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파리 쏘임 사고 조심하세요!
-주간(7.21.~7.27.) 안전사고 주의보 -

□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독성해파리 출현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하였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최근 3년(‘15~’17년)간 해파리 등 독성 바다 동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환자 수는 총 2,400명이며 여름철인 7~8월에 1,773명(73.9%)이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 특히, 여름에는 바닷가 방문객이 증가하고 독성 해파리도 급증하는 시기인 만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많이 출현하는 독성 해파리는 8종*이며, 그 중 노무라입깃해파리와 보름달물해파리가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 노무라입깃해파리, 보름달물해파리, 유령해파리, 작은부레관해파리, 야광원양해파리, 커튼원양해파리, 작은상자해파리, 기수식용해파리
○ 독성해파리의 발견율*은 여름철(7~9월) 기간 중 피서철인 7월 3주차부터 8월 5주차까지 높게 나타난다.
* 어민 해파리 모니터링요원 중 해파리를 관찰한 사람 수를 백분율 표시
○ 독성노무라입깃해파리는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많이 나타나고 보름달물해파리는 8월 말에 주로 발견되고 있어 방문하는 시기에 자주 출현하는 해파리를 미리 알아두고 대처방법을 숙지하면 도움이 된다.

□ 해파리 쏘임 사고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려면 안전수칙과 예방요령을 알아두고 준수하여야 한다.
○ 해파리는 주로 부유물이나 거품이 많은 곳, 물 흐름이 느린 곳에 있으므로 해당 지역에 입수할 때는 자세히 살펴보아야 한다.
○ 죽은 해파리도 독이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절대 접촉하지 않는다.
○ 해파리에 쏘였을 때 바로 구급차를 부르고 구조요원에게 도움을 청해야 한다.
- 독성 해파리에 쏘이면 홍반을 동반한 채찍 모양의 상처가 생기며, 통증‧발열 등을 유발하고 호흡곤란과 신경마비 증상까지 초래할 수 있다.
- 피부에 달라붙은 해파리나 독침은 맨손으로 떼어내지 말고 주변의 물건이나 장갑을 이용하여야 하며, 피부에 독침이 박힌 경우 플라스틱 카드 등을 이용해 독침이 박힌 반대방향으로 긁어낸다.
- 상처부위를 바닷물이나 식염수로 10분 이상 씻어내야 하며, 이 때 맹독성 입방해파리에 쏘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식초로 씻으면 역효과가 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또한 국립수산과학원 누리집(https://www.nifs.go.kr)을 통해 매주 해파리 출현정보를 조사하여 국민에게 알리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바닷가에 놀러가기 전에 정부에서 제공하는 해파리 출현정보를 살펴보고 대처요령을 미리 숙지하여 사고를 예방해 달라.”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9-07-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360 Manhattan Toy 치발기(Winkel Colorburst activity toy), 질식 위험으로 교환·환불 및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7.10.31
1359 여름철 무더위 냉방기 화재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06.12
1358 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08.20
1357 전동휠체어 의료용 스쿠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08.29
1356 겨울철 증가하는 고령소비자 낙상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11.29
1355 P2P 투자하기 전, 투자자 유의사항을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0.03.23
1354 제품 결함으로 감전 위험 있는 Depilatory Roll on Wax Heater전기 제모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0.10.05
1353 시간이 경과할수록 품질 저하 우려 있는 GENTOS LED 헤드라이트(GH-100RG)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1.09.14
1352 사용 금지된 요오드화염을 함유한 조미상사 후리카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1.12.27
1351 어린이 타박상 위험 있는 Hasbro 코끼리 장난감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3.02.13
1350 라디언스㈜ 온열매트 리콜정보 재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3.08.16
1349 수입 부적합 중국산 천연향신료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7.09.22
1348 인도 니파바이러스감염증 발생…여행자 감염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8.05.25
1347 My Baby 조명, 아동 삼킴사고 발생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02.07
1346 RXBAR 프로틴바, 알레르기 유발 물질인 땅콩 미표기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04.11
1345 국민청원 안전검사제, '노니 분말.환 제품' 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05.02
1344 Star Wars 코스튬 의상, 가연성 소재 사용하여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05.16
1343 나들이 계절, 외부 활동 시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06.21
1342 무덥고 습한 여름철, 의료기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0.06.25
1341 화재 발생하면 피난 유도등 보고 신속히 대피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1.01.14
Board Pagination Prev 1 ...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