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파리 쏘임 사고 조심하세요!
-주간(7.21.~7.27.) 안전사고 주의보 -

□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독성해파리 출현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하였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최근 3년(‘15~’17년)간 해파리 등 독성 바다 동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환자 수는 총 2,400명이며 여름철인 7~8월에 1,773명(73.9%)이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 특히, 여름에는 바닷가 방문객이 증가하고 독성 해파리도 급증하는 시기인 만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많이 출현하는 독성 해파리는 8종*이며, 그 중 노무라입깃해파리와 보름달물해파리가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 노무라입깃해파리, 보름달물해파리, 유령해파리, 작은부레관해파리, 야광원양해파리, 커튼원양해파리, 작은상자해파리, 기수식용해파리
○ 독성해파리의 발견율*은 여름철(7~9월) 기간 중 피서철인 7월 3주차부터 8월 5주차까지 높게 나타난다.
* 어민 해파리 모니터링요원 중 해파리를 관찰한 사람 수를 백분율 표시
○ 독성노무라입깃해파리는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많이 나타나고 보름달물해파리는 8월 말에 주로 발견되고 있어 방문하는 시기에 자주 출현하는 해파리를 미리 알아두고 대처방법을 숙지하면 도움이 된다.

□ 해파리 쏘임 사고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려면 안전수칙과 예방요령을 알아두고 준수하여야 한다.
○ 해파리는 주로 부유물이나 거품이 많은 곳, 물 흐름이 느린 곳에 있으므로 해당 지역에 입수할 때는 자세히 살펴보아야 한다.
○ 죽은 해파리도 독이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절대 접촉하지 않는다.
○ 해파리에 쏘였을 때 바로 구급차를 부르고 구조요원에게 도움을 청해야 한다.
- 독성 해파리에 쏘이면 홍반을 동반한 채찍 모양의 상처가 생기며, 통증‧발열 등을 유발하고 호흡곤란과 신경마비 증상까지 초래할 수 있다.
- 피부에 달라붙은 해파리나 독침은 맨손으로 떼어내지 말고 주변의 물건이나 장갑을 이용하여야 하며, 피부에 독침이 박힌 경우 플라스틱 카드 등을 이용해 독침이 박힌 반대방향으로 긁어낸다.
- 상처부위를 바닷물이나 식염수로 10분 이상 씻어내야 하며, 이 때 맹독성 입방해파리에 쏘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식초로 씻으면 역효과가 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또한 국립수산과학원 누리집(https://www.nifs.go.kr)을 통해 매주 해파리 출현정보를 조사하여 국민에게 알리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바닷가에 놀러가기 전에 정부에서 제공하는 해파리 출현정보를 살펴보고 대처요령을 미리 숙지하여 사고를 예방해 달라.”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9-07-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13 온열질환자 증가하는 8월, 예방수칙 더욱 준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9 2017.07.24
2912 온열질환, 8월 첫 주와 둘째 주를 가장 조심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0 2017.08.03
2911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등록 및 이용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1.08.27
2910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등록 및 이용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11.15
2909 온라인으로 주문하는 '배달회' 안전하게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1.01.11
2908 온라인으로 의약품 구매? 안 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1.02.23
2907 온라인에서 탈모 관련 제품 구입‧사용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3.14
2906 온라인쇼핑몰 부업 사기피해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5.23
2905 온라인쇼핑몰 미앤아이푸드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4.05.03
2904 온라인쇼핑몰 노리터 온라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2.14
2903 온라인쇼핑몰 ‘오시싸’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0.06
2902 온라인쇼핑몰 ‘엄마가게(맘앤마트)’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3.01.06
2901 온라인쇼핑몰 ‘스타일브이’ 배송 및 환급 지연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09.02
2900 온라인쇼핑몰 ASTERZON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3.14
2899 온라인상 불법금융 유혹에 현혹되면 한순간에 불법사채의 굴레에 빠지거나 범죄자로 전락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12.27
2898 온라인 호텔 예약 대행 업체 ‘㈜본보야지(에바종)’ 연락두절 등으로 소비자 피해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8.11
2897 온라인 해외직구 의약품은 안전과 효과를 담보할 수 없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11.08
2896 온라인 판매 차량용 인조 가죽시트커버, 대부분 내인화성 없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60 2017.02.21
2895 온라인 쇼핑몰 이용 시 카드정보 등 개인정보 유출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3.03.14
2894 온라인 광고대행 관련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9.12.03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