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경남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 모기밀도의 50%이상 확인됨에 따라 전국 일본뇌염 경보 발령
◇ 생후 12개월~만 12세 이하 자녀 적기 예방접종 권고, 야외활동 시 모기기피제 사용 등 모기물림 예방수칙과 모기방제요령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모기감시 결과 경남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하루 평균 1,037마리(전체 모기의 71.2%) 채집됨에 따라 7월 22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였다.
    * 경보발령 기준 중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 일 때”에 해당, 올해 첫 환자발생은 아직 없음


 ○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되면 주변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일본뇌염의 예방을 위하여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고, 적기 예방접종을 시행하여야 한다.


 ○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린 경우 99% 이상이 무증상 또는 경증을 나타내나, 일부*에서는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 중 20~30%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어,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 일본뇌염 환자의 250명 중 1명에서 증상 발현, 2018년 17명 발생 중 1명 사망
     * 국내 일본뇌염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20건 내외로 발생하고 있으며, 신고된 환자의 90%가 40세 이상임


 ○ 또한 국가예방접종 사업 대상인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표준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을 완료하여야 한다.
     *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https://nip.cdc.go.kr) 또는 모바일 앱에서 확인 가능)에서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접종 가능


 ○ 성인의 경우, 면역력이 없고 모기 노출에 따른 감염 위험이 높은 대상자*는 일본뇌염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 일본뇌염 생백신 1회 접종 후 감염 예방효과는 96% 이상(성인 중화항체보유율은 붙임 2 참조)


□ 아울러, 질병관리본부는 야외 활동 시와 가정에서 아래의 모기회피 및 방제요령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첫째,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 둘째, 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상단,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야외 활동 시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 셋째,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고, 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 시에도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넷째, 매개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의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서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한다.



[ 질병관리본부 2019-07-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709 가을철 야외활동, 말벌 등 독성생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0.09.25
708 가을철 야외활동 시, 쯔쯔가무시증을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10.21
707 가을철 야외활동 때 야생진드기 매개 감염병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18.09.17
706 가을철 야외활동 독버섯, 뱀 등 독성생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19.09.02
705 가을철 야외작업자 “진드기”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10.31
704 가을철 야외 활동, 독버섯 등 독성생물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18.09.10
703 가을철 안전위험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집중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09.25
702 가을철 발열성 진드기·설치류 매개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19.10.18
701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7.10.20
700 가을철 발열 질환 진드기·설치류 매개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18.09.05
699 가을철 땅벌 주의, 작은 틈새까지도 집요하게 공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18.10.01
698 가을철 농작업 중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9.07
697 가을철 농작업 시 진드기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30
696 가을철 구별 어려운 독버섯, 먹을 경우 생명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7.09.25
695 가을철 건강한 나들이를 위한 식중독 예방 요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18.08.30
694 가을, 등산과 낚시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10.18
693 가을 지역축제 안전수칙 반드시 지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4 2017.10.12
692 가을 신학기 대비 학교급식 식중독 예방 합동점검 사전예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7 2017.08.08
691 가을 수확철,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0.26
690 가을 수확기 안전수칙 준수로 농기계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18.10.25
Board Pagination Prev 1 ...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