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파리 쏘임 사고 조심하세요!
-주간(7.21.~7.27.) 안전사고 주의보 -

□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독성해파리 출현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하였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최근 3년(‘15~’17년)간 해파리 등 독성 바다 동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환자 수는 총 2,400명이며 여름철인 7~8월에 1,773명(73.9%)이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 특히, 여름에는 바닷가 방문객이 증가하고 독성 해파리도 급증하는 시기인 만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많이 출현하는 독성 해파리는 8종*이며, 그 중 노무라입깃해파리와 보름달물해파리가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 노무라입깃해파리, 보름달물해파리, 유령해파리, 작은부레관해파리, 야광원양해파리, 커튼원양해파리, 작은상자해파리, 기수식용해파리
○ 독성해파리의 발견율*은 여름철(7~9월) 기간 중 피서철인 7월 3주차부터 8월 5주차까지 높게 나타난다.
* 어민 해파리 모니터링요원 중 해파리를 관찰한 사람 수를 백분율 표시
○ 독성노무라입깃해파리는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많이 나타나고 보름달물해파리는 8월 말에 주로 발견되고 있어 방문하는 시기에 자주 출현하는 해파리를 미리 알아두고 대처방법을 숙지하면 도움이 된다.

□ 해파리 쏘임 사고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려면 안전수칙과 예방요령을 알아두고 준수하여야 한다.
○ 해파리는 주로 부유물이나 거품이 많은 곳, 물 흐름이 느린 곳에 있으므로 해당 지역에 입수할 때는 자세히 살펴보아야 한다.
○ 죽은 해파리도 독이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절대 접촉하지 않는다.
○ 해파리에 쏘였을 때 바로 구급차를 부르고 구조요원에게 도움을 청해야 한다.
- 독성 해파리에 쏘이면 홍반을 동반한 채찍 모양의 상처가 생기며, 통증‧발열 등을 유발하고 호흡곤란과 신경마비 증상까지 초래할 수 있다.
- 피부에 달라붙은 해파리나 독침은 맨손으로 떼어내지 말고 주변의 물건이나 장갑을 이용하여야 하며, 피부에 독침이 박힌 경우 플라스틱 카드 등을 이용해 독침이 박힌 반대방향으로 긁어낸다.
- 상처부위를 바닷물이나 식염수로 10분 이상 씻어내야 하며, 이 때 맹독성 입방해파리에 쏘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식초로 씻으면 역효과가 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또한 국립수산과학원 누리집(https://www.nifs.go.kr)을 통해 매주 해파리 출현정보를 조사하여 국민에게 알리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바닷가에 놀러가기 전에 정부에서 제공하는 해파리 출현정보를 살펴보고 대처요령을 미리 숙지하여 사고를 예방해 달라.”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9-07-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31 하계 휴가철 인터넷 사기(휴가 용품, 여름 가전 등)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8.07.04
4130 하강레포츠시설 안전확보를 위한 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11.17
4129 필터의 분진 포집 효율이 미흡한 미세먼지 마스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21.07.28
4128 필터링 기능 테스트 받지 않은 AIR Queen 마스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11.14
4127 필립스코리아 '개인용 인공호흡기', '양압지속유지기' 위해 정보 알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21.06.14
4126 필립스 전기 믹서기 환불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41 2016.08.22
4125 필리핀·우크라이나 지역 홍역 유행 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18.12.06
4124 필리핀 여행 시 콜레라 감염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3 2017.08.07
4123 필리핀 여행 시 세균성이질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9 2018.01.17
4122 필리핀 등 동남아 여행 시 지카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8.02.22
4121 핀이 풀어져 낙상 위험 있는 스노보드 바인딩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92 2015.05.22
4120 피해다발업체/뷰티히어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24
4119 피해다발업체-티켓판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5.28
4118 피해다발업체-캐쉬메이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02.14
4117 피해다발업체-반하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22.02.08
4116 피해다발업체(하이트렌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07.14
4115 피해다발업체 - 위잇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4
4114 피해다발업체 - 단소 잡화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6 2021.07.22
4113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9.07.18
4112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10.16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