배 초과했고, 1종(177mg/kg)은 카드뮴 허용기준(75mg/kg)을 약 2.4배 초과했다.


·플라스틱 제품을 유연하게 만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생식과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DEHP의 경우 눈·피부·점막에 자극을 일으키고 간독성을 야기할 수 있으며 국제암연구소(IRAC)에서 발암가능물질(2B등급)로 분류함.

·‘납’은 어린이 지능 발달 저하, 식욕부진, 빈혈, 근육약화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국제암연구소에서 인체발암가능물질(Group 2B)로 분류함.

·‘카드뮴’은 독성이 강해 체내에 잘 축적되고 배출되지 않으며 폐암·전립선암·신장암을 일으키는 것이 확인돼 국제암연구소에서 인체발암물질(Group 1)로 분류함.

◎ 슬라임 4종에서 붕소·방부제, 색소 2종에서 붕소 기준초과 검출

클리어슬라임 20종 중 4종(20.0%)에서 붕소(3종) 및 방부제(2종)가 기준초과 검출됐고, 이 중에서 1종은 붕소와 방부제(CMIT, MIT) 기준에 모두 부적합했다.

슬라임 3종(15.0%)에서 검출된 붕소 용출량은 최소 361mg/kg ~ 최대 670mg/kg로 허용기준(300mg/kg)을 최대 2.2배 초과했으며, 방부제의 경우 슬라임 1종에서는 사용 금지된 방부제인 CMIT·MIT가, 다른 1종에서는 BIT(30.5mg/kg, 허용기준 5mg/kg)가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됐다.


시료번호

클리어슬라임 A4

클리어슬라임 A8

클리어슬라임 A11

클리어슬라임 A14

구입장소

슬라임팡팡 (경기 화성시

청계동)

슬라임캠프* (성남시

분당구)

슬라임팩토리 (서울시

신월동)

슬코x말랑말랑** (경남 김해시

관동동)

유해원소

용출량

-

붕소(B) 361

붕소(B) 670

붕소(B) 642

방부제

함유량

BIT 30.5

-

CMIT 18.0 MIT 6.8

-

* CMIT : 5-Chloro-2-methyl-4-isothiazolin-3-one / MIT : 2-Methyl-4-isothiazolin-3-one / BIT : 1,2-Benzisothiazolin-3-one

⇒ 해당 4개 업체 모두 문제되는 제품에 대한 폐기·판매중지를 완료했다고 회신함.

* 본사 폐업(2019.3)으로 2019.4부터 문제제품 판매가 중지되었다고 밝힘.

** 해당 업체에서는 2018년 제조 제품이 조사시점(2019.3-4)에 판매된 것으로 추정하고 해당제품 회수·폐기를 완료했다고 밝힘.

또한 색소 21종 중 2종(9.5%)에서도 붕소 용출량이 허용기준을 초과했다.


 

 

                             (단위: mg/kg)

시료번호

C9(액체, 노랑색)

C19-2(가루, 연두색)

구입장소

슬라임스타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

슬라임 카페 (청주시 상당구 용담동)

붕소(B) 기준

(category2) 300

(category1) 1200

용출량

붕소(B) 2081

붕소(B) 1831


⇒ 해당 2개 업체 모두 문제되는 제품에 대한 폐기·판매중지를 완료했다고 회신함.


·‘붕소(B)’는 과다 노출되면 발달 및 생식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흡입시 코·목·눈을 자극

하고, 단기간 붕소에 다량 노출 시 위·장·간·신장·뇌에 영향을 미치고 사망에 이를 수 있음.

·CMIT’는알레르기성 피부 반응과 호흡기, 눈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고, ‘MIT’는일정 농도 이상 노출 시 피부, 호흡기, 눈에 강한 자극을 일으킬 수 있음.

·‘BIT’는방부제·살균제로 사용되는 성분으로피부와 눈에 자극을 유발해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고, 천식·비염 등을 유발할 수 있음.

◎ 식품 모양의 완구(파츠 등) 제조·유통 금지방안 마련 필요

슬라임에 넣는 부재료 파츠는 어린이제품(완구)으로 볼 수 있음에도 슬라임 카페 20개소(100.0%) 모두 제품에 대한 정보제공(제조국·수입자·안전인증 등)을 하지 않고 있었고, 파츠 중 일부는 어린이가 식품으로 오인할 수 있는 모양으로 제작되어 삼킴사고 위험이 높았다. 그러나 현재 어린이가 식품으로 오인할 수 있는 모양으로 제조된 장난감의 제조·유통을 금지할 수 있는 안전기준은 없는 실정이다.

한국소비자원은 관련 업체에 부적합 제품의 자발적 판매중지 및 폐기를 권고했고, 해당 업체는 이를 수용해 조치를 완료했다.

한편 파츠의 경우 슬라임 카페에서 공통적으로 취급하고 있는 품목임을 감안해 슬라임 협회를 통해 부적합 파츠의 전국적 판매중지를 요청했고, 협회에서도 이를 수용해 해당 파츠(13종)의 판매를 즉시 중지했으며, 슬라임 및 부재료 모두 인증받은 안전한 재료만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기술표준원에 ▲슬라임 및 부재료에 대한 안전관리·감독 강화▲식품 모양 장난감(파츠)에 대한 제조·유통 금지방안의 마련을 요청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7-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91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bifriend, Meirenpeizi - Zhijia Jewelry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6.13
3790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Beelittle 코스튬 액세서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2.06.13
3789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 있는 Tacobear 장신구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8.24
3788 카드뮴 과다 함유된 플라스틱 재질의 SHEN 물고기 샌들(슬리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08
3787 카드뮴 과다 검출된 뱀 모양 반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3.07.13
3786 카드뭄 기준이 초과 검출된 수입 ‘냉동 가리비살’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08
3785 칠레 전역에 여행경보 2단계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9.10.23
3784 칠갑농산㈜ ‘더 커진 쫄면떡볶이’, 양념소스 부패 우려로 교환·환불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9 2017.10.23
3783 치질.무좀.질염 의약품 온라인으로 구매? 안 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1.06.08
3782 치아 투명교정, 부실진료 관련 소비자불만 크게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03.29
3781 치아 교정치료, 치료 전 충분히 설명듣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3.12.18
3780 치과 진료 중 이물질 삼킴·흡인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12.06
3779 측정 오류가 발생하는 JK-A007 적외선 디지털 체온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3.14
3778 측정 오류가 발생하는 Air Steward 라돈 측정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11.15
3777 측면 충돌 시 보호가 미흡한 Urban Kanga 유아용 카시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09.28
3776 취침용으로 부적합한 Ingenuity 바운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4.24
3775 취업컨설팅 서비스, 계약 관련 소비자불만 많아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8.01.24
3774 취미·레저용 드론, 안전기준 마련 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8 2017.08.01
3773 충전커넥터 균열 및 발화 우려있는 DAIWA 전동릴 배터리 판매차단(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12.21
3772 충전커넥터 균열 및 발화 우려있는 DAIWA 전동릴 배터리 판매차단(1)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1.12.21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